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한장의 사진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드시는가? 

때로는 단 한 장면이 모든 것을 말하기도 한다. 


죄송하지만 님도 너무 예민한 거 아님?


대학에 간다면 사회학을 전공하고 싶었다. 아니면 신문방송학. 삐딱한 마음이 있어서였다. 정확하게 말하면 비판적 생각이 꼭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글짓기 시간에 질서를 지키자는 주제로 글을 쓰게 했다. 뻔하디 뻔 한 소재였지만 나는 왜 줄을 서야 하는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예를 들어 버스를 타기 위해 우르르 몰리는 것은 사람들 잘못이 아니라 제 시간에 정확하게 차가 들어온다는 신뢰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시스템이 정착이 되었지만 내가 어릴 때는 전혀 그렇지 못했다. 따라서 질서를 지키라고 할 게 아니라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꽤 신박한 아이디어라고 여겼지만 선생님께 따로 불려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아무튼 스스로의 정체성을 일치감치 발견한 게 다행이라면 다행이었다.


불행하게도 내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점수에 맞추어 취업이 잘 될 것 같은 학과를 골랐다. 그럼에도 사회학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다. 전공자 못지않게 관련 책을 읽고 수업을 들었다. 그 때 읽은 전공서적은 아직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졸업을 하고 이런 저런 일을 하면서 사회학과는 멀어졌다. 더 나아가 과연 사회학이 필요한 학문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말이 좋아 종합학문이지 사실은 다른 분야에서 중요하게 여지기 않아 버린 여집합이 아닌가라는. 사실 이 화두는 학부졸업논문 주제이기도 했다. 그 때 차용한 학자가 게오르그 짐멜이었다. 그는 주변사회학의 창시자였다.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그 이름을 우연히 라디오 방송에서 들었다. 교육방송에서 명강의를 편집하여 내보냈는데 그 중에 언급이 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인공은 서울대의 이재열 교수였다. 사회학의 핵심 요소로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일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었다. 이를테면 짐멜의 2인 사회학과 3인 사회학 개념이다. 형제인 경우 자라면서 혼자 놀거나 같이 어울리는 방법밖에 없지만 3남매나 3형제의 경우 담합이 생긴다. 곧 둘이 짝을 지어 한 명을 따돌린다. 흥미로운 건 그 과정에서 왕따 당하는 아이는 사회성을 키운다. 그래야 살아남으니까. 아첨을 하든 붙임성 있게 굴든 사회에 살아가면서 필요한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한다. 


문제는 한명의 자녀를 두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성인이 되어도 사회성이 떨어지는 어른이 늘어난다. 연세대학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학년 전원 기숙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입학하면 무조건 송도에서 함께 일 년을 지내야 한다. 자연스레 형제자매애를 느끼게 하려는 배려다. 게다가 선배들의 압박이 없어 자율적인 의사결정도 가능하다. 또 이렇게 맺어진 인연은 남은 평생 끈끈하게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마치 노인이 되어도 훈련소 동기를 찾듯이. 더욱 재미있는 건 학생들도 좋아하지만 부모들의 반응이 폭발적이라는 사실, 외동아이들의 외로움도 달래고 사회에서 필요한 네트워크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리라.


사실 사회학은 본질적인 학문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스킬이다. 뭐라 딱 꼬집어 말하기 어렵지만 배워두면 편안한. 눈치가 대표적인 예이다. 경제학에서 눈치는 수치로 밝힐 수 없기에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지만 사회학에서는 암묵적 합의라는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곧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 지켜야 하는 묵시적 규율 같은.


사회학의 다양한 개념을 배워두면 쓸데없이 흥분하는 일이 줄어든다. 왜 저런 일이 일어나는지를 개인적, 구조적, 기능적으로 따져보며 필연성과 불가피성의 세상에 도달하게 된다. 2021년 1월 13일의 핫이슈는 이휘재 문정원 부부 집의 층간소음이었다. 구체적으로 아랫집에 살고 있는 사람이 문정원씨의 인스타그램에 하소연 글을 남겼다. 문정원씨는 답글을 달았는데 그게 사단이 났다. 사과인 듯 사과 아닌 묘한 뉘앙스였다. 죄송하지만 님도 너무 예민한 거 아님. 당장 인터넷에 불이 붙었다. 과거 이휘재의 무매너가 다시 화제가 오르고 아이들과 집에서 운동화까지 신고 야구를 하는 사진이 도마에 올랐다. 사태는 쉽사리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자,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남의 일이라고 무시할 건가? 그럴 줄 알았다며 혀를 찰 건가? 아니면 적극적으로 댓글을 남겨 지지 혹은 비난을 할 것인가? 사회학자는 달리 행동한다. 이 일이 어떻게 일어났고 삽시간에 퍼져 당사자의 지위나 더 나아가 일자리까지 위협받게 되는 현상에 주목한다. 잘잘못을 따지는 게 아니라 누구도 의도하지 않은 일이 기사에 오르고 사건이 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그리고 깨닫는다. 사람들은 인스타그램을 그저 과시형 일기장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제동장치 없는 무한궤도임을. 당사자끼리 풀 문제가 한낱 호기심 도구 때문에 일파만파 퍼지게 되었다.


덧붙이는 말


이루다야말로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사조다. 인공지능이 딥러닝을 거쳐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다는 설정이 공상과학이 아닌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언제 기회가 되면 제대로 다루어 볼 생각이다. 물론 이 때도 사회학의 키워드는 예리한 칼이 된다.  


사진 출처 : 문정원 인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햇살 부자집


“계단을 올라갔다. 폭이 넓은 나무 난간은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다듬어 손에 닿은 감촉이 매끈매끈한 게 기분 좋았다. 계단참에서 이웃집의 커다란 단풍나무가 보였다. 그곳에서 꺾어져 이층으로 올라가자 조그마한 방이 나왔다.”_마쓰이에 마사시, <우아한지 어떤지 모르는>


지난 주말 친척 집에 다녀왔다. 집안 어른의 생신이었다. 시국이 시국인지라 모두 모이지는 못했고 직계만 5인 이하에 맞추어 방문했다. 방역이 완비된 바깥에서 식사를 하고 집에 다시 돌아왔다. 2층짜리 단독주택. 어느덧 요즘은 보기 드문 집이 되어버렸다. 어르신은 거동이 불편해 대신 집안을 둘러보며 정리정돈을 해드렸다. 세라도 놓아 생활비에 보태려고 2층은 따로 분리해놓았다. 최근에 지병이 악화되어 빈 채로 있다. 일단 발코니에 쌓인 눈부터 치우고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 보았다. 언제나 느끼지만 이층의 햇살만큼은 자부하는 집이다. 남향이고 주변에 거치적거리는 건물이 없는 덕이다. 방 2개, 가실 하나, 부엌은 옛날 집답게 따로 문이 달려있는 북향, 그리고 그 옆에 화장실. 집장사들이 지은 그저 그런 흔한 집이다. 그럼에도 왠지 정감이 가고 벌써 아쉽다. 길 건너편이 재개발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언제 이 집도 철거위기에 닥칠지 모를 일이다. 오래 사신 처지에서야 어서 빨리 새 집에 살고 싶은 욕구가 더 크겠지만. 


돌아와 마쓰이게 마사시의 <우아한지 어떤지 모르는>을 다시 읽는다. 고급 맨션에 살던 중년의 편집장은 이혼을 계기로 지은 지 50여 년은 족히 넘어 보이는 집에 들어가 살게 된다. 이것저것 귀찮은 일투성이지만 스스로도 안다. 이렇게 땀 흘려 손보고 살피는 것이야말로 지금 자신에게 큰 축복임을. 


*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인용하시려면 허락을 받고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Downsizing Your Resolutions


딱히 분위기가 나지 않지만 엄연히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이 맘 때면 많은 사람들이 결심을 한다. 올해에는 살을 빼야지, 운동을 더 해야지, 영어를 포함하여 외국어 공부를 더해야지. 그러나 이 목표를 만족할 만큼 달성하는 이는 드물다. 왜 그럴까? 이러한 현상은 예나 지금이나 동양과 서양을 가리지 않고 공통되는가 보다. 뉴욕타임즈는 어떻게 하면 이룰 수 있는지 관련 기사를 내보냈다. 참고하시기 바란다.


첫째, 동기부여를 확실히 하라. 내가 왜 이 일을 완수해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도 단지 남에게 보이기 좋게 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당장 하지 않으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는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출발을 하게 된다.


둘째, 거창한 목표대신 달성 가능한 조그마한 이정표를 세워라. 매일 일기를 써야지 하기 보다는 일주일에 한두 번 마음 내킬 때 그 날 일을 적어둔다는 식이 더 효과적이다.


셋째, 자꾸 결심만 하지 말고 일단 계획을 짜라. 곧 구체적으로 가능한 방법을 알아보고 하나씩 실천에 옮겨라. 주중에 운동이 힘들다면 덜 피곤한 요일을 정해 퇴근할 때 혹은 저녁식사 후에 산보할 수 있는 동네 주변 공원을 찾아보라.


넷째, 장황하게 여러 가지를 내세우지 말고 최대한 줄이고 그 과정을 모조리 기록으로 남겨라. 이를테면 영어공부를 한다면 교재를 정해 매일 공부한 범위를 메모하여 어떻게 해서든 한 권을 끝내라.


다섯째, 스스로를 자책하지 말라. 피치 못할 사정으로 도중에 중단할 수도 있다. 그럴 때 자신을 너무 가혹하게 몰아붙이지 말고 엎어진 김에 쉬어간다는 생각으로 잠시 멈추어라. 어느 정도 추스르고 다시 시작해도 늦지 않다. 


기사 출처 : Downsize New Years Resolutions for 2021 - The New York Times (nytimes.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This year saw an explosion of research into COVID-19—by mid-December, more than 200,000 papers had been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and many more had been posted online to non—peer-reviewed preprint servers. Key findings appear below, pegged to the date they first appeared online. At the same time, the world was struggling—and in many places, failing—to contain the pandemic. _ Science


2020년은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온통 도배된 한 해였다. 도대체 다른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이 안 날 지경이다.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 시상과 청와대 짜파구리 파티이후 모든 게 끝장이 났다. 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이라는 거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누군가는 자신이 맡은 일을 성실하게 해나가고 있을 것이다. 과학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분야에서도 계속 전진하고 있다. 특히 백신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다행히 여러 회사에서 다양한 종류가 나와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우리는 아직 접종을 못하고 있지만. 미국 과학 잡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2020년 10대 뉴스에서도 이 사실은 빠지지 않았다. 중국이 바이러스 유전정보를 해독하여 공개한 게 2020년 1월 10일이었으니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백신이 개발된 것이다. 놀라운 일이다. 백신이 만들어져서가 아니라 경쟁이 심하기로 유명한 제약회사들이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역사상 가장 짧은 기간에 희망의 총성을 쏜 것이다. 물론 그만큼 패해가 컸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과학자들의 노고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관련 내용 사진 출처 :

https://vis.sciencemag.org/breakthrough2020/#/finalists/2020-breakthrough-of-the-ye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뭔가 시작하고 싶을 때 일단 청소부터 하면 몸과 마음이 상쾌해진다. 새해를 맞은 다음날 약간의 다툼 끝에 그래, 싹 다 치우고 말지하고는 단숨에 정리에 들어갔다. 만만치 않음을 각오했지만 역시 힘이 들었다. 그저 들어내기만 하는데도. 그럼에도 기분은 좋다. 훤해진 방을 보며 새롭게 출발하고 싶다는 결심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