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트리 스피박이 영역한 자크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최근판에는 스피박의 새로운 서문과 함께 주디스 버틀러의 발문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스피박은 ‘옮긴이 서문‘에서 데리다의 해체 철학이 등장하게 된 지적 배경과 데리다의 초기 저작에 영향을 준 철학적 논쟁들을 설명한다. 또한 소쉬르, 롤랑 바르트,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언어학과 라캉의 정신분석, 미셸 푸코의 담론분석은 물론, 니체의 진리 비판, 프로이트의 기억과 무의식 이론,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 문제,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윤리학 재고 등 19~20세기의 핵심적인 비평적 개입들을 개괄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스피박의 글은 ‘옮긴이 서문‘이라는 글 형식에서 흔히 보거나 기대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것으로, 이후 데리다의 사상에 관해 발표된 철학적 논평들에 필적한다.

서양 철학 담론에서 적절함/부적절함의 이분법을 해체한 데리다의 작업은, 스피박에게 특히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의 개념들을 수정하는 대목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스피박이 생각하는 해체적 독서 실천의 ‘정치적‘ 가치는, 모든 억압받는 사람들을 대변한다는 식의 마르크스주의나 민족해방운동 혹은 서구 페미니즘의 일반적인 주장들을 경계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스피박은 해체론을 정치적 재현의 맥락에서 재가공함으로써, 보편적인 정치투쟁의 언어가 권리를 박탈당한 집단(피식민지인, 여성, 노동자)의 삶에 잠재적으로 상처를 주거나 해를 입힐 수 있음을 보여준다.

스피박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데리다가 각각의 사람들이 처한 독특한 상황과 물질적 조건들을 읽어내는 좀 더 유연하고 책임감 있는 접근법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이 접근법은 "급진적인 비판이 지닌 위험성, 즉 동화를 통해 타자를 전유할 위험을 지적"해주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데리다의 서양 철학 해체에서 발견한 이러한 책임감 있는 접근법은 데리다의 후기 저작에서 드러나는 좀 더 총체적인 관심사, 즉 윤리학을 타자에 대한 책임감으로 재고하는 문제를 반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2장 해체를 작동시키기




스피박은 초기의 서양 철학 해체에서부터 이후의 윤리학과 정의, 국제주의와 우애, 환대에 대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사상 관련 논의에 이르기까지 데리다가 밟아온 지적 궤적을 신중히 따라왔다.

이 과정에서 스피박은 데리다의 사상이 지닌 잠재적 유용성을 강조하여, 식민주의 담론과 당대의 글로벌 경제 그리고 ‘제1세계‘와 ‘제3세계‘ 사이의 국제적 노동 분업 문제 등에 효과적으로 비평적 개입을 해왔다.

스피박은 1976년 데리다의 난해한 저서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를 번역함으로써 미국 지성계에 화려하게 등장했다. 데리다가 영어권에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그때, 스피박은 이 책을 번역 출간하며 데리다의 해체 철학을 학문적, 비평적으로 소개하는, 비범하고 인상적인 ‘옮긴이 서문‘을 덧붙였다.

스피박은 데리다의 서양 철학 해체를, ‘제3세계‘ 지식인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논쟁을 확장 심화시키는 데 동원해왔다. 즉 식민주의의 문화적 유산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소할 것인가, ‘제1세계‘ 다국적 기업이 ‘제3세계‘ 노동자들을 계속 착취하는 상황을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제대로 기술할 능력이 있는가, 서구 페미니즘이 ‘제3세계‘ 여성들의 역사와 삶, 투쟁을 기술하는 데 적합한가 하는 것 등이다.

"내가 자란 곳에서 처음 데리다를 읽었을 때 나는 그가 누구인지 몰랐는데, 그가 철학적 전통을 외부에서가 아니라 내부에서부터 해체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매우 흥미를 느꼈다. 왜냐하면 우리가 성장한 인도의 교육체계에서 철학세계의 주인공은 보편적 인간 존재였고, 그 인간 존재를 내면화하는 수준에 접근했을 때 우리도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배웠기 때문이다.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어주는지 말해주던 그 전통을, 프랑스에서 누군가가 해체하려는 것을 보았을 때, 내게는 그것 역시 흥미로워 보였다." (1990년 인터뷰)

데리다의 지적 기획에 대한 스피박의 관심은 단순히 철학적인 차원만은 아니었다. 그 관심은 부분적으로 유럽 식민주의의 정당성을 제공한 바로 그 서구 사상의 전통을 ‘해체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스피박의 글이 암시하듯이, 실제로 데리다의 서구 인문주의적 주체의 해체는 포스트식민적 사고의 문맥에서도 생산적으로 쓰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youtu.be/VvJZzWT6Qwc 새로 발매된 막스 리히터 재창작 비발디 사계 앨범 - 어제 올라온 최신 영상. 


비발디의 이 음악이 나오는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https://youtu.be/rv-m744KKXE


https://twitter.com/greennaraemovie/status/1214873199449538561 개봉 당시 수입배급사가 폰배경용으로 제공한 사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옥희 교수가 쓴 책 '타자로서의 서구'의 여는 글을 보면, 자신의 저서 '채식주의자 뱀파이어' 1장에 1980년대 초반의 한국콘트롤데이타 여성 노동자 투쟁이 나온다고 한다. '채식주의자 뱀파이어'의 목차를 보니 1장 3절이 '다국적 기업과 여성노동력'이다. 

레디앙 http://www.redian.org/archive/37733 참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나 해러웨이가 쓴 '해러웨이 선언문'의 '사이보그 선언' 중 유색인 여성을 다룬 부분에 한국 여성이 짧게 등장한다. 상세하지 않고, 출처나 참고자료를 명시하지 않아 아쉽다. 아래 밑줄긋기로 옮긴다. 가야트리 스피박의 저서 '다른 세상에서' 중 '페미니즘과 비평이론'에 나온, 1980년대 초반 한국 여성 노동자들이 투쟁한 회사 콘트롤데이타가 바로  '사이보그 선언' 에 언급된 한국 여성들이 취업한 다국적 기업의 예가 되겠다. 한국콘트롤데이타는 1967년에 우리 나라에 진출한 미국 기업의 자회사라고 한다. 



"유색인 여성"은 과학 기반 산업에서 선호되는 노동력이며 전 세계의 성 시장, 노동 시장, 재생산 정치의 만화경을 일상으로 도입하는 현실의 여성들이다. 성 산업과 전자제품 조립 공장에 고용된 젊은 한국 여성들은 고등학교에서 모집되고 집적회로를 만드는 교육을 받는다. 읽고 쓰는 능력, 특히 영어 능력은 다국적 기업에 이처럼 "값싼" 여성 노동을 매우 매력적인 것으로 만든다. - 사이보그 선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