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멀리 외출했다가 매화꽃 구경하고 모르던 서점도 마주쳤다(내가 몰랐을 뿐 검색해보니 이미 꽤 알려진 독립책방인 듯하다).  요즘은 전자책을 주로 읽어서 사실 오프라인 서점엔 잘 안 가게 된다.  최근 추가한 읽고 있는 책 세 권과 함께 이 서점 공동운영자 중 한 사람이 번역하고 쓴 올해의 신간 두 권, 그리고 이 분의 역서 중 내가 전에 딴 출판사본으로 읽은 '파리의 심리학 카페'를 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 이제 땡!


Calendar: April (Courtly Figures in the Castle Grounds), 1416 - Limbourg brothers - WikiArt.org


윤성희의 단편 '어느 밤'은 문학동네 2018 겨울호 발표작이다.





여동생이 생각났어요. 교통사고가 나서 죽었거든요. 뺑소니였어요. 나는 오른손을 들어 청년의 손을 잡았다. 손이 차가웠다. 아팠겠네. 나는 말했다. 모르겠어요. 그냥 그 후로 뭔가가 사라졌어요. 성공하고 싶은 마음, 뭐 그런 것들이요. 사람들한테는 고시 공부중이라고 거짓말을 했지만 사실 아무것도 안 해요. 청년이 말했다. 나는 그래도 된다고 말해주고 싶었다. 가만히 있는 것도 힘든 거라고. 딸이 초등학생일 때였다. 일을 마치고 집에 가보니 딸이 방 모서리에 쪼그리고 앉아서 울고 있었다.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 아무도 땡을 해주지 않았다는 거였다. 얼음땡 놀이를 하는데 아무도 땡을 해주지 않았다고. 그래서 혼자 얼음이 되었다고. - 어느 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의 첫 주가 어느덧 지나간다. 곧 오후 네 시, 오늘 낮이 얼마 안 남았다. 열린책들 '안나 까레니나'(이명현 역) 하권으로부터 옮긴다.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돌리)는 안나의 올케언니이다.

삽화 '안나 카레니나' By Tolstoy, Leo, graf, 1828-1910; Garnett, Constance Black, 1862-1946 tr.




「이 마을에서 7베르스따를 더 가야 한다고 합니다.」

마차는 마을 길을 따라 작은 다리 쪽으로 내려갔다. 짚을 꼬아 만든 새끼줄을 어깨에 걸친 한 무리의 쾌활한 아낙들이 낭랑한 목소리로 흥겹게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지나갔다. 그들은 다리에서 멈춰 서더니 호기심 어린 눈길로 마차를 살펴보았다. 일제히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를 향하고 있는 그 얼굴들은 모두 다 건강하고 명랑했으며, 넘치는 삶의 기쁨으로 그녀의 약을 올리고 있었다. 〈모두 살아가고 있구나. 삶을 즐기고 있어.〉 마차가 아낙네들을 지나쳐 언덕으로 들어선 다음 다시금 빠른 속도로 달리자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부드러운 용수철 위에서 기분 좋게 흔들리며 계속해서 생각을 이어 나갔다. - 제6부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 여성 작가의 'Flower & Tree'(을유문화사)가 아래 글의 출처이다.


cf. 팔공산 국립공원에 핀 제비꽃 https://www.news1.kr/photos/7203569 3월 말 기사이다.

By FlyingBatt (This picture was taken by Linda Wong at the Beijing Zizhuyuan (紫竹院). Photo by Linda Wong, Shouyong Chen, April 2024.)




어두운 겨울이 지나고 재빨리 꽃을 피우는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제비꽃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젊음, 희망, 관심의 상징이다. 봄의 신이 대지를 넘어온 곳에서는 발 밑에 피어 있는 제비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상징적인 꽃을 개개인이 선택한 것을 중국에서 말하는 ‘내면의 보충’과 연관 지을 수 있을까? 중국에서는 인간이 자신의 정신적 공허함을 숨기기 위해 애호품을 지녀 보충한다고 여긴다. 아니면 그들로 하여금 순수한 제비꽃에 대한 사랑을 소중히 간직하도록 했던 것은 복수의 여신 네메시스에 대한 불안감 때문일까? 이것도 아니면 그들이 남ㆍ북반구 모두에 뿌리내린 이 식물의 엄청난 번식욕을 이미 알았던 것일까? 어떤 다른 식물 집단도 Violaceae만큼 질기고 목표 지향적이며 존재를 위한 투쟁에 성공적일 수는 없다.

3월 첫 개화 시기 후에 형성되는 덩굴에서 제비꽃의 흡입 뿌리가 자라나며, 이것은 다시 땅으로 내려가 거기에서 휘묻이할 때 모주가 되는 식물을 감고 빠르게 성장하여 어느 새 방석 모양으로 커 나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칼리(홍승희)가 신내림 후 신령님으로부터 받은 첫 메시지가 “지팡이를 들고 다니며 글을 써라”라고 한다. 출처는 '무당을 만나러 갑니다'이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Alexander Lesnitsky님의 이미지


[글쓰기는 주술. 모든 폭력의 파멸을 빕니다. 무당, 집필 노동자 홍칼리] “계엄 뀐 놈이 성내는 꼴 언제까지” 집필노동자 243명도 한줄 선언 https://v.daum.net/v/20250402163515834 언니 홍승은 작가와 함께 4월2일 파면촉구선언에 참여했다.




신내림을 받은 후 신령님에게 들은 첫 번째 메시지가 떠올랐다."지팡이를 들고 다니며 글을 써라." 기억되지 못하고 기록되지 못한 이야기가 아직 많다. 그 이야기를 주우러 다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