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에서 산딸기가 키티의 언니 돌리의 아이들이 말썽부리고 장난치는 수단으로 등장한다. 돌리는 생각과 기억에, 키티의 남편 레빈은 관찰과 생각에 각자 골몰한다. 


2017년 국립발레단 공연 안나 카레니나 https://youtu.be/aBFwFsWWTxM


"이 아이가 그리샤랑 산딸기 덤불에 다녀왔는데 거기서…… 이 아이가 뭘 했는지 말하기도 민망하네요. 정말 못된 짓을 했어요. 미스 엘리엇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백번 천번 든답니다. 새로 온 여자는 제대로 하는 게 없어요, 그냥 기계예요……. 생각 좀 해봐요, 어린 여자애가(Figurez vous, que la petite)……." 그리고 돌리는 마샤가 저지른 나쁜 짓을 얘기해 주었다. "그건 뭐 별일 아닙니다. 성격이 나쁜 게 아니고 그냥 장난을 친 거네요." 레빈이 그녀를 안심시켰다.

돌리는 아이를 낳을 때마다 갈라지는 유두의 아픔을 기억하고는 몸서리를 쳤다. ‘그다음에는 아이들이 병이 나지, 정말 두려운 일이야. 그다음에는 아이들 가정교육, 못된 버릇(그녀는 어린 마샤가 산딸기를 가지고 저지른 못된 짓을 떠올렸다.)이며 학교 교육, 라틴어…… 이 모든 것이 정말이지 이해가 안 되고 힘들기만 해. 그중 최악은 아이들의 죽음이지.’ 그러자 다시금 모정을 영원히 괴롭히는 끔찍한 기억, 크루프*로 죽은 젖먹이 막내 생각이 났다. *크루프(croup)는 질식성 호흡곤란증이다. (옮긴이 주)

얼마 전에 돌리와 아이들 사이에 있었던 일이 기억났다.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남자 촛불에 산딸기를 끓이고 입에 우유를 분수처럼 쏟아 넣기도 했다. 그걸 목격한 어머니는 레빈이 있는 자리에서 그들이 망쳐놓은 걸 만들기 위해 어른들이 얼마나 수고하는지 알려주고 컵을 깨뜨린다면 무엇으로 차를 마실 것이며, 우유를 마구 흘린다면 먹을 것이 없어져 굶어 죽을 것이라고 설교를 했다.

‘아이들은 모두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거지. 그게 흥미롭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언제나 그래 왔고 앞으로도 그럴 테니까. 즉 언제나 모든 것이 다 똑같으니까. 그에 관해서는 우리가 생각할 필요도 없는 것이, 다 준비되어 있거든. 그러니까 우리는 뭔가 우리만의, 새로운 걸 고안해 내고 싶어 하는 거야. 그래서 찻잔에 산딸기를 채우고 그걸 촛불에 끓이지를 않나, 서로의 입에 우유를 분수처럼 쏟아 넣질 않나, 그런 행동을 하는 거지. 재미있고 새로운 데다 찻잔으로 마시는 것보다 하등 나쁠 것도 없거든.’

‘그런데 우리도 똑같은 짓을 하고 있지 않나? 이성으로는 자연의 힘의 의미와 인간 삶의 의미를 찾았지만, 나도 그러지 않았던가?’ 그는 생각을 이어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 카레니나 6부 2장(3권 초반)의 딸기잼 만드는 장면.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에게는 생소한 방법, 즉 물을 넣지 않는 방법으로 잼을 끓이고 있었다. 키티가 친정집에서 하던 새로운 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는 얼마 전에 이 일을 맡았지만 레빈가에서 하는 일 중 나쁜 건 없다는 생각에 딸기와 산딸기에 물을 부었다. 다르게는 할 수 없음을 확신했다. 그녀는 그렇게 하다가 걸렸고, 그래서 이번에는 모든 사람들이 보는 데서 딸기를 끓이게 되었다. 그러자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는 물 없이도 잼이 잘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믿어야만 했다.

"제가 할게요." 돌리가 말하고 일어서서 조심스럽게 숟가락으로 설탕 거품을 저었다. 이따금 숟가락에 들러붙은 걸 떼어내기 위해 접시에 숟가락을 두드렸는데 접시에는 벌써 갖가지 색깔, 노랗고도 장밋빛을 띤 거품이 덮여 있고 붉은 시럽이 흘렀다. ‘애들이 차를 마시며 이걸 핥아 먹겠지!’ 그녀는 아이들을 생각하며 이렇게 생각했다. 어린아이였을 때 어른들이 가장 맛난 부분인 거품을 먹지 않아 놀랐던 기억이 떠올랐다.

"자, 이제 다 된 것 같아요." 돌리가 숟가락에서 시럽을 떨어뜨려 보며 말했다. "끈적끈적하게 떨어져야 다 된 거지. 좀 더 끓이게,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 "이 파리들이!"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가 화가 나서 말하고는 덧붙였다. "어떻게 해도 똑같을 거예요."

"참,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 잼은 다 됐어?" 레빈이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 기분을 풀어주려고 웃으며 물었다. "새 방법으로 하니 좋은가?" "당연히 좋죠. 우리 식으로 보자면 졸아든 거지만요.""그게 더 좋아요, 아가피야 미하일로브나, 시어지지 않으니까. 더구나 우리 집에 있는 얼음은 벌써 다 녹아서 보관할 곳도 없고."

"자, 내 말대로 하게." 노공작부인이 말했다. "잼 위에 종이를 얹고 럼주를 적시게. 그러면 얼음이 없어도 절대 곰팡이가 슬지 않을 거라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oses, c.1910 - Konstantin Korovin - WikiArt.org


[네이버 지식백과] 19세기의 러시아미술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코로빈에 관한 설명이 들어 있다.

Still life with portrait of Pertseva, 1916 - Konstantin Korovin - WikiArt.org






미스 에밀리의 집은 한때는 흰색이었던 크고 네모난 목조가옥이었다. 1870년대의 중후하면서도 우아한 건축 양식에 따라 지붕이 둥글고 뾰족탑과 소용돌이 모양의 발코니가 있는 집이었는데, 우리 읍내에서도 한때는 제일가던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 - 에밀리에게 장미를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 UnsplashDeleece Cook 


히비스커스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0055a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 보라색 히비스커스 https://v.daum.net/v/20200131204635016 페미니스트 소설가 아디치에 인터뷰 https://v.daum.net/v/20190714175412106





놀이집 지붕은 여름 더위에 갈색으로 말라 비틀어져 얽히고설킨 노랑수선화와 히아신스로 묻혀 있다시피 했다. 멍든 보라색 히비스커스 꽃들이 지붕을 뒤덮다 못해 작은 박공들 위로 종처럼 주렁주렁 늘어졌다. 놀이집은 홉사 망각 속의 석관 같았다.

정원의 여리고 산명한 모습과 어울리지 않는 것이 놀이집 말고 또 있었다. 야생의 오아시스였다. 샘 안에서 솜털 같은 조가비색 덤불들이 딸기소다 거품처럼 부글부글 끓었고 연기처럼 뭉게뭉게 피어올랐다. - 미스 엘라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콧의 첫 단편집 '아가씨와 철학자' 수록작 '얼음 궁전'의 내용과 연관되는 '젤리빈'이란 작품이 남편의 다른 단편집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원제 Tales of the Jazz Age)'에 실려 있는데, '얼음 궁전'의 주인공 샐리 캐롤 하퍼가 '젤리빈'에서 주인공 낸시 라마의 단짝으로 깜짝출연한다. 그 외에 주르륵 등장한 낸시의 친구들 중에 '해리엇'이란 이름이 보이는데 젤다가 쓴 '남부 아가씨'('젤다' 수록)의 주인공 이름이  해리엇이다. 위키백과를 보면 '젤리빈'의 일부는 젤다와 협업했다고 나와 있다. 


[Fitzgerald later wrote another short story, "The Jelly-Bea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22 collection Tales of the Jazz Age. A sequel to "The Ice Palace", it returned to Tarleton with several references to many of the characters in the earlier work. (중략) the author also collaborated with his wife on certain scenes.https://en.wikipedia.org/wiki/The_Ice_Palace_(short_story)






제대로 구분을 하지 않는 북부에서라면 그를 거리의 놈팡이로 불렀을 것이다. 하지만 남부에서 우리는 ‘젤리빈’이라 불렀다. 나는 게으름을 피우는 중이다, 나는 게을렀다, 나는 게으를 것이다, 이렇게 평생 일인칭 주어와 게으르다라는 동사를 연결하며 산 사람을 위한 동맹이었다.

* 젤리빈: 옷을 잘 차려입은 젊은이란 뜻의 1920년대 유행어. 여기서는 건달의 의미로 사용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