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인된 시간 - 영화 예술의 미학과 시학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지음, 김창우 옮김 / 분도출판사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독창성을 위한 독창성, 새로움의 키치화

'가령 단테의 [신곡]이 그동안 낡은 작품이 되어버렸다고 누가 주장하려 한다면 이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몇 년 전에 대단한 선풍을 일으켰던 영화들이 불현듯, 전혀 예기치 못한 채로 미숙하고 거의 습작에 가까운 작품으로 판명되곤 하는데 그 원인은 무엇일까? 나의 견해로는 가장 주된 원인은 감독이 자신의 작업을 원칙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있어서도 삶의 중요한 행위로서, 윤리적인 노력으로서 파악하지 않는데 있다. 당대의 첨단 유행에 걸맞게 표현하겠다는 의도가 결국은 몇 년 후에는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는 표현법의 원인인 것이다: 독창성을 위한 독창성은 의미없는 짓일 뿐이다.'

타르코프스키의 [봉인된 시간]에서의 한 구절입니다. 저 역시 그의 의견에 많이 동조하는 편인데, '새로움'이란 것을 수평적인 맥락성에서 찾고자 할 때 새로움은 키치화되고 만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새로움'이란 단지 파편적인 공백 매꾸기(혹은 틈새 공략)나 절충을 통해 어떤 효과를 노리는 일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오늘날 독창성이니 크리에이티브니 하는 것들은 삶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상실하고(실존적 관심을 놓쳐 버리고) 오직 유행, 제도, 시장현상적인 연관성을 통해서만 부각되는(구조적 관심 과잉) 면이 많은 듯 합니다. 바야흐로 이 분야에서도 '과잉사회화'가 문제인 거죠. '새로움'이란 자신과 당대의 삶과 경험, 감각의 뿌리까지 내려가지 않고서는 얻기 힘들다고 봅니다. 뿌리(radix)의 강조를 깊이에의 강요라고 대항하는 이들이 있기는 하지만 제 생각으론 그런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사기꾼으로 밖에 안보이고요. 뿌리는 대항한다고 해서 사라지거나 하는 건 아닐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대적 현존 - 모더니티총서 3
칼 하인츠 보러 지음, 최문규 옮김 / 문학동네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보러가 안티테제로 삼고 있는 바는 문학작품과 그것의 시대적, 역사(철학)적 배경 간의 동일성 내지 유일성을 찾아내는 접근법들이다. 그는 이에 반해서 사회적 역사적 배경과 문학작품 간의 어긋난 상태에 더 주목한다. 그 어긋남의 핵심적 요소는 '전율' 혹은 '장엄함'이다. 이 요소를 통해 문학은 사회와 어긋난다. 문학적 자아는 순전한 사회적 자아로 정립되지 못하고 자체 내의 합리성(자기준거적 언어체계의 법칙)을 준수하게 된다. 미 대신 숭고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위안의 미감을 거부한다. 아도르노와 마찬가지로 아름다움이 일상성, 정상성, 상투성과 합류하게 될 때 전율, 숭고, 장엄도 자지러든다. 예술은 그렇게 (관리되는) 사회의 매커니즘과의 관계를 확연히 끊어버려야 한다. 아도르노에게 그것이 사회비판적인, 이데올로기 비판적인 함의를 농후해지는데 이 점에서 보러는 아도르노와 갈라진다. 그는 비판적인 면 보다는 예술 자체의 자기준거성으로서의 자율성을 주장한다. 여기서 진리인식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지각 가능성이 문제가 된다. - 심미적 전율... 문학적 유토피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린 교육이 아이들을 망친다
황용길 / 조선일보사 / 1999년 3월
평점 :
절판


저자가 언급하는 존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이 미국 교육 실패의 주범이라고? 이런 황당한 소릴 아무 부끄럼없이 할 수 있는 그 용기(?)가 가상하다고 해야 하나? 소련이 스푸트닉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나서 미국이 기겁을 하고 교육개혁을 시도한 것이 1960년대였다. 이 60년대 이전에 미국의 교육은 전통적인 봉건적 교육방식의 문제점이 시시각각 드러나면서 새로운 교육적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이 모색들이 주류를 이뤄가고 있었지만 60년대 스푸트닉 충격이후 그런 모색들은 주춤했다. 그리고 10년 후 60년대 엘리트적이고 보수적인 교육개혁은 실패로 판정났다.

그런데 저자는 이런 맥락없이 자의적으로 사실들을 짜깁기해서 한국의 독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마치 '열린 교육'이란 것이 있기나 해서 미국교육을 온통 망가뜨린 듯이 이야기하지만 그건 있지도 않은 유령 잡는 꼴이나 다름이 없다. 너절한 혹세무민이다. 오히려 미국교육의 붕괴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 예를 들어 인종문제나 빈부격차, 지역적, 문화적 격차나 공동체 붕괴와 같은 문제에서 찾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저자에게는 양심이란 것에 대해 묻고 싶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낭만주의 하룻밤의 지식여행 11
덩컨 히스 지음, 이수명 옮김 / 김영사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낭만주의 뿐만 아니라 그 전후사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철학, 문학과 예술, 과학(생기학, 색채학, 게슈탈트론 등), 정치를 모두 다루며, 특히 낭만주의의 자기모순적 특성들도 명쾌하게 요약하고 있다. 평소에 낭만주의에 대해 이름만 알고 있었던 사람이라면 이 자그만 책을 통해 낭만주의의 외연이 얼마나 넓은 것이며 오늘날까지 얼마나 그 위력이 끈질기게 지속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단숨에 읽고 나니 우리시대의 최첨단조차도 낭만주의 시대가 만들어놓은 틀에서 기껏 두어걸음 더 나아갔을 뿐이라는 생각을 아니할 수 없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지과학
장 가브리엘 가나시아 지음 / 영림카디널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최근 문고출판은 출판계의 대세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책세상이나 시공사, 한길사, 민음사 등 다양한 출판사들이 나름대로의 색깔을 살려 문고총서들을 내고 있는데, 영림카디널의 도미노총서는 이런 조류의 초반을 이룬 문고총서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총서에 비해 별로 큰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자그마한 책 안을 둘로 나눠 한 주제에 대해 한 부분은 일반적인 경향을 다루고 나머지 한 부분은 논쟁적인 부분을 다루는 구성은 다른 문고본에서 찾기 힘든 독특한 구성이다. 인지과학을 다루고 있는 이 책도 마찬가지로 전반부에는 인지과학의 형성과 발달에 대해 다루고 후반부는 인지과학의 여러가지 풀리지 않는 논쟁점들, 예를 들어 인지단절의 문제, 정신은 어디에 있는가와 같은 쟁점들을 에세이식으로 다루고 있다.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나름대로 괜찮은 책이라고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