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우리소설 시리즈 ...돌베개에서 펴낸 우리 고전소설 시리즈로...... 

뛰어난 책얼굴面과 책 몸體을 자랑한다고 .....난 감히 말한다.!!   

정갈한 천에 흐르듯 민화를 그려 그것으로 책에 띠를 두른듯한 참하고 은은한 자태, 편안한 아름다움까지 주는 책디자인에 

책을 읽기도 전에 빠져버린건 어쩜 당연한 듯......이쁘다 못해 정갈하며 안정적글씨체로 정성스레 쓰인 책표지 제목까지......  

책과의 첫만남에서 인연만들기까지의 성공률은 책 표지와 책 제목에 따라 좌우되거늘........ 그럼 내용은? ㅎㅎ

"나 고전소설이요!!! " 라고 말하지 않아도 그 자태에서 삘(?)이 팍팍 풍겨오는 첫인상 호감도 100%를 자랑한다.  

책표지에 띠를 두른 민화를 눈여겨보면 열어보지 않아도 속 내용에 뭐가 들었는지....대충은 감이 온다!!

표지만 보고도 책의 내용이 충분히 상상이되니 책의 내용을 디자인이 잘 표현했다고...잘 받쳐주었다고 칭찬하고 싶다.  
조화율 최상!!

난 개인적으로 도발적인 책표지는 딱 질색이라서.......

 

 

 

 

 

 

 

 

 

 

 

 

 

 

 

 

 

뻔히 ~~아는.. 냄새나는 이야기가 아닌 감동+ 재미+ 흔치않음이 서로 잘 버무려진 신라말기 9세기부터 조선후기 19세기까지 

천년의 세월동안 이 세상에 존재했지만 마냥 흔하게만은 드러내지 않던 베스트 중에 베스트들을 가려서 모은 시리즈다...  

심청전, 춘향전, 흥부전에 지친이여 오라~~~ 천년의 우리소설 함께 읽어보자!! 

고전소설이 꼭 권선징악, 행복한 결말, 황당무계하다 못해 헛웃음 나오는 이야기만 있는것은 아니니.......

이 시리즈는 총 16권 출간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당초 계획대로 출간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꼬옥~~

우리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읽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난 약간 덜떨어진 애국자이니까....@@

튀기도 하고, 진하기도 하며,울컥하기도 한  고전소설을 잘 골라서 고전미와 정취는 살리고, 쉽고,현대적으로 풀어 잘 묶어낸 편역자(박희병,정길수교수)들의 성의가 대단하다.......   주요 이본들을 대비해서 하나의 올바른 정본을 만들어 낸후 그 정본을 바탕으로 번역작업을 했다고 한다.

한국의 고전소설은 이본 異本이 많고, 설령 같은 작품이라고 해도 이본에 따라 자세한 내용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때문이다. 

애정소설,  판타지소설, 전쟁영웅소설, 무협소설,풍자소설 등으로 각권 구분되어 출간된다. 

1권  <사랑의 죽음> 에 수록한 네 편의 작품은 17, 18세기에 창작된 애정소설이다. 

2권  < 낯선 세계으로의 여행> 에 수록된 작품들에는 이른바 '이인'(異人)이 여럿 등장하는데, 이인이란 간단히 말해 '이상한 사람'이다. 세상의 통념에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우리가 지닌 합리적 판단의 밖에 있는 사람들이다. 말하자면 우리 손아귀에 잡히지 않는 그런 존재들이다. 이 작품들에는 '초월'을 향한 열망, 우리가 속해 있는 이 세계의 '경계'와 통념을 뛰어넘고자 하는 발상, 낯선 세계에 대한 동경과 호기심이 투영되어 있다. 

3권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는 우리 민족이 스스로의 의지와 무관하게 전란의 격랑에 휩싸인 시대였다. 수많은 사람이 전란의 희생물이 되어 죽어 갔으며, 설사 살아남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피눈물 나는 가족 이산을 겪거나, 가족을 저세상으로 떠나보낸 채 슬픈 삶을 살아가기 일쑤였다. 이 책에 수록한 네 편의 작품은 모두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4권 <기인과 협객> 이 책에는 기인奇人과 협객俠客을 주인공으로 한 16편의 한문 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기인과 협객 중에는 세상 속에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이도 있지만, 속세와 떨어져 숨어 사는 이가 대부분이다. 대개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이들은, 말하자면 ‘숨어 있는 고수高手’인 셈이다. 

5권 <세상을 흘겨보며 한번웃다> 이 책에 실린 일곱 편의 작품은 조선 후기에 한문으로 창작된 단편소설이다. 가벼운 웃음 혹은 의미심장한 웃음을 주는 소설들을 모았는데, ‘웃음’이라는 게 본래 화합의 기능도 있지만 세상을 비틀고 꼬집는 기능도 있는 만큼 이 중 상당수의 작품은 세태를 고발하고 풍자하며 예리한 방식으로 주요한 사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작품들 역시 엄숙함 내지 무거움에 짓눌리지 않은 모습이어서 유쾌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다. 바로 ‘웃음’의 힘이다 

6권 <끝나지 않은 사랑> 이 책에 실린 6편의 작품은 15세기와 16세기에 한문으로 창작된 애정소설이다. 동시에 애정소설의 범위를 넘어서 16세기까지의 우리 소설 전체를 대표하는 작품들이기도 하다. 신라 말, 고려 초 무렵 창작되기 시작한 우리 소설이 꽃을 피운 시기가 15세기와 16세기 이기 때문이다.

우리집 책장에서 수줍은 듯 ..그러나 뛰어난 자태는 숨길수 없어 터져버릴듯...가만히 있는 이쁜이들.....  

근데 4권은 어디갔니? 또 누구야!! 내책에 손댄사람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jy 2011-05-30 1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운치있는 표지가 맘에 듭니다~ 근데 이거 반양장인가요? 고전소설이라니 왠지 내용이 궁금하네요^^
손댄거보니 그사람 저랑 통합니다..네잎클로버 행운의숫자4ㅋ

블루데이지 2011-05-30 19:25   좋아요 0 | URL
양장입니다...오늘 하루종일 이 책 찾아 삼만리 중입니다.^^ 도대체 어디로 갔을까요? ㅋ큭
표지 정말 그윽합니다...^^ 좋은 밤 보내세요~!!
 

공재恭齋 윤두서 尹斗緖 (1668~1715) 

그는 시,서,화에 두루 능하고, 유학, 경제,지리,음학,의학방면에도 뛰어났던 한마디로 박학다식한 조선 후기 선비화가이다.  

시조 어부사시사, 오우가를 지은 고산 孤山 윤선도尹善道 의 증손이며, 다산 茶山 정약용 丁若鏞의 외증조부다. 

정선 鄭敾, 심사성 沈師正과 함께 조선 후기의 삼재 三齋라 일컬어진다. 천재적 재능을 지녔다고 한마디로 이야기하고싶다.

특히 말그림과 인물화를 잘 그렸는데 예리한 관찰력에 의한 정확한 묘사를 보여준다.    

 

 공재 윤두서가 궁금하다면......... 

<공재 윤두서>

학술적인 저서이며 동시에 일반 독자를 배려하였기 때문에 평이한 서술과 자연스러운 전개 방식을 사용했다. 개별 회화 작품에 대한 분석도 있지만 서술의 중심은 윤두서의 일대기에 있다 보니, 개별 회화 작품에 대해서는 심층적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대신 윤두서의 일대기를 생생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살아 있는 사람과 대화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흔히 윤두서 하면 자화상(윤두서상)이 생각난다. 한국회화사에서 불후의 명작으로 평가받은 작품이다. 더 예리한 객관적 관찰력, 정확한 묘사를 거론할 필요가 없게 만들지 않는가...?  목과 몸체가 없이 얼굴만 그려져있는 자화상,,,조선시대 유교윤리기준으로 봤을때(자신의 신체일부를 떼어낸채 그림을 그렸다는자체)는 크게 파격적이다 못해 충격적이다. 정말 객관적 관찰로 그려진 자화상인지...의심이 든다.!!! 아무리봐도 의도적으로 왜곡하여 그린것으로 보이기때문이다. 객관적 관찰을 통해 사실적 묘사의 그림을 추구했던 그가 왜 왜곡하여 그린것일까?<아래 역사스페셜 방송 참고>  

저번주 방영된 역사스페셜을 보면 

<'윤두서 자화상의 비밀'> 자화상의 비밀코드는 무얼까> 

보는 이를 압도하는 강렬한 눈빛, 꼿꼿하게 뻗은 수염, 터럭 한올도 놓치지 않은 세밀한 붓 터치. 한국 회화사에서 전무후무한 명작으로 평가받는 윤두서의 작품 '자화상'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목 아래 몸체 없이 오직 얼굴만 그려져 있다. 신체 일부를 떼어내고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던 18세기, 조선 사대부 윤두서는 왜 금기를 깨면서 이런 파격적인 그림을 그린 것일까? . 

 윤두서는 객관적인 관찰을 통해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화가였다. 하지만 그의 '자화상' 속 구레나룻은 사자 갈기처럼 좌우로 뻗어 있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의도적으로 왜곡해 그린 것이 분명하다"고 한다. 제작진은 적외선 촬영과 X선 촬영 등 과학적 분석을 통해 왜 윤두서가 이런 자화상을 그린 것인지 살펴봤다. 또 수염 한 올의 굵기가 1㎜도 채 되지 않는 자화상 속 수염을 통해 어떻게 이런 정밀한 묘사가 가능했던 것인지 살펴본다.


 

 

한동안 이 자화상만 보면 머리가 아파오던 시절이 있었다...그 기가 너무나도 센것같아서 ...너무 개성적이서....

보는 것만으로도  압도당하여 기가 죽어서 그 감정을 다스리기가 쉽지 않았다.... 금방 튀어나올듯한 기상에 움찔한다.

마냥 잘나게만 보이고, 완벽한 모습의 명문가 자손같아만 보이던 그분의 모습이 점점

 어느날 부터인가 이 자화상을 물끄러미 보고 있자면...왠지 모를 쓸쓸함, 고뇌어린 애절함같은 것이 느껴졌다... 

아마 그 분의 생애에 대해 알고나서 부터인듯 싶다......

명문가의 자손이지만 현실사회에서는 그것이 오히려 힘든 굴레였던...... 그는 당대 대부분의 선비들처럼 선비로서 출세하려는 야망은 있었지만 극심한 당쟁 속에 친구와 형제를 잇달아 잃은 희생자로 그로 인해 입신양명의 꿈을 버리게 되고, 그 꿈을 서화를 통해 새로운 변혁을 시도한다. 가혹한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며 자신의 길을 찾고자 한 강한 의지와 다짐의 표현이다. 

 

 

 

조선 선비화가의 선구자로 불리는 것과 동시에

그가 남긴 작품 중 <나물캐는 아낙네>, <밭가는 농부>, <짚신 삼는 사람>은 모두 하층민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한것으로 

그래서 18세기 김홍도의 풍속화의  바탕이 되는 서민풍속화의 창조자, 개척한 작품들로 평가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인물화, 산수화,풍속화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명분과 이념을 강조한 성리학풍에서 벗어난 새로운 선비 그림을 창조한  

그를 곧 실학적이라고 표현해 될까... 감히 말해도 될까싶다.....

그의 회화사는 곧 조선사, 인물사, 예술사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jy 2011-05-30 17: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거 테레비봤어요~
정면!을 그린 초상화에 촛점을 맞춰도 그 시대상과 화가의 인물됨됨이 등등 멋진 이야기가 구구절절 나오고, 뒷면을 채색하는 그림그리기 방법론적인 부분만 따로 해도 재밌을거 같고, 배접에 관련된 이야기까지 하면 문화재보관, 복원등 점점 다른 방향으로 심도있는 접근이 무궁무진하더라구요~
뭔가 수박겉핧기 같은 아쉬움이 남지만 공부해볼까 하는 자극이 엄청되더군요^^;

블루데이지 2011-05-30 19:33   좋아요 0 | URL
저는 예전에 비해 역사스페셜 프로그램 구성 짜임이 빠릅니다...예전엔 좀 더 자세히 ..좀 더 천천히....의 방향이었다면 요즘은 최소한의 핵심만.다각도의 방향에서 가운데로 몰아서..빠르게 훓고 넘어가더라구요^^ 역사에 대한 설명은 역시 너무 빨라서도, 너무 느려서도 안되는 어려운 것인가봅니다. 역사스페셜이 이제는 미리 예습을 좀 하고 봐야되는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미리 보기가 없으면 어떻습니까? 설령 목차가 없다 한 들 어떻습니까?  

나의 장바구니에 넣고 바로 결제가능성 100%인 책을 소개합니다. 

 

 < 장서각에서 옛 기록을 만나다> 

장서각藏書閣'이 어딘데? 

장서각藏書閣'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부속된 한국학 전문 도서관이다.

원래는 1918년 창덕궁에 
설립된 조선 왕가의 왕실도서관이다.

원래 왕실도서관 기능을 하던 규장각은 대한제국에 오면서  
그 기능이 축소되었다.  

그러나 고종은 1908년 그 기능을 회복하고자 전적들을 모으고, 규장각을

대신할 새로운 
서고 건립을 추진하다가  드디어 1911년 적상산사고본의 실록, 선원보각의 자료등

흩어진 자료를 수집하여 이왕직 장서각을 건립, 그후 1915년에 창경궁 낙선재 동남쪽에 새 서고를 지어  

서적을 이전하였고 1918년 '장서각 藏書閣' 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그 후 한국전쟁동안 많은 도서가 소실되었고, 적상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1760권 900책이 북한으로 반출되었다. 현재 북한에서 소장 중....

장서각에는 조선왕조의 왕실족보, 국왕의어제어필류, 왕실탁본자료, 왕실고문서류, 군영자료, 낙선재 고소설,한말일기자료 

등  국내 유일 본들이 상당수 포함된 왕실문화와 관련된 자료의  종류가 8만 3천여책에 이른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함께 조선 국가왕실 문헌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곳이다. 

14만여 책의 규장각 자료가 국가통치 관련 자료 중심인 데 비해 8만 3천여 책의 장서각 자료는 국가왕실문화와 관련된  

자료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와 함께 장서각은 민간 사대부가에서 기증·기탁 받은 고문헌 15만여 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조선 왕실의 전적을 보존하고 관리하며 한국학연구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등 한국학, 고문헌 연구에 기여하고 있는 장서각 되시겠다.. 

현재 민간기탁, 기증고문헌의 증가로 신축 필요성에 의해 2009년 착공되어 현재 5월 완공된걸로 알고 있다.  조선시대사고건물을 형상화했다고 하며 다음달쯤 이전 개관하여 6~9월에 특별전시회를 연다는 소식이 들린다.  

장서각의 신축개관으로 왕실도서관의 위상을 회복하고, 왕실도서관의 전통을 계승하며, 한국학의 활발한 연구활동의 메카로, 

그리하여 고전을 보다 많은 일반대중에게 이해시키고, 더불어 제대로 된 , 바로세워진 역사관 함양에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책소개를 보자...

<장서각에서 옛 기록을 만나다>는 위에서 내가 말한.... 장서각 소장 자료의 특성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아홉 개의 주제로 구성하였다.

장서각의 역사와 현황, 왕실 구성원의 계보도이며 동시에 조선시대 통치 인맥의 기록인 왕실보첩, 군사제도에서 군대의 일상까지 조선 밀리터리의 모든 것을 찾아볼 수 있는 군영등록, 조선의 역사와 왕실 기록물의 품격을 보여주는 이십공신회맹축과 각종 회화 자료, 임금 영조가 조선의 왕으로 혹은 한 개인으로 마음에 담긴 이야기를 진솔하게 적은 영조어제, 왕실 여성들이 읽었던 세상에 단 한 권뿐인 필사본 명품 소설들, 왕실의 잔치음식, 장수음식에 버무려진 유교이념을 전하는 음식문화, 마지막으로 전국 각지에 흩여진 민간 사대부가의 고문헌 수집, 보존에 얽힌 사연 등을 담았다

역사와 자료_장서각, 100년의 역사와 새로운 도약
왕실보첩_조선을 다스린 거대 인맥의 기록
군영등록_조선 군대의 일상을 만나다
낙선재본 고전소설_왕실, 소설에 빠지다
영조어제_영조의 마음에 담긴 이야기를 듣는다
이십공신회맹축_조선왕실 장황문화의 정수
음식문화_조선왕실의 음식을 맛보다
회화 자료_왕실회화의 수준과 품격을 감상하다
기증기탁 고전적_장서각을 빛내는 또 하나의 보물

 

 

역사비평 95호가 출간되었다... 

아직(5.28일기준) 미리보기는 커녕 책소개, 목차도 안 올라와있는 따끈하다 못해 뜨거운 책이다.. 

그러나,,,,,,,,,,기다리는 계간지 중 변하지 않는 내마음속 1위의 책이기때문에.......

의심하지 않는다!!     

 

봄계간지를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여름호가 더 기다려진듯.... 

 

 

 

역사문제연구소 간행물  <역사문제연구>, <역사비평>중에서......

<역사비평>이 그나마 대중적인 학술지라서 그런지  한국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성과를 

담은 좀 더 전문적인 것 같은  <역사문제연구>학술지 보다는 술술 잘읽혀지는 편.......
 

   
                                               역사문제연구 제 25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동차 매거진'을 넘어 새로운 차원의  ' 자동차 포토 저널리즘'을 개척한다는 월간지  

<BBC톱기어> 

한국판 창간 6주년을 기념하는 Topgear Portfolio <THE TIMELESS MOMENT>  

BBC 톱기어 한국판이 직접촬영, 축적해온 자동차와 인물 사진중 가장 극적순간을 담아낸 200여장의 베스트컷을  골라 담아낸 포트폴리오다..... 

사진마다 date. location, photographer를 실었고, 사진에 얽힌 일화도 공개한다.  

자동차뿐만아니라 멋진사진에 눈이 많이 가는 사람들에게 소장가치있는 책일듯하다니..... 

나 또한 그런 듯 싶다.  !!

ㅋㅋ 신랑사줘야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5-27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리집에 있는 바둑판과 바둑돌, 장기알의 쓰임새는? 

1. 오목두기 

2. 윷놀이 말 

3. 작은아이 숫자공부  

4. 가끔 가뭄에 콩나듯 뒤집어 두는 장기놀이 

바둑의 '바'자도 모르는 가족에게 집에 어이 바둑판과 바둑돌이 있는지는....잘 모르겠다..... 
아마 산만한 큰아이 집중력 기르기 위해서 특별바둑수업을 시킬 예정으로 구입했던것 같은데... 
아이가 질색하는 바람에........엄마의 희망사항으로만 끝났던 걸로 기억한다.... 

간혹 신랑과 오목을 두는데...항상, 열만 받고 끝나고 만다....왜 꼭 난 지는 거냐구...별것도 아닌거에...승부욕 제대로시다...!!  
사실 바둑면보다는 장기면을 더 이용한다...
바둑보다는 장기가 나에게는 더 맞는듯 하다... 바둑은 배워보려다 포기했고...장기는 장군이요! 멍군이요! 하고 소리지르며 배워서 그런가 보다!!
말들이 움직이는 규칙만 알면 참으로 주거니 받거니 하는 그 맛이 참 쏠쏠하다..    

근데 난 지금 바둑이야기를 하는건지? 장기이야기를 하는 건지? 만화이야기를 하려고 서론이 길은건지? 아리송.....??? 

다 제끼고....

<<3월의 라이온>>....허니와클로버의 작가 우미노 치카의 작품이다.  

3월의 라이온이라는 제목은 영국 격언 March comes in like a lion, and goes out like a lamb 에서 앞부분인 March comes in like a lion에서 따왔다고한다. 지금은 힘들어도 언젠가 쨍하고 해뜰날이 온다는 뜻이지 싶다....

처음 1권이 나왔을때 내가 알고 있는 장기와도 다른것 같고, 커버일러스트 주인공이 너무 우울해 보여 관심이 안가다가 2권에서의 커버일러스트의 주인공인 히나타의 모습에 확~~ 빠져버렸다..  

만화책이 8천원인 이유를 일러스트를 보니까 알듯하다...

이 만화를 집중해서 꾸준히 보고 있는 조카의 말에 의하면.......웃기기도 하고, 눈물이 나기도 하고...한 내용이라는데... 

더이상 묻지 말라길래 안 물어봤다...나는 참 말 잘듣는 고모다..ㅋㅋ

책 내용을 보면...

주인공 키리야마 레이는 17살의 프로 장기기사. 어린 시절, 사고로 가족을 잃은 레이는 마음에 깊은 고독을 안고 있었다. 장기에 대한 어정쩡한 자세 때문에 고뇌의 나날을 보내고 있던 레이 앞에 나타난 것은 아카리, 히나타, 모모 세 자매. 밝고 상냥한 그녀들과 접하는 동안, 레이의 마음에도 조금씩 변화가 싹트는데…. 이더라~~ 

현재 5권 예판중인데....한번 1권부터 읽어 보려고 한다. 

5권의 커버일러스트가 왠지 짠하고~~ 찡하다...한동안 저모습이 잊혀지지 않을것 같다!! 레이의 어린시절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