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ah Heep at his desk By Fred Barnard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네이버 지식백과] 데이비드 코퍼필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2405&cid=40942&categoryId=32938




소설의 인물은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처럼 어느 정도 어리석으며, 참견을 좋아하고, 무능력하면서도 탐욕을 품고, 명확한 의도 없이 악행을 저지른다.

진솔하고 설득력 있는 사악한 인물을 창작하려면 정말로 위대한 소설가의 힘이 필요하다. 디킨스가 창조한 유라이어 히프나, 보다 미묘한 스티어포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래 김초엽의 글에 나온 근이영양증협회는 우리 나라가 아니고 미국이다.

Untitled (Wheelchair II), 1999 - Mona Hatoum - WikiArt.org


근이영양증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0111a





‘신경 근육 질환 정복‘을 목표로 내세우는 자선단체인 근이영양증협회는 각종 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광고를 내보내는데, 일라이 클레어가 <망명과 자긍심>에서 묘사하는 근이영양증협회의 광고 중 하나는 이런 식이다.

수동 휠체어가 반쯤 그늘에 놓여 있다. 커다란 오른쪽 바퀴는 빛의 웅덩이 속에 있다. 의자는 비어 있고, 카메라 반대쪽을 향해 20도쯤 돌려져 있다. 발판은 밖으로 젖혀졌다. 의자 위쪽엔 검은 바탕에 흰 글씨로 이렇게 쓰여 있다. "일이 잘 풀리면, 사람들이 일어나 걷게 될 거예요."

근이영양증협회의 홍보 방식에는 장애를 의료적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인식이 깃들어 있으며, 장애를 가진 채 살아가는 것은 장애가 없는 삶에 비해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 담겨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reedom, 1980 - Peter Max - WikiArt.org





부는 내 눈에 가볍게 비치고
사랑은 내 입가에 경멸의 웃음만 떠오르게 하네
명성을 탐해도 한낱 꿈일 뿐이니
아침 햇살과 함께 사라지고 마는 것.
기도를 올려야 한다면, 내 입술을 움직일
유일한 기원은 다음과 같나니
"지금 내 품은 마음을 버리고
자유를 찾게 하소서."

에밀리 브론테는 스물두 살의 나이에 이 시를 썼다. 그녀는 젊고 미숙한 여인이었고, 명예도 부도 권력도 명성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사랑에 대해서도(‘여인의‘든 반대쪽이든) 명백하게 긍정적으로 무례한 태도를 보인다.

나는 예술가의 동기에 대해 말하기에는 프로이트보다 그녀 쪽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프로이트는 이론가다. 하지만 그녀는 권위자다.

나는 브론테가 사용한 ‘자유‘라는 단어가 다른 누구의 표현보다 본질에 접근해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urage, 1947 - Francis Picabia - WikiArt.org


피카비아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4p1343a






용기(courage)라는 단어는 심장(coeur)을 뜻하는 프랑스에 어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심장이 뇌와 팔다리로 피를 보냄으로써 신체 기관이 작동하도록 하듯 용기는 정신의 모든 미덕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원이다.
- P173

진정한 용기에는 성찰과 저어함이 동반된다. 머뭇거림 없이 돌진하는 행동은 만용이며, 무의식의 공포를 감추기 위한 행위이다.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이버 지식백과]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The Winter That Year Was Warm]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2011. 4. 20., 이세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71316&cid=42620&categoryId=42620


김동춘 교수의 '전쟁과 사회' https://blog.naver.com/hkk1989/222788116564 (저자 본인 블로그)





왜 기억 안 나세요? 고아원에 자선사업하러 오신 적 있잖아요. 나 며칠 후에 아주 이상한 여자를 만났어요. 그리고 나선 몇년 후에 공장에서 일하게 됐구요. 그때 사모님 남편을 만나게 됐구요. 그분이 나더러 뭐라고 그랬는지 아세요? 제가 사모님 닮았다구 했어요. 제가 사모님 닮았어요? - 시나리오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