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맹은 인간의 삶이 불행과 파멸에 이르게 되는 데는 특별한 악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한다. 평범한 결함처럼 보이는, 인간성과 자기 존엄을 지키기 위한 실천에 대한 무력한 게으름이 ‘악’으로 연결되는 사실을 통찰한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견해는 『마그누스』에서 인류사의 비극인 홀로코스트에 관한 묘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실 홀로코스트는 끔찍한 대학살이었지만, 평범한 다수의 협력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극단적인 악의가 없는데 극단적으로 야만적인 결과, 거대한 ‘악’이 실행된 이유를 묻는 과정에서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이란 사유가 등장한다.

 

아렌트는 아이히만 재판을 참관하고, 예상과 다르게 그가 정상적이라는 사실에 충격받고, 악의 평범성에 관한 보고서를 낸다. 여기에서 ‘평범’하다는 말은 행위 자체가 아니라 행위자의 ‘특정한 정신 상태’를 뜻하고, 아이히만이 “이아고도 맥베스도 아니고 그저 자신의 행위를 자각하지 못한 사람에 불과하다는 것”을 목격한 아렌트의 당혹감이 투영되어 있다는 해석을 참조할 가치가 있다.

 

마그누스가 한나 아렌트의 기사를 읽고 ‘악의 평범성’이라는 사유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보인 반응이 그 예다. 마그누스는 당시 사람들이 아렌트의 분석을 비난하는 이유는 ‘악의 평범성’이란 개념이 “너무 흉하고 수치스러운 상처에 거리낌 없이 손가락을 갖다 댄” 것이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아렌트는 사람들 모두가 알지만, 감히 말할 수 없거나 말하고 싶지 않았던 인간의 치부를 드러낸 것이다. 아우슈비츠의 학살이 예외적이고 특이한 인간들이 저지른 만행이 아니라는 것, 대단한 악의를 품지 않은 평범한 인간도 극단적인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는 통찰이 두렵고 싫은 까닭은 ‘책임’의 거리두기가 되지 않아서다.

 

아렌트가 아이히만의 ‘악’이 무사유 탓이라고 할 때, 이것이 단지 어리석음이나 지성적 흠결을 뜻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한다.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그로 인해 타인이 어떤 고통을 받는지 등에 대한 반성이 없는 것, 감수성의 결여를 비판한다고 보아야 한다.

 

유대인 학살 명령을 직업적 차원에서만 받아들여서 아무런 가책 없이 수행했다는 아이히만의 모습에 마그누스는, “재난과 죽음을 몰고 온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들”을 겹쳐 듣는다.

 

‘대량 학살’이라는 거대 ‘악’은 바로 그런 마비된 정신, 자기 양심에 되물어 자기 행동의 결과를 사유하지 않는 인간의 혼동과 어리석음이 축적된 결과다. 마그누스가 자신의 시대에 저질러진 야만적인 행위들에 관한 질문들로 괴로워하면서 답을 찾던 끝에 도달한 결론도 ‘악과 의무를 혼동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이 인류를 거대한 심연으로 몰아넣었다는 사실이다.] 출처: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1778 실비 제르맹에게 있어서 악의 문제, 프랑스문화예술연구(ECFAF), 2022, vol.79, pp. 171-202 (32 pages), 유치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 국적과 프랑스어 사용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추려봤다. 아니 에르노는 첫 불어권 여성 노벨문학상 수상자. https://www.nobelprize.org/prizes/literature/


2022년 아니 에르노 - 여성 최초

2014년 파트리크 모디아노

2008년 르 클레지오

2000년 가오싱젠 - 수상 당시 프랑스 국적

1985년 클로드 시몽

1969년 새뮤얼 베케트 - 아일랜드 국적(영어와 프랑스어 사용)

1964년 장 폴 사르트르

1960년 생 종 페르스

1957년 알베르 카뮈

1952년 프랑수아 모리악

1947년 앙드레 지드

1937년 로제 마르탱 뒤가르

1927년 앙리 베르그송

1921년 아나톨 프랑스

1915년 로맹 롤랑

1911년 모리스 마테를링크 - 벨기에 국적(프랑스어 사용)

1904년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1901년 쉴리 프뤼돔 - 1회 노벨문학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ust of an Old Woman, Rembrandt`s Mother, 1628 - Rembrandt - WikiArt.org


Portrait of Mother of Rembrandt, c.1630 - Rembrandt - WikiArt.org


The Prophetess Anna (Rembrandt`s Mother), 1631 - Rembrandt - WikiArt.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혜린 평전 '불꽃처럼 살다간 여인 전혜린'을 읽는다. 독일 뮌헨의 슈바빙에 있는 한 교회를 담은 아래 두 사진은 20220917 자이다. 

Kreuzkirche in Schwabing By Cmcmcm1 - Own work, CC BY-SA 4.0



Interior of Kreuzkirche in Schwabing By Cmcmcm1 - Own work, CC BY-SA 4.0


슈바빙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87XX39500711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10-08 21:2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전혜린 진짜 오랜만이네요. 저 20대때 정말 밑줄 그으면서 열심히 읽었던 ㅠㅠ 그때는 죽음의 방식조차 그녀답다 생각했지만 나이가 드니 안타까운 맘이 다 크네요. ~

서곡 2022-10-08 21:47   좋아요 2 | URL
네 저도 진짜 오랜만에 읽습니다...그러게요 안타깝습니다

페넬로페 2022-10-09 22: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학시절 제가 자주 가던 맥주집 이름이 슈바빙이었어요. 같은 세대가 아닌데도 전혜린의 책은 좋았어요.
지금의 계절에 어울리는 책 같아요^^

서곡 2022-10-09 22:34   좋아요 2 | URL
네 특유의 멜랑콜리가 있습니다 슈바빙 맥주집 근사하네요

scott 2022-10-10 01: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전 슈바빙에서 군밤 먹었던 적이😋

서곡 2022-10-10 04:44   좋아요 2 | URL
와우 낭만적입니다~ ㅎㅎㅎ
 

https://ewhalibblog.tistory.com/68 노벨문학상 여성수상자 중 독일어권 작가들은 세 명이다. 첫 수상자 넬리 작스는 독일로부터 스웨덴으로 간 유대인이고, 다음의 엘프리데 옐리네크는 오스트리아 사람이며, 최근의 헤르타 뮐러는 루마니아로부터 독일로 왔다. 개별 링크로 가면 자세한 소개와 내용이 있다. 


넬리 작스 https://ewhalibblog.tistory.com/76 엘프리데 옐리네크 https://ewhalibblog.tistory.com/80 헤르타 뮐러 https://ewhalibblog.tistory.com/82

넬리 작스 1910 퍼블릭도메인,위키미디어커먼즈

 

아래 책들은 최신순으로 올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