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작가 신작 소개 무료전자책 Attention Book에 단편 '난주의 바다 앞에서'가 실려 있다. 정난주는 다산 정약용의 조카이자 황사영의 부인.


[네이버 지식백과] 황사영 백서와 그 가족의 유배 (한국의 섬 - 제주도, 2021. 06. 15., 이재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294837&cid=43737&categoryId=59599




매월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 음악을 듣는다는 김연수 작가의 9월 목록 마지막 곡은 소닉스톤즈의 'THE BEGINNING OF THE END II'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anist and Listener, 1908 - Umberto Boccioni - WikiArt.org





음악에 뒤이어 오는 정적은 보통의 정적과는 전혀 달라서, 그것은 주의 깊은 정적이오, 그것은 살아 있는 정적이오. 그러리라 생각지도 못한 많은 사물들이 이 정적을 조장하며 우리의 내부에서 속삭이는데 우리는 연주가 끝난 한 편의 음악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는지 절대 알지 못하오.

나는 예술에서 즐거움의 보상을 요구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오. 나는 모든 인간적 욕구의 조금은 슬픈 이 두 가지 형태를 둘 다 좋아하지, 한쪽 형태를 위해 다른 한쪽 형태를 좋아하지는 않소. 나는 작곡을 그만두었소. 삶에 대한 내 혐오는 이 이상적 삶에의 꿈들을 천천히 좀먹어갔는데, 왜냐하면, 모니크, 걸작이란 바로 몽상된 삶인 까닭이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이버 지식백과] 아카데미프랑세즈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1763&cid=40942&categoryId=40464


Réception du général Weygand à l'Académie française 1932 By Agence Meurisse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https://www.academie-francaise.fr/les-immortels/helene-carrere-dencausse 여성 최초의 아카데미프랑세즈 종신 원장 엘렌 카레르 당코스





프랑스어에 대한 그러한 자부심은 바로 프랑스적인 정신과 연결된다. 프랑스인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가장 위대한 시기라고 생각했던 17세기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Acadmie Française)가 창설되었다. 이로써 프랑스어를 합리적인 언어로 가다듬는 일이 국가적 사업이 된다.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들은 한편으로는 프랑스어에 뒤섞여 있는 불순한 언어들을 제거하는 작업을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문법을 제정하고 사전을 간행하면서 올바른 프랑스어의 확립을 위해 힘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바이올렛'에서 비올레트는 보부아르의 공쿠르상 수상('레망다랭') 소식을 텔레비젼으로 본다. 르뒥도 나중에 공쿠르상 유력 후보가 되나 타지는 못했다.

아니 에르노의 '사진의 용도'에 작가 비올레트 르뒥이 나온다. 유방암 투병 중인 아니 에르노는 유방암으로 별세한 작가 비올레트 르뒥이 발병 후 얼마나 살았나 따져 본다.


비올레트 르뒥(르뒤크) Violette Leduc - Wikipedia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케이트 커크패트릭 저/이세진 역)으로부터






《레 망다랭》은 문학상을 탔지만 이 책의 수용 양상은 보부아르가 상상력이 부족하고 자기 삶에서만 소재를 끌어 쓰는 자기 중심적 여성이라는 세간의 이해를 드러냈다. 이러한 독해대로라면 안 뒤브뢰유는 보부아르, 안의 남편 로베르는 사르트르, 앙리 페롱은 카뮈다. 앙리의 애인 폴은 (보부아르는 이 캐릭터를 자기로 보는 여성들이 여러 명 있다고 했지만) 때때로 비올레트 르뒤크를 연상시킨다.

봄에 비올레트 르뒤크의 《황폐》가 출간되었다. 초고에 포함되었던 레즈비언 관계는 갈리마르 츨판사 원고 검토자들의 반대로 — 보부아르의 표현을 빌리자면 — "절단당했다." 르뒤크는 몹시 마음이 상해서 정말로 몸이 아파 앓아누웠다. 보부아르는 르뒤크가 회복하는 동안 곁을 지키면서 그들의 "힘든 나날"을 사르트르에게 편지로 알렸다. 삭제된 장면들을 복구하지 못한 채 책이 나왔다. 그래도 보부아르와 르뒤크는 히아신스와 튤립 사이를 거닐며 그 장면들을 되살리고 싶다는 희망을 이야기했다. - 13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 인터뷰와 단편 하나가 실린 구성으로 김연수 작가의 신간 작품집 '이토록 평범한 미래'를 소개하는 'Attention Book'을 읽었다. 인터뷰에서 저자는 '늙어서'라고 종종 답하는데, 이바라키 노리코의 시구를 빌어 화가 루오처럼 나이 들고 싶다고 한다. 그 시구가 포함된 이바라기 노리코의 시 '내가 가장 예뻤을 때'를 이 기사에서 읽을 수 있다.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5/290208/ 이바라기 노리코 (1926~2006)

Self-Portrait, 1944 - Georges Rouault - WikiArt.org


조르주 루오 - Daum 백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