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 2012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인류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역시 종말하거나 말거나 내 갈길을 가면 되는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잠깐의 외출로 떠나가는 가을을 배웅한 느낌이다 . 

어느새 은행잎들은 노랗게 물이 들자마자 땅으로 흩어져 내리고 있는지 

앙상한 가지들을 드러내고 서서 바들바들 떨고 있다.  

이제 가을을 이렇게 보내야하는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토요일
이제 막 개봉한 [2012]라는 영화를 보러 갔다.

그 말도 많던 2012년 인류의 종말이야기를 담은 영화!
과연 그 스케일이 어느정도일까 무척 궁금했는데 크긴 크더라!
우리 영화 해운대와는 비교할수 없을정도로 엄청난 장면들!
화산이 폭발하는 장면과 지진으로 모든 도시의 건물들이 일제히 무너지는 장면들이
정말 진짜 인류의 종말이라면 너무너무 처참한 상황일터인데도
그런 느낌보다는 주인공이 타고 달리던 자동차가
무너지는 도시의 빌딩들을 잘 빠져나가기를
비행기가 화산재속을 잘 탈출해 나가기를 손을 부여잡고
내가 그 주인공인것처럼 안간힘을 썼다.



                                                            (출처:네이버)
 
물론 내가 아니더라도 우리의 주인공이 죽을리는 없겠지만
너무 쏙쏙 잘 피하던 장면들은 조금 스릴감을 떨어뜨려 아쉬운감이 들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 자신의 아이들을 살리기 위해 애를 쓰는 부모의 모습과
마지막 죽음의 순간을 숭고히 받아들이던 가족의 모습
그리고 자신은 살 수 있었지만 젊은 사람에게 자리를 내어주던 대통령의 모습
그런 모습들을 보니 인류의 종말이란 그렇게 비참하기만 한것만은 아닌거 같은 느낌이들었으며
내일 종말이 오더라도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던 어느 철학자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21세기의 노아의 방주라고나 할까?
예수 이전 노아가 120년간 지었다는 방주!
에베레스트인가 어디선 그 잔해를 발견했다는 이야기도 들은기억이 나고
또 인류종말을 예언한 마야인들의 이야기를 나사의 과학자들이
절대 과학적으로 일어날 수 없다고 증명해주었다는 이야기도 들은 기억이 나지만
그것은 정말 알 수 없는 일!

이 영화속에는 정말 노아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 노아는 인류를 구원하는 데 한몫하기도 한다.
그리고 끝은 새로운 시작이란 이야기도 있다.
그런데 새로운 시작이 좀 깔끔했으면 더 없이 좋으련만
그건 욕심일까?

이 영화, 한번 봐줄만하다.
단 상영관을 선택할때 좀 큰 스크린을 가진 상영관 앞자리에는 절대로 앉지 않기를 바란다.
꽤 길었던 영화인지라 뒷목이 아프고 허리가 아파 그 재미가 반감했다는 뒷이야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를 위한 반 고흐 어린이를 위한 예술가
실비아 뤼티만 지음, 노성두 옮김, 로렌스 사틴 그림 / 다섯수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고흐를 떠올리면 붓터치가 강렬해서 살아 움직이는듯한 강한 인상을 남기는  
별이 빛나던 밤하늘 그림과 강렬한 노랑 색의 의자와 지울 수 없는 상처입은 자화상이  
떠올려진다.  
37세의 젊은 나이에 새을 마감해야했던 고흐의 삶을 아이들에게 이야기하자면  
어른들의 입장에서는 참 망설여지는것이 사실이지만  
이 한권의 책이라면 그런 걱정 하지 않고 그냥 맡겨두어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고흐와 떼래야 뗄수 없는 사이인 동생 테오! 
평생의 후원자이면서 평생의 친구였던 테오에 대한 고흐의 남다른 사랑처럼  
동생 테오의 형에 대한 남다른 애정 또한 이 한권의 책속에 고스란이 담겨있다.  
동생 테오가 형 고흐의 그림을 하나 하나 보여주며 과거를 회상하고  
형 고흐를 그리워하고 안타까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그대로 전해 받을수 있는  
참 감동적이 책이다.   

 

구두한켤레로 시작하는 동생 테오의 이야기로 형제의 사랑의 서문을 연다.  

'나는 테오라고 해.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동생이지. 우리집에 아기가 태어났어. 아직 첫 돌도 안 지난 갓난 아기야. 나는 아내와 상의 해서 아기 이름을 빈센트라고 짓기로 했어. 형의 이름을 따서 말이야. ' ---P8 

라는 형에 대한 사랑을 아낌없이 표현하며 구두 한켤레의 그림을 보여준다.  
무척 낡고 지저분할거 같은 무지 오래 신어 닳고 닳은 듯한 색이 바랜 구두한켤레.  
이 그림을 보며 고흐는 가난하지만 정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좋아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고흐가 본격적인 그림 작업에 몰두하게된 아를의 노란 집, 
그리고 침대 하나 의자 두개가 전부인것같은 아주 소박하고 초라한 방! 
그는 이곳에서 고갱과 함께 그림을 그리고자  그를 위해 수많은 해바라기를 그렸으나 
그것이 부담스러웠던 고갱과의 우정에 금이가고  
끝내 자신의 귀를 자르게 하는 치명적인 상처만을 남기고 말았다는 테오의 이야기에 
가슴이 아파오기까지 한다.    

그리고 정신 발작으로 인해 정신병원에 머물면서  
그가 점 점 더 주체할 수 없는 자신의 감정을 그림속에 온전히 쏟아부어 
그가 죽기까지 엄청난 그림을 그렸으며 결국 37세의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만다.  
그는 아마도 너무나 많은 그림을 쏟아내버려 더이상 살아갈 목표가 없어졌는지도 모르겠다.  
조금만 천천히 조금만 느긋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살았더라면 더 행복하게 생을 마감할 수 있지 않았을까?   



[사진출처:네이버]

그의 가장 멋진 그림인 [별이 빛나는 밤]을 보고 있자니  
밤하늘 생명력 넘치는 살아 움직이는 별들 어딘가에 고흐가 함께 있을것만 같은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동생 테오의 이야기에 공감한다.   

 '형이 별을 사랑했던 건. 희망과 안식과 영혼의 고향을 그리워했기 때문일 거야, 
형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쓸쓸한 나그네의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지,  
형은 아마도 나그네별이 되었을거야.'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촌길은 사실 삼청동길을 더 알아주는데  

그저 눈요기 하기에는 뭔가 무척 모자란단 생각을 하게 되는 곳이다.  

꼭 뭐 한가지라고 손에 거머쥐쥐 않으면 서운한곳이며 

아름다운 카페와 음식점들이 즐비해있어  

꼭 한군데라도 들어가보고 싶은 충동이 이는 그곳! 

그래도 소박하게 사는 나는 어느 하나도 손에 거머쥐지 않고 

어느 한군데도 들어가보지 못했지만 딱 한곳만은 자주 애용하는 곳이 있다.  

삼청동 수제비집! 

이곳의 수제비와 김치와 부침개의 맛은 정말 언제 먹어도 끝내주는데  

저 북촌을 이야기하는 두권의 책속에도 등장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