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0
니꼴라이 고골 지음, 조주관 옮김 / 민음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펼치면 첫장 뽀얀 여백에
한줄의 문장이 새겨져있어요.

‘제 낯짝 비뚤어진 줄 모르고 거울만 탓한다‘
- 러시아속담

책을 덮고나서야
검찰관의 부정적인 등장인물들이 우리 모두의 초상이며 자기 동일성의 변주임을 알았습니다.

‘고골의 작품에서는 언제나 인류전체가 풍자의 대상이 되는 셈이나, 독자는 그 순간만은 그 풍자의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기이한 착각에 사로잡혀 풍자가와 더불어 자기자신이 소속된 인류를 비웃는 것이다‘
- 작품해설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19 23: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북프리쿠키 2018-01-21 18:57   좋아요 1 | URL
김영성님 댓글 감사합니다.
고골의 문학이 엉뚱하고 자아분열적인 이야기로 갈때마다,
점점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에 다가가는 느낌을 줍니다.
저도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몇몇 사안에 대해서 고집을 피우는 적이 종종 있지만요,
진실의 각도는 360도라는 점을 항상 명심해두어야 되더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영성님의 마지막 말씀이 참 중요한 듯합니다.^^;
 
페테르부르크 이야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8
고골리 지음, 조주관 옮김 / 민음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스토옙스키보다 고골을 더 사랑하게 될지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1-08 18: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골의 소설은 암울하면서도 그 속에 웃음이 숨어 있어요. 고골을 상징하는 ‘눈물 속의 웃음‘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니에요. ^^

북프리쿠키 2018-01-11 10:05   좋아요 0 | URL
눈물속의 웃음. 을 잘 담아내는것 같아요. 특히 캐릭토님도 최고구요^^
 

유명한 고골의 단편들 모음입니다.


외투
광인일기
초상화
네프스끼거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01-04 13: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새해 복 많이 받아요.^^

북프리쿠키 2018-01-07 15:56   좋아요 1 | URL
스텔라님도 올 한해 행복하시고, 늘 건강하시고,
좋은 책과 함께 하시길^^

2018-01-07 10: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07 15: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가난한 사람들 열린책들 세계문학 117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석영중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인간의 존재를 결정짓는 것은
그가 읽는 책, 그가 쓰는 글이라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미학공식은 이미 첫번째 소설에서부터 드러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제부쉬킨과 바르바라는 이후 도스토예예프스키의 위대한 소설에 등장하게 될 무수한 작가들, 독서가들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 해설중에서

더이상 가난해질래야 가난해질 수 없는
이들에게 문학적 빈곤까지 짊어지고 살게 만드는
천형이야말로
˝가난한 사람들˝을 제대로 보여주는게 아닌가.
도스토예프스키는 실망시키는 법이 없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2-30 03: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17-12-30 18: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 연말을 맞아 새해인사 드리러 왔습니다.
월요일부터 2018년이 됩니다.
즐거운 주말, 그리고 희망 가득한 새해 맞으세요.
가정내 일들, 그리고 하시는 일에도 좋은 일들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프리쿠키 2017-12-30 18:14   좋아요 2 | URL
늘 먼저 마음을 내고
이렇게 다가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서니데이님같은 실친이 옆에 있는 사람은 참 행복하겠구나~하는 생각이 드네요.
어릴때나 나이먹어 어른이 되어도 사람은 따뜻한 관심하나로 살아가나봅니다.
항상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합니다.
내년엔 올해보다 살맛나는 한해 되시길 바랍니다^^

2018-01-03 18: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21 18: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가 25세 때(1846년) 쓴 처녀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2-24 00: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5 21:5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