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05/pimg_7058441232788974.jpg)
모든 일은 진행되어야만 한다, 고 하지만 이 팻말은 영화의 시작과 함께 무참하게 박살이 난다. 마치 조커의 앞날을 예고하는 듯이.
우리들을 대신해 미쳐준 피닉스 호아킨에게 경배를
2020년 아카데미상은 역대 최강 영화들의 경연장이었다. 우리에게는 <기생충>이 가장 인상 깊었지만 사실 <아이리시맨>, <조커>, <1917>들 또한 빼어난 명작이었다. 이들 가운데 어떤 작품이 상을 타도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쟁쟁했다. 특히 <조커>는 길이길이 남을 명작의 반열에 이미 올라섰다, 고 확신한다. 호아킨의 눈부신 열연을 보는 재미 외에 영화 곳곳에 깔린 깊은 페이소스(연민, 동정, 슬픔을 포함한 복잡한 감정)와 영상과 기가 막힐 정도로 잘 어우러지는 음악도 빼놓을 수 없다. 사실 배트맨의 악당 정도로 취급받던 조커를 이토록 드라마틱하게 부활시킨 작가에게도 찬사를 보낸다. 자, 이제 남은 건 주인공과 함께 질퍽한 뉴욕거리를 두 시간 넘게 헤매는 거다.
덧붙이는 말
영화는 물론이고 예술이 위대한 까닭은 실패자들이 주역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잘나고 유명한 인물을 다루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성공 뒤에 가려진 어두운 면을 부각시킨다. 인간은 겉으로는 멀쩡한 척 살아가지만 마음 속 깊숙한 곳에는 늘 우울이 자리하고 있다. 문화는 이 지점을 찾아내어 어떻게 해서든 미치지 않고 살아가게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영화 조커에서 아서 역을 맡은 피닉스는 자신의 본분을 눈부시게 해치웠다. 다시 한 번 그의 남우주연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사진 출처 : Joker; When Tragedy becomes Comedy | Ethics of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