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이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쓴 것은 그의 나이 불과 41살 때였다. 그런데 그보다 거의 곱절이나 나이를 더 먹은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귀거래사’가 아니라 ‘출사표’(出師表)를 던지며 신발끈을 조여맨다. 40대 기수론의 주역들은 오늘날 노인정치의 주역이 되어 건강을 뽐내고 있다.

고점리가 켜는 악기에 맞추어 형가는 노래를 불렀다. "바람은 쓸쓸히 부는데 역수의 물이 차구나. 장사가 한번 떠나니 다시 돌아오지 않으리!"(風蕭蕭兮易水寒壯士一去兮不復還) 그리고는 수레를 타고 뒤를 돌아보지 않고 떠났다.

테러를 독립운동의 주요 수단으로 삼은 대표적인 단체로는 김원봉이 이끈 의열단을 들 수 있다. 의열단은 ‘칠가살’(七可殺)이라 하여 조선총독 이하 고관, 군부 수뇌, 대만 총독, 매국적 친일파 거두, 적탐, 반민족적 토호열신 등으로 암살대상을 명확히 했다. 반면 임시정부가 정한 ‘칠가살’에는 ‘적의 관리된 자, 애국 의연금 횡령자 등 불량배, 모반자’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의열단의 규정에 비해 훨씬 포괄적이었다.

마지막 조선의용대원으로 유명한 김학철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중국으로 망명한 조선혁명자들의 대부분은 테러 분자였다면서 이렇게 썼다. "그들은 거의 종교적인 열광으로 테러활동을 숭상하였다. 그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소수 용사들의 모험적인 행동으로 능히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적 통치를 뒤엎을 수 있다고 굳게 믿었고, 망국의 치욕을 자기들의 피로 능히 씻을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하여 그들은 적의 요인을 암살하고 특무와 반역자들을 처단하는 것을 자기들의 주요한 행동강령으로 삼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산의 죽음이 특히 안타까운 것은 그가 오랜 시련과 고통 끝에 이제는 죽음 이외에는 자신을 좌절시킬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완전한 자신감을 님 웨일스에게 자랑할 수 있는 단계에서 그 뜻을 펴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이다. 33살의 청년 김산이 님을 만나 이야기할 때 그의 숱한 동지들은 거의 다 죽어버린 때였다.

이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호가 "생활도 생산도 학습도 모두 항일유격대식으로!"이다.

유격대 국가라 불리는 이북처럼 역사가 과거의 영역에 머물러 있지 않고 현재의 정치와 사회문화의 구석구석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 항일무장투쟁의 경험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이북을 이해할 수 없다.

6월4일 당일의 보천보전투에서 일본군이나 경찰은 한 명도 죽거나 다치지 않았다. 오직 민간인 두 명, 총소리가 나면 납작 숨었어야 하는데 이게 무슨 소란인가 하고 길에 나온 일본인 술꾼 하나가 유탄에 맞아 죽었고, 일본 순사의 부인이 갓난아기를 업은 채 꿩마냥 머리를 박고 숨었는데 등에 업힌 아기가 역시 유탄에 맞아 죽은 것뿐이다.

당시 일본군이 200만 명에 달했던 것을 고려하면 순수한 군사적 의미에서 보천보전투는 일본제국주의의 터럭 끝도 다치게 하지 못한 전투였다. 그런 보천보전투가 왜 김일성에게 엄청난 명성을 안겨다주었을까?

보천보를 들이친 것은 김일성이 이끄는 동북항일련군 2군6사였지만, 이 전투를 위해 1군2사와 2군4사 등 2개사단이 배합작전을 펼친 것이다.

보천보전투는 만주의 항일운동에서는 파탄 직전에까지 갔던 조-중 민중 간의 공동항일전선의 확고한 부활을 알리는 사건이기도 했다.

기습작전을 마치고 압록강을 건너기 전에 대원들은 구령도 없이 흩어져 저마다 한 움큼씩 흙을 주워 배낭에 넣었다고 한다. 만주에서 낳고 자란 항일투사들, 또는 어려서 만주로 건너간 유격대원들에게 조국이란 그렇게 그리운 것이었다.

정치적 의미에서 보천보전투는 유격대의 총알이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유격대의 존재를 알린 대사건이었다. 우리의 역사에서 가장 암울했던 시기, 독립군의 활동이 희미한 옛 기억으로 사라져가던 시기에 홀연히 나타난 김일성 부대의 총성은 그 뒤 반세기가 넘게 우리 역사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김일성의 등장을 알리는 사건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38년에 섬감녕변구(陝甘寧邊區) 보안처에서는 김산 동지의 역사를 심사하였다. ‘반역자가 아닐까?’‘일제특무가 아닐까?’‘트로츠키파가 아닐까?’하는 많은 의문을 가지고 심사하였지만 결론을 내릴 만한 근거가 없었다. 이에 강생(康生·캉성)은 비밀리에 처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김산 동지는 억울한 죽임을 당하였다. 그때 그는 33살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