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고 있나요?
꿈이 뭔지도 모르겠다구요?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는 생각 하고 계세요?
그렇다면 여기 삼랑진의 창화와 미정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부산에서 기차로 단숨에 도착하는 삼랑진역, 한 권의 책이라면 사계절을 한번에 다 넘겨 보고 싶을 정도로 좋은, 사진으로 담아놨다가 우울해질 때 꺼내 볼 수 있다면 좋겠다는 창화, 미정의 말처럼 내일 또 와도 되고 모레 다시 와도 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곳, 그런 삼랑진을 배경으로 한 미정과 창화 두 사람의 이야기가 감동과 힐링을 주는 소설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오래 하려면 내가 하기 싫은 일도 그만큼 오래 해야 한다고. 그래서 지금은 예전보다 마음이 편하다. 내가 하고 싶은 걸 빨리 시작해서 빨리 접는 것보다 내가 하기 싫은 걸 오래 하면 내가 하고 싶은 것도 오래 할 수 있다고 믿기로 했다.˝

느리게 가는 무궁화호 열차를 함께 타게 된 두 사람, 옆집 밥숟가락 개수까지 다 알 정도로 작은 마을이 싫어서 고향을 떠났던 미정과 대기업 입사와 성공을 위해 고향을 떠났던 창화가 각자의 아픔을 안고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는 길, 하필 옆자리에 앉아 가는 동안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인연이 됩니다. 뜻밖의 인연이 창화를 삼랑진역에 둥지를 틀게 만들고 미정이 자신의 꿈을 다시 펼치게 만드는 이야기가 약간의 판타지를 가미해 한편의 영화처럼 펼쳐집니다.

아는 사람 별로 없지만 삼랑진이라는 마을 사람들 때문에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삼랑진역에 대한 미정의 이야기를 존중의 의미로 해석하는 창화, 두 사람의 대화가 참 따스하게 와닿습니다. 또한 사회생활을 하며 누구나 겪게 되는 이야기라 공감이 됩니다. 때로는 누군가에게 털어놓고 싶지만 그러지 못해 억누르고 있던 누군가의 심경을 대변하는 것만 같고 어느 것에서도 위로받지 못하는 누군가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것만 같은 소설입니다.

‘나만 느린 것 같았고, 나만 부족한 것 같았고 나만 답답한 인간으로 보이는 것 같았지만 알고 보면 당신도, 그들도 그러하다는것, 더 잘하고 싶고, 더 빨리 달리고 싶고, 더 잘나 보이고 싶은 줄 알았지만, 사실 지쳐 있었고, 천천히 가도 좋았고, 이제 그만 편해지고 싶었다는 것. 우린 다르지 않았다는 것.‘
p275

좋은 문장이 참 많은 소설입니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삼랑진역에 가보고 싶어지기까지 합니다. 창화와 미정의 이야기가 자신의 꿈이 무언지도 모른 채 하기 싫은 일을 하며 그저 살아남기에만 급급한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기를 희망해 봅니다.


#힐링소설 #삼랑진역 #오서 #씨큐브
#내리실역은삼랑진역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회사를 안다니면 할 일 없는게 아니라
할 일 없는 사람이 회사에 다닌다‘
라니....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오래 하려면 내가 하기 싫은 일도 그만큼 오래 해야 한다고. 그래서 지금은 예전보다 마음이 편하다. 내가 하고 싶은 걸 빨리 시작해서 빨리 접는 것보다 내가 하기 싫은걸 오래 하면 내가 하고 싶은 것도 오래 할 수 있다고 믿기로 했다.
뭐, 자기 최면이지만 어느 정도 타협은 되더라고." -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제주에 가면 귤은 필수에요, 데굴데굴 굴러다니는 귤과 함께 QR로 노래도 하고 제주를 여행하듯 귤에 대해 배우게 되는 그림책이랍니다. 귀여운 케릭터와 은은한 파스텔톤 제주 그림이 예쁘고 사랑스러운 그림책이에요.

집에서 혼자 놀기 좋아하는 규리, 엄마아빠따라 제주도에 가서 노란 귤을 따라 다니다가 친구가 됩니다. 귤이 처음부터 노란건 아니에요. 꽃이 피고 지면서 초록 열매를 맺고 그 초록이 귤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통해 뭐든 저절로 되는건 없다는걸 알게 되요.

비바람을 맞고 해를 받아 새콤달콤한 귤이 되듯 귀찮고 힘든 시간을 거쳐 규리가 된다는 걸 알게해 주는 책이에요. 규리가 스스로를 사랑하게 만들어주는 그림책, 귤이랑 노래해도 함께 흥얼거리게 됩니다.

겨울이 제철인 귤처럼 지금 이 계절이 제철인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한식이 설렁탕?
요즘 식구들이 독감에 몸살감기에
증상도 참 다양한 감기로 시달리는 중이라
소꼬리 사다가 푹 고아 먹었는데
온실가스를 얼마나 배출하고 있었던 걸까 나는?

소가 지구환경을 망치는 주범이라구?
고기를 안먹으면 단백질은 어떻게 섭취하지?
그 맛있는 고기를 안먹기로 결심한 이유는?
베지테리언이랑 비건은 뭐가 다르지?
지구의 기후를 위해 당장 실천할 수 있는건?
기후식사는 어떻게 하는거야?
이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

공복에 장보지 않기,
적게 먹기,
냉장고 털기,
유통기한 너머 소비기한까지 먹기,
필요한 먹거리만 사기,
시든채소 육수 만들기,
최소금액 맞추려고 필요한 양보다 많이 시키지 말기,
등등 실천 방법도 알려주는 책!

당장 비건이 되자는 얘기가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한에서
이왕이면 더 좋은 쪽으로 한걸음씩,
일주일에 하루라도,
가끔은 비건!

사랑스러운 만화그림과 이해하기 쉬운 글로 쓴
청소년도서지만
모두가 읽어야하는 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인선은 허리를 수그리고 부엌의 식탁 위에 촛농을 떨어뜨리는일에 골몰하고 있었다. 촛농이 충분히 모이자 그 위로 초를 눌러세웠고, 촛농이 우윳빛으로 굳기를 기다리며 붙잡고 있었다.‘

예전엔 초를 켤때 그랬어요.
가늘고 길다란 하얀 양초를 켤때,
심지에 불을 붙여 조금 녹으면
그 투명해진 촛농을 바닥에 몇방울 떨어뜨리고
그 위에 양초를 세웁니다.
그리고 손으로 살짝 붙들고
촛농이 우윳빛이 될정도로 굳으면
(나중에 이걸 똑 떼어내는게 은근 힐링이었던)
그제서야 마음을 놓듯 손을 놓아요.
그래야 양초가 넘어지지 않고 똑바로 서거든요.

초를 켜는 일이 드문 요즘,
물론 향기양초를 켜기는 해요.
안전한 케이스에 잘 담그져 있으니
그냥 진짜 불을 켜기만 하는...

아날로그한 것들이 불편하다는 생각도 있겠지만
그거이 주는 낭만이 있어요.
요즘은 촛불시위도 많이 달라져 초를 켜지 않지만
은은한 노란 불빛은 누구도 싫어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해요.

그때의 그 초를 켜는 모양새를
한강 작가는 친구 인선을 통해 보여주네요.

‘여러 가닥의 구슬띠 같은 형상의 촛농이
식탁위로 흘러 굳어 있다‘

촛농이 흘러내리면 구슬띠 같이 맺힌다는 는 표현도 참,
종이컵에 초를 끼우는 장면도 나오네요.
뭐 이런 글에 꽂혀서....

거대한 눈폭풍이몰아치는 밤,
어두컴컴한 산장같은 집에서
초를 켠듯한 분위기로 읽게 되는 소설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