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의 '파리 스케치'로부터 옮긴다.


cf. 거트루드 스타인 https://v.daum.net/v/20160203044239659 이 기사에 피카소가 그린 유명한 초상화가 있다.


Gertrude Stein, 1980 - Andy Warhol - WikiArt.org


Gertrude Stein, 1933 - Francis Picabia - WikiArt.org


Portrait of Gertrude Stein, 1907 - Felix Vallotton - WikiArt.org


문장으로 붓질해 낸 세 여자의 입체 초상 https://v.daum.net/v/20241213050525190 (이주혜)





스타인 여사는 몸집은 있지만 키는 크지 않아 농부처럼 단단해 보였다. 아름다운 눈에 강인한 독일계 유대인의 얼굴이지만, 옷차림이나 풍부한 표정, 대학시절부터 유지해온 것 같은 이민자 스타일의 올린 머리 모양을 보면 북부 이탈리아 프리울리의 농촌 아낙네를 연상시켰다. 그녀는 쉬지 않고 말을 했는데, 처음에는 만난 사람들과 가본 곳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 스타인 여사의 가르침 / 1부 움직이는 축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인간'(정수윤 편역)에 실린 가지이 모토지로(1901~1932)의 '벚나무 아래는'(1928)이 아래 글의 출처이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Gaddict님의 이미지 





대체 어떤 꽃나무가 만개한 후 그 주변 대기 중에 신비한 분위기를 흩뿌리겠는가. 잘 돌아가던 팽이가 완전한 정지에 도달하듯이, 훌륭한 연주가 늘 어떠한 환각을 동반하듯이, 작열하는 생식이 일으키는 환각의 후광과 같은 것이다. 인간의 마음을 쥐고 흔드는 매우 이상하고 생생한 아름다움이다.

아, 벚나무 아래는 시체가 묻혀 있다!
대체 어디서 온 공상인지 알 수 없는 사체가 이제 벚나무와 하나가 되어 아무리 머릴 흔들어도 떨어지려 하지 않는다.
지금이야말로 나는, 저 벚나무 아래서 연회를 여는 마을 사람들과 똑같은 권리를 갖고, 꽃놀이 술을 마실 수 있을 것만 같다. - 가지이 모토지로, 「벚나무 아래는」

창작활동에 열중하면서 대학 시절 발병한 폐결핵이 악화됐다.「벚나무 아래는」에서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운 심상 풍경을 시적으로 묘사했다. 인간의 심리적 비밀에 다가가고자 했던 그의 실험은 서른둘의 나이에 끝을 맺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시아 희곡2' 수록작 '벚나무 동산'(체호프 / 오종우)으로부터 옮긴다.

The Cherry Orchard memorabilia at the Chekhov Gymnasium literary museum. By ISasha






- 어쨌든 외국에 산다면 정말 행복할 거예요.
- 그야 물론이지. 그 말에 동감하지 않을 수 없어. (하품을 하고 시거를 피우기 시작한다.)
- 당연하죠. 이미 오래 전부터 외국에는 모든 게 다 갖춰져 있으니까.

난 성숙한 사람이라서 여러 가지 훌륭한 책들을 읽고 있지만, 내 자신이 뭘 원하고 있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종잡을 수 없단 말이야. 솔직히 말해, 살아야 할지 자살이라도 해야 할지 알 수가 없어. 그래서 난 항창 권총을 가지고 다니지, 자 보세요……. (권총을 보여 준다.)

영리해 보이는 사람들도 알고 보면 다 어리석지. 상대할 사람이 있어야지……. 결국은 나 혼자일 뿐이야. 혼자……. - 벚나무 동산 2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y Cassowary Colorizations - Ernest Hemingway with Soviet and German intellectuals Ilya Ehrenburg and Gustav Regler, possibly working on the propaganda film The Spanish Earth, Spain, 1937.



헤밍웨이의 스페인 https://v.daum.net/v/20080215172408017





우리가 싸워서 얻고자 했던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난 당신을 사랑해. 자유와 숭고함과, 모든 인간이 가진 일하고 배곯지 않을 권리만큼이나 당신을 사랑해. 우리가 지켰던 마드리드를 사랑하듯 당신을 사랑하고, 죽은 내 전우들을 사랑하듯이 당신을 사랑해. 아, 많은 전우들이 죽어 갔지. 너무나 많이. 너무나. 얼마나 많은지 당신은 모를 거야. 하지만 나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것처럼 당신을 사랑해. 아니, 그보다 더 많이 사랑해. 난 이렇게 당신을 사랑하고 있어.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야. 지금 말하고 있는 건 일부에 불과해. - 31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린책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로부터 옮긴다. 마드리드로 돌아가면 다시 책 속에 파묻혀 지내고 싶다는 말이 맘 아프다. "운동"이란 스페인 내전 당시 반파시스트 운동을 뜻한다.

사진: UnsplashJuan Gomez


아래 옮긴 글에 나온 공원이다. [레티로 공원 Retiro Park , Parque del Retiro 마드리드 시민들의 휴식처]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87XX39500424

사진: UnsplashJuan Gomez






거기엔 세계 곳곳에서 가져온 나무가 다 있는데, 나무마다 원산지와 이름을 알리는 표지판이 달려 있지.

그 나무들은 말이야, 박물관에 있는 것들하고는 달라. 자연 속에서 자라고 있는 거지. 공원 안에는 산처럼 생긴 곳도 있는데 정글을 방불케 할 정도야. 그 아래 길가에는 책 시장이 있는데 수백 개나 되는 조그만 상점이 다닥다닥 붙어서 헌책을 팔고 있어. 운동이 시작되고 난 다음부터는 폭격당한 집이나 파시스트들의 집에서 훔쳐 낸 책까지 보태져서 책이 아주 많아졌지. 운동 전에 그곳에 가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루 종일 책 속에 파묻혀 지낸 적이 있었어. 이제라도 마드리드에 갈 수만 있다면 그렇게 책 속에 파묻혀 있고 싶어. - 31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