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이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붕괴해가는 가족을 그리고 있다면, 그 연장선상에서 「양동이 기사」는 돈으로 사람을 평가하고, 경제적 능력이 결여된 사람은 인간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적 추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양동이 기사와 석탄상인 부인의 대립 구도를 중심에 놓고 볼 때 이 작품 전체에서 석탄상인의 역할을 해석해내기가 난감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 중의 하나로 양동이 기사와 석탄상인을 작가 카프카의 도플갱어라고 간주해 보았다. 이중적인 도플갱어의 공유하는 속성과 상반된 속성을 통하여 도입부의 추위나 마지막의 빙산 지대 그리고 질병과 하늘을 나는 양동이의 상징성도 파악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양동이 기사」는 글쓰기에 대한 카프카의 성찰을 다룬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물론 이러한 고찰은 이 작품에 접근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의 하나에 불과할 것이다.] 황승환사회적 갈등과 글쓰기에 대한 성찰 - 카프카의 「양동이 기사」 해석 시도(2016)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4137

One Minute Sculpture. Double Bucket, 2017 - Elina Brotherus - WikiArt.org






내가 타고 갈 것은 물론 정해졌으니, 그래서 나는 양동이 위로 올라탄다. 양동이를 탄 사람으로서, 가장 간단한 말의 머리 장식인 위쪽 손잡이를 움켜쥐고, 나는 힘들게 계단을 향해 미끄러져 내려간다. 그러나 아래에 내려서니 내 양동이는 떠오른다, 보란 듯이 현란하게. 바닥에 넓죽 누워 있던 낙타들이 안내인의 지팡이 아래에서 몸을 부르르 떨면서 일어서듯, 너무도 멋지게 일어선다. 나는 균형을 잡으며 바쁘게 거의 얼어붙은 골목길을 가로지른다. 종종 나는 이층 높이까지 들어 올려지고, 결코 현관문까지 내려오지 않는다. 그리곤 석탄 상인네 둥근 천장의 지하실 앞에서 나는 이상스럽게 높이 떠 있다. 그 안쪽 저 아래 깊숙한 곳에서는 상인이 작은 탁자 곁에 웅크리고 앉아서 편지를 쓰고 있다. 지나치게 달궈진 열기를 내보내기 위해 그는 문을 열어 놓았다. - 양동이를 탄 남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2개 키워드로 보는 현대미술'(양은희 진휘연)로부터. 아래 발췌글 속 롤랑 바르트의 주장은 그의 저서 '밝은 방'이 출처라고 한다.


[롤랑 바르트를 기리며](2012)https://www.segye.com/newsView/20120325021019

Simon Laughing. Yvon's House. Avignon, 2001 - Nan Goldin - WikiArt.org







기억이나 향수를 소재로 이용하는 작가들의 의도는 다양하다. 각자의 기억과 경험, 그것이 수반하는 감정 및 개인적 감성에 따라서 주관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관객들도 마찬가지이다. 롤랑 바르트는 사진이 때로는 우리가 기억하는 것을 막거나, 기억하고 있는 내용을 해체하는 ‘대항기억’으로 작동한다고 주장했다. - 12 기억/향수 Memory/Nostalgi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보코프의 러시아 문학강의 - 내 것은 구판이다 - 를 펼친 김에 나보코프가 그린 스케이팅 하는 키티(오랜만에 다시 보니 다부진 인상이다)를 찍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보코프는 안나 카레니나를, 러시아식 여성형 이름 표기 대신 카레닌의 부인이라는 뜻으로 안나 카레닌이라고 번역해야 한다는 내용의 주장을 러시아 문학강의에서 펼친 바 있다. 내가 갖고 있는 나보코프 러시아 문학강의 구판으로부터 해당 대목을 옮겨둔다.

안나 카레니나 (1919년 콘스탄스 가넷 번역본) 삽화






영미권에서 이바노프와 카레닌의 아내는 이바노바 부인, 카레니나 부인이 아니라, 각각 이바노프 부인, 카레닌 부인이 된다. 카레닌의 아내 안나를 안나 카레니나라고 옮겨 놓으면, 이후 그녀의 남편을 카레니나 씨라고 옮겨야 할 텐데, 그러면 레이디 메리의 남편이 메리 경이 되어 버리는 것처럼 웃지 못할 상황이 되고 마는 것이다. - P2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ston Common (2014) By Billy Hathorn - Own work, CC BY 3.0,위키미디어커먼즈


[네이버 지식백과] 보스턴 커먼 지역 [Boston Common] -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과 유서 깊은 주택가를 품은 (미국 보스턴 여행) 전에 읽은 루이자 메이 올컷의 '사랑스러운 폴리' 해설에 나온 곳이다. 








1634년 보스턴에 정착한 청교도 이민자들은 이곳에 먼저 이주하여 살고 있었던 윌리엄 블랙스턴 목사로부터 목장의 터를 사들여, 한쪽 귀퉁이에 ‘공동사용’이라는 팻말을 박아두고 구역민의 공용지로 쓰기로 했다. 약 5만 평가량의 이 땅은 몇 년 후 법규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동장 이외에 어떤 가옥이나 정원도 지을 수 없는 곳’이라 명시됨으로써 신대륙 최초의 공원으로 탄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