즐거운 살인 - 범죄소설의 사회사
에르네스트 만델 지음, 이동연 옮김 / 이후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추리소설은 도데체 정체가 뭘까? 추리소설이란 장르는 아무 때나 유행하는 장르가 아니다. 어떤 특정한 역사적 맥락하에서 그 유행은 번듯하게 설명되는 듯 하다. 맑스가 말한대로 '추리소설은 신흥중산계급의 아편'이라거나 교양문화론자들이 비난하듯 '현실도피성 오락물'로만 여기는 것은 무언가 많은 것을 놓치는 것이다. 물질적 팽창이 거듭하는 곳에 증권 붐이 일듯이 중산층이 번성하는 곳에 추리장르가 활개를 치는 것이다. 왜 그럴까?

저자 만델은 '부르조아 사회가 범죄사회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본다. 추리소설은 문학사의 발전과정 속에 있다기 보다는 사회적 반응물로써 예술로서의 자율성은 심각하게 부실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놓여진 사회의 정체를 파악하는데는 더 없이 요긴한 도구가 된다. 이 특정한 장르를 통해 새롭게 부상한 중산층은 그들 계급이 욕망하는 것을 상상적으로 소비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중산층은 귀족계급에 대해서는 퇴폐성을, 하층계급에 대해서는 폭력성(혁명성)을 비난해 왔다. 중산층에 의해 세워진 현대의 우주적 질서를 저해하는 이 두 계급은 추리소설 속의 합리성(혹은 합리적 기업정신)의 화신, 즉 중산층의 이념성을 대변하는 성격을 지닌 탐정에 의해 발가벗겨지고 단죄된다.

오늘날 추리소설은 범죄소설 쪽으로(특히 영화 쪽에서 그런 경향이 농후한데) 더 기울어져 왔다. 탐정 대신 경찰이 영웅시되고, 사설탐정의 두뇌 플레이 대신 거대한 국가 기구와 그 으리으리한 장비들이 대신하게 된다. 또한 국가와 범죄의 결탁도 생긴다. 이렇게 되자 더 이상 범죄소설은 부르조아 사회의 정당성을 세뇌하는 힘을 잃게 된다.

우리의 경우는 어떤가? 조폭영화가 붐이다. 경찰은 바보처럼 나온다. 국가 공권력은 허술하고 위선적이고 모순적으로 그려진다. 또는 반대로 국가제도 자체가 조직폭력단으로 은유되기도 한다. 국가와 조폭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사이 조폭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업그레이드된다. 이건 어떤 현상일까? 억압된 전복의지가 우회적으로 표출되는 것일까? 아니면 그냥 우리가 보통 인식하듯이 일시적인 유행에 불과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성 - 전복의 문학, 모더니티총서 14
로즈메리 잭슨 지음,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얼마전에 발간된 케더린 흄의 [환상성과 미메시스]에 이은 문학의 환상성을 주제로 삼은 또 다른 저서다. 케더린 흄이 환상성이란 주제하에 그 개념에 포괄되거나 밖으로 넘치는 것들을 폭넓게 정의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했다면 로즈매리 잭슨은 환상성의 특정한 한 측면, 즉 현실에 대한 전복적 재구조화라는 면에 집중하고 있다.

저자는 환상과 현실이란 관습적인 이분법이 아니라 현실이야말로 환상이 아니냐는 현실적 토대에 대한 회의에 기반한 환상성을 높이 산다. 그런 맥락에서 저자는 18세기 유럽의 고딕소설보다는 디킨스, 도스토엡스키, 카프카 핀천으로 이어지는 환상성 문학의 손을 더 높이 들어준다. 알다시피 핀천이나 카프카에 와서는 현실에서야 말로 무한한 감옥이며 본질이 부재하고 있다는 자각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임마누엘 칸트 지음 / 서광사 / 1992년 8월
평점 :
절판


루소는 그의 [사회계약론]에서 민족국가들이 존재하는 한 전쟁은 필연적이라는 비관적 견해를 내놓았었다. 그의 주장은 1713년 프랑스의 상 피에르가 제창한 (군축과 경제협력을 주내용으로 하는) 평화계획안에 대한 반응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칸트는 도덕적인 차원에서 평화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사회에서 영구히 전쟁을 추방하고 보편적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질문한다.

이 책에서 평화는 전쟁의 일시적 중단상태가 아니라 지상세계의 영원한 평화를 의미한다. 이 평화론은 여섯개의 예비조항, 세개의 확정조항, 그리고 두 개의 부가조항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그의 평화론이 전제한 인간관은 낙관적이다. 약속에 대한 신뢰성, 개인의 자율성, 그리고 인간에 대한 보편적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인간 보편의 윤리적 본성에 호소하는 것이다. 허나 씨아에이와 모사드, 알 카에다와 공작정치가 난무하는 오늘날의 국제 현실에서 과연 얼마나 호소력이 있을 수 있을까? 오늘날 세계를 대표한다고 하는 미국의 꼴을 보더라도 칸트보다는 홉스나 만데빌의 주장에 더 기울어질 수 밖에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2-19 02: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아서 밀러 지음, 김희봉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지은이는 과학에서의 천재성과 예술에서의 천재성이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고 본다. 예술가가 현상을 새롭게 보는 눈으로부터 혁명적인 작품을 창출해내듯이 과학자는 상식적 고정관념을 탈피해서 새롭게 시각화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이 인식론적 상대주의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가 천재적인 과학자에게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상식적 직관의 확장'이지 몽상적이고 자의적인 꾸며내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상식적 고정관념 혹은 기존의 과학적 가설로는 좁고 약한 설명력 밖에 없었던 명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좀 더 넓은 진실을 포함하는 명제로 대치시키는 것이다. 단 이 대치의 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은 복잡한 수식과 추리의 차원이라기 보다는 직관이니 시각화, 혹은 은유의 과정에 더 많이 의존하는 듯 하기 때문에 '예술적'인 것과 유사성을 띠게 된다.

이런 주장을 인정한다면 과학에서의 새로운 이론에서 그 이론을 판단하는 주요 잣대 중에 하나로 우리는 대칭성이나 단순성과 같은 미적 판단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에디슨 식으로 99%의 노력에 짙눌려 있던 1%의 영감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교와 반항인
콜린 윌슨 지음 / 하서출판사 / 1994년 9월
평점 :
절판


콜린 윌슨은 자신의 '아웃사이더'를 규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진리'와 '신'을 단 한 순간이라도 보고자 열망에 두고 있다. 아웃사이더들은 그 한 순간을 위해서 온 인생을 건 도박을 하는 자들이다. 그런 면에서 아웃사이더는 종교적 태도와 많은 부분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문명은 지적 수준의 하향평준화와 함께 이런 영적 열망도 곤두박질치고 있다고 본다.

정신적 가치들이 지식분업의 칸막이에 갇혀 질식했고 인간은 점점더 기계에 더 가까워졌다. 더군다나 서구의 경우 그 추락을 적어도 늦춰주기라고 해야 했을 기독교가 제 몫을 다하지 못했다. 대속 개념에 발목이 잡혀서 대속 개념 하에 종교적 태도를 세속적 위계와 제도의 틀 속으로 화석화시켰다. 진리와 신은 속죄와 교회에게 자리를 대신 내어주게 되었다. 새로운 전회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