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다와 스콧 1924


젤다의 단편소설 '미친 그들(원제 a couple of nuts)'은 당연히 젤다와 스콧, 피츠제럴드 부부 본인들을 떠오르게 한다.


'여성과 광기'에 젤다에 관한 내용이 있다.





그는 20년 전에 태어났다면, 또는 시골 타운에서 태어났다면, 금발 퐁파두르 가발을 쓰고 마을 잡화점 직원으로 일했을 사람이었다. 그는 우리 세대 지식인층의 지적 갈망을 공유했고, 그래서인지 자신의 직업을 살짝 낯뜨거워했다.

그의 눈 밑으로 넓고 다정한 구릿빛 초원처럼 만개하는 얼굴은 단연 최고였다. 그가 미소 지으면 비에 젖은 보도에 닿을까 봐 치켜든 공단 치마처럼 한쪽 귀 뒤의 피부가 접혀 올라갔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덴콤은 아주 열심히 문장을 수정했고 또 문체를 아주 중시했다. 그가 도착하게 될 종착점은 그 자신을 위한 최종적 형식이었다. 그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출판 형식은 남들 몰래 출판을 하는 것이었다. 그런 다음 이미 발간된 문장 위에다가 지독할 정도로 수정을 가하여 언제나 초판본을 희생시키면서, 후세를 위하여 그리고 수집가를 위하여 수정본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날 오전에도 그는 발간된 ‘중년‘에다 연필로 열 군데 이상 수정을 가했다. - P2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 '젤다'에 실린 다섯 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된 원저는 부부가 공저자인 'Bits of Paradise'란 작품집이다.https://www.goodreads.com/book/show/895828.Bits_of_Paradise

젤다와 스콧 부부 1922 By Staff photographer - Cocosse Journal






젤다의 전기 작가 샐리 클라인에 따르면 1920년 스콧은 젤다의 일기를 책으로 출판하자는 에디터의 제안을 거부했고, 대신 그녀의 일기와 편지를 자신의 작품 <아름답고 저주받은 사람들>과 <젤리 빈>에 써먹었다. 이를 두고 젤다는 1922년 <뉴욕 트리뷴>에 발표한 장난스러운 서평 <친구이자 남편의 최근작>에서 "피츠제럴드 씨는 - 스펠링 제대로 쓴 것 맞죠? - 표절은 집안에서 시작된다고 믿나 봐요."라고 했다. 이때만 해도 젤다는 자신의 묵인으로 인해 자기 글이 스콧의 것으로 영속되리라는 예상은 못했던 것 같다. 이후에는 그녀가 쓴 단편과 기고문조차 대부분 스콧의 이름이나 부부 공저로 나갔다.
- P12

젤다의 작품에 스콧의 이름을 붙이면 더 높은 고료를 받을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젤다 본인도 거기에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 스콧 ‘측‘의 주된 견해였다. 적어도 처음에는 그랬을지 모른다. 하지만 젤다는 점차 예쁘고 분방한 아내의 역할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성과를 내고 싶어 했고, 진지한 커리어 추구를 막는 남편에게 분개했다. - 서문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년'은 먼저 읽은 '양탄자 무늬'와 마찬가지로 명성 있는 작가와 그의 작품을 열독하며 흠모하는 독자가 등장한다. 차이는 전자에는 3인칭 화자로서 작가가 관찰의 주체로 나서고, 후자에서 작가는 이해하고 도달해야 할 목표로서 대상이 된다. 





시간이 사라지고, 기회가 없어져 간다는 느낌이었다. 이제 자신에게 마지막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는 게 아니라 이미 사라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야 하는 것을 다했으나 정작 하고 싶은 것은 하지 못했다. 그것은 파열이었다. 사실상 소설가로서 그의 경력은 끝났다. 그것은 강하게 멱살을 잡힌 것 같은 폭력이었다.

그는 다시 한 번 자신의 이야기 속으로 자맥질했고, 세이렌의 손길에 잡힌 듯이 허구의 어두운 지하세계로 이끌려 들어갔다. 예술의 윤이 나는 거대한 수조인 그 세계에서는 기이하면서도 말없는 주제들이 표류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동기를 알아보았고 자신의 재주에 감탄했다. 비록 별것은 아니지만 그의 재주는 그때처럼 빛난 적이 없었다. - P2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anshee Appears, 1862


수지 앤 더 밴시스(Siouxsie and the Banshees) https://blogs.ildaro.com/329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두 사람은 항구의 요트들에서 마시고 연주하고 밴시*처럼 울부짖으며 왕족 수준으로 흥청망청 지내는 모양이었다. *Banshee: 아일랜드 설화에서 구슬픈 울음소리로 가족 중 누군가의 죽음을 예고한다는 여자 유령 - 미친 그들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