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아기의 방 Peliculas para no dormir: La habitacion del nino, 2006
감독 : Álex de la Iglesia
출연 : Javier Gutiérrez, Leonor Watling, Sancho Gracia 등
등급 : ?
작성 : 2011.08.25.

 

“눈에 보이지 않음도 때론 보일 지어니.”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눈을 가리고 숫자를 뭔가 날림으로 세는 소녀의 모습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는 아이들이 숨바꼭질을 하고 있음을 보이는데요. 폐가로 들어선 소년이, 으흠? 바닥에 고여 있는 물속으로 빨려들어 갑니다!
  그렇게 술래였던 소녀가 세월이 흘러 어느덧 할머니가 되어버렸다는 것은 일단 옆으로 밀어두고, 갑자기 집들이를 온 친척을 맞이하는 가족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으며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그리고 그런 친척의 딴지야 어찌되었건 행복한 결혼생활을 보이던 그들의 삶에 어둠이 몰려오는데요. 바로, ‘베이비폰’을 통해 아기 소리 말고 다른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다는 것인데…….

 

  으흠. 두 주연배우가 눈에 익다 싶어 조사를 해보았지만, 모르겠습니다. 거기에 작품 자체도 뭔가 익숙한 느낌이 들어 한참을 고민 했는데요. 아하! 그렇군요! 영화 ‘파라노말 액티비티 Paranormal Activity, 2007’를 거친 다음, ‘알.이.씨 2 [●Rec]2, 2009’로 마침표가 찍히는 것 같습니다! 크핫핫핫핫핫핫!!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그자체로 ‘남녀탐구생활’이었다구요?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결말인데 어떤 작품인지 기억이 안나신다구요? 네?! 우리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표를 품고 있었다구요? 으흠. 하긴 이번 작품을 ‘평행차원’이나 ‘시공의 문’같은 이야기로 생각할 수 있겠군요. 감사합니다. 아무튼, 외모는 같은데 다른 사람으로 변하고 말았다는 설정이 익숙하긴 한데, 혹시, 영화 ‘미러 Mirrors, 2008’? 아니면, ‘우주의 침입자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1978’? 그것도 아니라면, ‘페이스 오프 Face/Off, 1997’…는 조금 무리군요. 분명 딱 이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생각이 안 납니다. 그리고 ‘남녀탐구생활’은 제가 안 봐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남자와 여자의 입장 차이에 대해 멋지게 연기하지 않았나 싶군요.

  

  이상합니다. 이 작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 같은데도, 다른 영화들이 자꾸만 떠올라 제목을 적었다 지웠다를 반복하고 있었는데요. 그런 ‘입체감상타령’은 그만 하고 작품에만 집중을 해봅니다. 즉흥 감상에서도 언급했듯, 보이지 말아야 할 것들을 보게 됨에 발생하는 일을 이야기하고 있었는데요. 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해버렸다가는 발설이 되고 마니,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작품과 만나시어 감상의 시간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네? 더 이상 할 말 없는 거 다 알고 있으니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시리즈’를 어디서 구했는지 실토하라구요? 이거 왜이러십니까. 국내로 정식 수입도 안 해줄 작품 겨우 구해 이야기한다고 찔러보시는 당신은 혹시, 현상금사냥꾼? 글쎄요. 소환은 자주하는 편이나 방출은 엄격히 금지하는 편이라고만 해두지요! 크핫핫핫핫핫핫!!

  

  다른 차원의 ‘나’를 만난다는 것. 글쎄요. 작품의 주인공은 ‘살인자’인 자신을 만나버렸지만, 또 다른 차원의 저는 어떤 생활을 하고 있을지 궁금한데요. 그거야 어찌 되었건, 영화 ‘셋방 있음 Para Entrar A Vivir, 2006’의 감상으로 이어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합니다.

  

  덤. 위에서 계속 고민 하던 작품은 아마도 영화 ‘오시키리 押切, 2000’인 것 같습니다만, 다른 분들은 또 어떠신지요?

 

TEXT No. 1595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비난 Peliculas para no dormir: La culpa, 2006
감독 : Narciso Ibáñez Serrador
출연 : Nieve de Medina, Montse Mostaza, Alejandra Lorenzo 등
등급 : ?
작성 : 2011.08.24.

 

“함부로 대하면 다치는 수 있으니.”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모래바람이 부는 인적 없는 도시의 밤. 개가 짖는 듯한 소리를 배경으로, 누군가가 주검을 질질 끌고 사라지며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런데 그 모든 것을 계단위의 소녀가 목격하고 있군요.
  그렇게 해맑은 미소와 함께 퇴근길에 오른 여인을 보이는 것도 잠시, 다른 여인을 차에 태웁니다. 그리고는 홀로 넓은 집에서 개업의를 하고 있는 여인 집에, 나름의 사정으로 딸과 함께 신세를 지게 되는 두 번째 여인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는데요. 뭔가 이상한 느낌이 그녀를 자극하지만, 처음에는 새로운 환경이려니 하면서 일단 넘깁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떤 이상한 일들이 예상을 벗어나기 시작했음에, 그녀는 딸과 함께 살아남기 위한 나름의 발버둥에 임하지만…….

 

  흐응~ 이거 참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일상적인 이야기 속에서 피어나는 어둠의 판타지? 아니면, 금기된 것들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그것도 아니라면,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종합선물세트? 아무튼, 다시 보면서는 첫 만남 때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는 것 같아 재미있었다고만 속삭여보겠습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사실은 뭐가 뭔지 알 수가 없는 이야기였다구요? 생명경시풍조에 대한 일침을 품고 있었다구요? 네?! 상황이 만든 공포의 환상이 현실을 잠식하는 현상에 대해 심도 있는 접근을 시도 하고 있었다구요? 으흠. 하긴, 그것이 약간의 오해와 함께 주인공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죄의식’이 만들어낸 악몽이라면, 글쎄요. 로또에 당첨 되어도 불안증에 시달리시는 분은, 천당보다도 지옥을 마주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비유에 합당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생명경시풍조’라는 말을 정말 오랜만에 들어본 것 같은데요. 그만큼이나 현대의 삶은 ‘다양하고 복잡한 경시풍조’가 만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첫 번째 분의 의견은, 음~ 제가 남자인지라 여자들만 출연하는 영화에 대해 이해의 한계가 있지 않을까 했는데, 다른 분들도 그러셨다면, 아무래도 ‘문화정서의 차이’를 말해보고 싶어지는군요! 크핫핫핫핫핫핫!!

  

  개인적으로는 소재가 비슷했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연속극 ‘엠 M, 1994’을 떠올리며 만남에 임했습니다. 물론 연식이나 장르특성상 모르시는 분들은 어쩔 수 없지만, ‘인공 유산’이라는 배경과 함께 그려지는 케첩파티가 주된 내용이었기 때문인데요. 아아아. 삶이라. 저는 그저 내일을 위해서라도 오늘 하루를 살아남아보렵니다.

 

  네? 더더욱 알 수 없어지는 소리는 그만하고 ‘종합선물세트’에 대한 설명이나 해달라구요? 으흠. 즉흥 감상도 아니고 종합선물세트라니, 아무튼, 집안에서 세발자전거를 타고 질주하는 소녀의 모습에서 ‘직소인형’ 아니, ‘오멘 시리즈’가 떠올랐다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그래서 ‘저것 봐! 역시 저 여자애가 악마라니까!’를 연발했는데요. ‘엠’은 위에서도 언급했으니 일단 넘기고,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 몇몇 작품들에 대해서는 다른 전문가 분들께 도움의 손길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어느 한 장면을 딱 꼽을 수 없다는 점이 답답하군요.

  

  아무튼, 이렇게 해서 또 한편의 작품을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아기의 방 La habitacion del nino, 2006’으로 감상문을 이어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하는데요. 음~ 비가 촉촉이 내리는 야심한 밤. ‘백제 쌀국수’가 별미로군요!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595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크리스마스 이야기 Peliculas para no dormir: Cuento de Navidad, 2005
감독 : Paco Plaza
출연 : Maru Valdivielso, Christian Casas and Roger Babia 등
등급 : ?
작성 : 2011.08.23.

 

“선무당은 결국 사람을 잡고 마는가?”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뭔가 엽기적인 장식으로 가득한 검붉은 복도를 걷는 금발 미녀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는 ‘좀비(?)’의 습격을 받는 것도 잠시, 남자가 등장해 상황을 해결하는군요.
  그렇게 시작의 화면은 사실 영화였으며, ‘1985년의 크리스마스이자, 황금빛 해변도시인 Cubelles’라는 설명과 함께, 자전거로 해안도로를 질주하는 아이들을 보입니다. 그리고 다섯 번째 멤버로, 소녀가 무엇인가를 발견하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리는데요. 바로, 깊은 구덩이에 산타복장의 여인이 빠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상황을 어떻게든 해결해보려는 노력 중에, 아이들은 생각지 않은 대형 사고를 저지르고 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좀비물’입니다. 그럼에도 기존의 공식을 떠올리시면 안 되는 것이, 이번 작품은 전염이나 변이 등 아포칼립스에 이르는 어떤 생물학적 위험이 없었는데요. 여기서 조금만 더 말해버렸다가는 그 자체로 발설이 되고 마니, 직접 작품과 만나시어 감상의 시간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영화 ‘판의 미로-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 Pan's Labyrinth, 2006’의 소녀를 기억하는 자라면 꼭 봐야할 작품이라구요? 어쩐지 연기를 잘한다 싶었다구요? 네?! 호기심이 광기로 치닫는 이야기를 귀염살벌하게 잘 담아내고 있었다구요? 으흠. 동감입니다. 아이들의 순진무구함과 그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섬뜩한 잔인성까지 잘 표현하고 있다 생각했는데요. 구출하려다가 지명수배자라니 다시 밀어 넣고, 은행털이범이라기에 돈을 요구했다가, 결국에는 나름의 부두의식까지? 어떻게 보면 ‘좀비의 원형’을 탐구하는 멋진 작품이기도 했군요! 아무튼, 다른 애들은 모르겠고 소녀의 연기가 남다르다 생각했지만, 과연이었습니다. 그래서 필모그라피를 살펴보니, 으흠. 아직은 작품이 많이 안보이는데요. 그래도 장르만 봐서는, 언젠가 하나씩 만나게 될 것만 같습니다! 크핫핫핫핫핫핫!!

 

  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원제목의 의미를 알려달라구요? 왜이러십니까! 영어라면 인터넷에도 사전이 널려있지만 ‘스페인어’이지 않습니까! 그래도 나름 열심히 조사해봐서는 ‘Cuento’는 영어로 ‘이야기’를 ‘Navidad’는 ‘크리스마스’를 의미한다고 하니, 영어제목인 ‘The Christmas Tale’가 맞긴 맞군요. 즉 ‘크리스마스 이야기’라는 것인데, 다른 의미를 알고 계시는 분 있으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유인즉, 강의 이름에도 ‘Navidad’가 있어서 말이지요.

  

  네? 두 번째로, ‘잠 못 들게 하는 영화’가 뭔지 궁금하시다구요? 설명을 안 해드렸던가요? 그렇군요. 저도 자세한건 모르겠습니다만, 스페인의 TV영화로 여섯 개의 이야기를 방영했다고 하는데요. 한국식으로 말하면, 거 뭐였지요? 연속극은 아닌데 단막극으로, 아! ‘전설의 고향’과 비슷하지 않나 합니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그 역사가 1977부터 시작된 것으로 나오는데요. 중간에 극장판으로 하나 있었고 2009년이 마지막으로 되어있으나, 더 이상의 ‘전설의 고향’이 존재할지가 의문입니다.

   

  아. 작품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이, 궤도이탈이 발생해버렸군요. 죄송합니다. 사실은 작품을 마주하며 영화 ‘스탠 바이 미 Stand By Me, 1986’가 떠오르기에 입체감상을 시도할까 했지만, 너무 길어지는 듯해 참아보구요. 영화 ‘비난 La Culpa, 2006’의 감상문으로 이어보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합니다.

  

TEXT No. 1593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진정한 친구 Películas para no dormir: Adivina quién soy, 2006
감독 : Enrique Urbizu
출연 : Goya Toledo, Nerea Inchausti, Josep Maria Pou 등
등급 : ?
작성 : 2011.08.22.

 

“부디 그 망상이 현실이 되지 않기를 기도하나이다.”
-즉흥 감상-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진지하게 기도하는 남자는 잠시, 그렇군요. 좀비와의 전쟁…이 아닌, 뭐지? 악마? 아무튼, ‘무엇’인가를 쫓아다니고 있었음을 알리는 것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렇게 이번에는 홀로 밥을 먹으며 공포영화를 즐기는 소녀가 바통을 받는데요. 뭔가 ‘레더페이스’의 짝퉁을 보고 있다는 것은 일단 넘기고, 퇴근하는 엄마를 보이는 것은 살짝, 어떤 외딴 공간에서 자신만의 친구와 만나는 소녀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한편, 시작에서의 남자가 나타나 엄마에게 ‘그’가 돌아왔다고 경고를 하고, 소녀는 두 번째 친구인 ‘뱀파이어’를 집에 초대하는데요. 이런! ‘뱀파이어’의 정체가 사실은 모녀를 찾아다니던 ‘그’라는 것이 밝혀지는데…….

 

  결론을 말해보면, 재미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좀비와의 전쟁을 그리는 것이 아닐까 했다가, 엑소시스트로 넘어가는 듯 하더니, 이번에는 망상이 현실로 넘어가가는 듯 했는데요. 결말에 다다르는 순간, 그 모든 것을 뒤집어버리는 충격적인 반전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결말을 알려달라구요? 이 스포일러쟁이야! 라구요? 네?! 이 작품을 통해 장르의 혼란을 경험한 자는 이미 할리우드 공식에 잠식당한 감성자라구요? 으흠. 감성자는 또 뭔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만, 혹시 ‘감성을 지닌 사람’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무튼, 간추림의 막바지에 언급된 것은 ‘발설’이 아닙니다. 어떤 한 가지 이야기 안에서는 그럴지 몰라도, 다양한 이야기가 중첩되어있으니 말이지요. 그리고, 아시지 않습니까. 저는 결말을 말하지 않는 젠틀한 감상자라는 것을요! 크핫핫핫핫핫핫!!

  

  아아. 죄송합니다. 오늘 퇴근 전에 정신적인 압박을 심하게 받았다보니 실이 조금 풀린 것 같습니다. 아무튼, 다시 만나면서는 작품 전반에 숨겨진 힌트들이 눈에 들어오며, 처음 만났을 때와는 다른 깊고 입체적인 맛을 선물 받아버렸는데요. 별의 이름을 가진 아이의 달콤 살벌한 망상판타지를, 조심스레 추천해보고 싶습니다.

 

  네? 더 이상 할 말 없는 거 다 알고 있으니, 제목의 의미를 풀어달라구요? 으흠. 당장 스페인어 사전이 없어 구글에 번역을 의뢰하니 ‘누구게?’라고 알려주더라는 것은 일단 넘기겠습니다. 대신 영어제목이 ‘A Real Friend’으로 되어있음을 알게 되었는데요. 국내에서는 ‘진정한 친구’라고 제목이 돌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상상의 친구가 아닌’? 아니면, ‘현실이 된 친구’? 그것도 아니라면, ‘실존하는 벗’…은 좀 어렵군요. 아무튼, ‘진정한 친구’도 내용상 틀린 말은 아니기에 일단 넘겨봅니다.

 

  ‘상상의 친구’라. 그러고 보면 저의 어린 시절에도 나름 상상의 친구가 있었던 거 같은데, 으흠. 잘 생각이 안 납니다. 아마 나이 들어서도 그런 게 보인다면 ‘정신분열증’이니 뭐니 하면서 병원에 가보라고 할 것 같은데요. 문득 영화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 떠올랐으며, 아직 감상문이 없다는 사실에 조만간 만나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럼, 영화 ‘크리스마스 이야기 Cuento de Navidad, 2005’의 감상으로 이어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하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애프터 다크 호러패스트 시르즈’보다는 더 감칠맛 나는 것 같습니다!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591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슬로터 Slaughter, 2009
감독 : 스튜어트 홉웰
출연 : 루시 홀트, 에이미 쉴즈 등
등급 : R
작성 : 2011.08.19.

 

“어떤 일탈을 꿈꾸게 하는가?
우리네의 인생은,”
-즉흥 감상-

 

  ‘애프터 다크 호러패스트 2009 이어달리기’라는 것으로, 다른 긴 말은 생략하고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음악소리에 섞여 들리는 비명소리와 함께, 문득 정신을 차리는 누군가의 눈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는 몽롱한 의식 속에서 깨어나는 이가 여인이며, 속박당하고, 어디론가 끌려가는데요. 필사적인 애원에도 불구하고 호수 아래로 가라앉고 맙니다.
  그렇게 ‘실제 사건을 토대로 함’이라는 안내는 살짝, 남자친구를 피해 도시에서 새로운 삶을 열어나가기 위해 길을 달린다는 두 여인을 보이는데요. 그중 주인공으로 보이는 여인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고, 클럽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인 다른 여인을 구하는 것으로 본론으로의 문이 열립니다. 그리고는 외로운 도시에서의 삶에 새로운 인연으로 받아들이지만, 흘러가는 시간은 그녀에게 위험이 닥쳐오고 있음을 속삭이고 있을 뿐이었는데…….

 

  영화 ‘레이크 데드 Lake Dead, 2007’에서도 언급한 작품을 드디어 소개해본다는 것은 일단 넘기고, 아아. 가장 궁금한 제목부터 그 의미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사전을 열어보니 ‘1. (가축의) 도살 2. (특히 전쟁에서의) 대량 학살, 살육 3. (가축을) 도살하다’라고 되어있었는데요. 으흠. 단지 제목만 보면 영화 ‘프런티어 Frontier(s), 2007’가 떠올랐지만, 일단은 이번 작품에 집중을 해보겠습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떤 기분으로 만나셨을까나요? 되다만 영화 ‘위험한 독신녀 Single White Female, 1992’였다구요? 그것보다는 되다만 영화 ‘룸메이트 The Roommate, 2010’였다구요? 네?! 외국 것만 보지 말고 국산 영화 ‘도살자 The Butcher, 2007’도 신경 좀 써 달라구요? 으흠. 이거 이번 작품에만 집중을 해볼까 했지만 다른 분들이 도움을 안주시는군요. 아무튼, 마지막의 국산영화도 소환의 시간을 가지긴 했습니다만, 글쎄요. 제가 아무리 잡식성이라지만 고어에는 조금 약합니다. 그리고 ‘룸메이트’는 연식이 1년 늦은지라 순서를 따질 입장이 아닌 것 같구요. ‘위험한 독신녀’는 이번 작품보다 ‘룸메이트’와 입체감상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작품에 대해서는 무엇을 말하면 좋을까요? 인격체가 구성되는 원리? 아니면, 뒤틀린 속박과 일그러진 일탈이 그려낸 광기어린 재탄생? 그것도 아니라면,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해 자행되는 불가피한 파괴행위? 그밖에도 다양한 물음표들을 떠올릴 수 있었지만, 으흠. 글쎄요. 변화에 앞서 흘리는 그녀의 눈물과 절규는 과연 무엇을 말하고 있을지 궁금할 뿐입니다. 현재는 과거의 그림자라는 말이 있듯, 아무래도 제목이 ‘도살’이니 결국에는 자신을 도륙해내는 과정에서 ‘고통을 수반하는 쾌락’을 말한 것은 아닐까 하는데요. 모르겠습니다. 뒷맛이 그리 개운하지만은 않은 작품이었습니다.

 

  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에서 언급된 ‘우리네’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궁금하시다구요? 으흠. 이거 또 작품이랑은 상관없는 물임표라니! 아무튼, 국어사전에는 안보이고, 대신 영어사전을 보니 ‘we all’이라 표시되는 이 단어는, ‘어떤 사람의 한 무리임을 나타냄.’을 의미하는 ‘―네[접미사]’를 통해 ‘우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집단’을 말한다는데요. 그렇군요. 어영부영 사용하고 있는 단어에 대한 공부의 시간, 감사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영화 ‘잠 못 들게 하는 영화 Peliculas Para No Dormir, 2006 시리즈’의 감상으로 이어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하는데요. 그동안 소개를 밀어둔 무서운 작품들! 여름이 다가기 전에 전부 소개올리고 싶습니다! 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1585

[BOOK CAFE A.ZaMoNe]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