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담스런 기억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아예 기억의 진입을 저지하는 것, 즉, 경계를 따라 방역선防疫線을 치는 것이다. 기억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기억이 기록된 뒤 그로부터 해방되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이다. 추악한 작업을 담당한 사람들을 양심의 가책으로부터 보호하고, 가장 무감각하고 극악무도한 자들조차 꺼림칙해 할 그들의 작업이 확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나치 사령부가 고안해낸 방책들 중 상당수는 본질적으로 이러한 목적에 사용된 것이었다. 러시아 전선의 후방에서 민간인들을 공동구덩이(희생자 자신들이 직접 파야 했다) 가장자리에 세워놓고 기관총으로 쏜 아인자츠코만도스Einsatzkommandos에게는 원하는 대로 술이 무한정 배급되었다.(33쪽)

 

曰若寡人者 可以保民乎哉 曰可 曰何由 知吾可也 曰臣聞之胡齕 曰王坐於堂上 有牽牛而過堂下者 王見之 曰牛何之 對曰 將以釁鐘 王曰 舍之 吾不忍其觳觫若無罪而就死地 對曰 然則廢釁鐘與 曰何可廢也 以羊易之 不識 有諸 曰有之 曰是心 足以王矣 百姓皆以王爲愛也 臣固知王之不忍也 王曰然誠有百姓者 齊國雖褊小 吾何愛一牛 卽不忍其觳觫若無罪而就死地 故以羊易之也 曰王無異於百姓之以王爲愛也 以小易大 彼惡知之 王若隱其無罪而就死地則 牛羊何擇焉 王笑曰 是誠何心哉 我非愛其財而易之以羊也 宜乎百姓之謂我愛也 曰無傷也 是乃仁術也 見牛未見羊也 君子之於禽獸也 見其生不忍見其死 聞其聲不忍食其肉 是以君子遠庖廚也

 

(제 선왕이) 묻습니다. “저도 백성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십니다. "가능합니다." 왕이 묻습니다. “제가 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십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십니다. “신은 호흘胡齕이라는 왕의 신하가 한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언젠가 왕께서 대전에 앉아 계실 때 어떤 사람이 대전 아래로 소를 끌고 지나갔는데 왕께서 그것을 보시고 ‘그 소 어디로 끌고 가느냐?’고 물으시자 그 사람은 ‘흔종에 쓰려고 합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러자 왕께서 ‘그 소를 놓아주어라. 부들부들 떨면서 죄 없이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모양을 나는 차마 보지 못하겠다.’ 하셨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이 대답하였습니다. ‘그러면 흔종 의식을 폐지할까요?’ 그러자 왕께서는 ‘흔종을 어찌 폐할 수 있겠느냐. 소 대신 양으로 바꾸어라.’고 하셨다는데 그런 일이 정말로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왕이 대답합니다.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십니다. “그런 마음씨라면 충분히 천하의 왕이 될 수 있습니다. 백성들은 왕이 인색해서 소를 양으로 바꾸라고 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신은 왕께서 부들부들 떨면서 사지로 끌려가는 소를 차마 볼 수 없어서 그렇게 하신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왕이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렇게 생각한 백성도 있을 것입니다만 제齊나라가 아무리 작은 나라라고 하더라도 내가 어찌 소 한 마리가 아까워서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죄 없이 부들부들 떨면서 사지로 끌려가는 소를 차마 볼 수가 없어서 그랬던 것입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십니다. “백성들이 왕을 인색하다고 하더라도 언짢게 여기지 마십시오. 작은 것으로 큰 것을 바꾸라고 하였으니 그렇게 생각한 것이지요. 어찌 왕의 깊은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죄 없이 사지로 끌려가는 것을 측은하게 여기셨다면 (소나 양이 다를 바가 없는데) 어째서 소와 양을 차별할 수 있습니까.” 왕이 웃으면서 말합니다. “정말 무슨 마음으로 그랬는지 모르겠습니다. 나는 재물이 아까워서 그런 것은 아닌데 소를 양으로 바꾸라고 했으니 백성들이 나를 인색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당연하겠군요." 맹자께서 말씀합니다. “상관없습니다. 그것이 곧 인仁의 실천입니다. 소는 보았으나 양은 보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군자가 금수를 대함에 있어서 그 살아 있는 것을 보고 나서는 그 죽는 모습을 차마 보지 못하고, 그 비명소리를 듣고 나서는 차마 그 고기를 먹지 못합니다. 군자가 푸주간을 멀리하는 까닭이 이 때문입니다.”

 

저 유명한「맹자」<곡속장觳觫章> 일부입니다. 제나라 선왕이 흔종 의식에 쓰기 위해 죽을 곳으로 끌려가며 무서워 벌벌 떠는 소를 차마 보지 못하고 풀어주라 명합니다. 자기 눈으로 보지 못한 양으로 대신하게 합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맹자가 그 왕의 가능성을 발견합니다. 무서워 벌벌 떠는 소가 눈에 들어왔을 때 불인지심不忍之心을 낸 것에서 백성을 향한 어진 마음의 단초를 읽어낸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것 저 너머 눈에 보이지 않는 고통에까지 관심을 기울인다면 패도 아닌 왕도를 널리 펼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나치가 간 길은 이와 정반대입니다. 자신이 죽어 묻힐 구덩이를 직접 파도록 하고 희생자를 그 구덩이 가에 세운 다음 술에 만취된, 그러니까 불인지심不忍之心은커녕 기억의 진입조차 저지된 상태의 용역들을 시켜 사살하는 추악한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이런 패악이 수없이 자행되는 동안 히틀러를 포함한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은 아예 자기 눈으로 보지 않도록 철저히 겹겹이 에워싸서 불인지심不忍之心을 사전에 차단하였습니다. 술이 아니어도 이미 그들에게는 기억 형성 자체가 원천 봉쇄된 만큼 일말의 죄책감도 있을 리 없습니다. 아니, 처음부터 그들은 그렇게 치밀하게 그 메커니즘을 만든 것입니다.

 

우리사회는 어떠합니까? 아이들이 죽어가면서 살려 달라 울부짖는 모습을 보고도 구경만 했습니다. 새끼들 제발 살려 달라고 무릎을 꿇고 비는 모습을 보고도 외면했습니다. 왜 죽었는지 진실을 밝혀 달라 절규하는 모습을 보고도 조롱했습니다. 하물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임에랴. 아니, 전 국민한테는 고문하듯 진종일, 몇날며칠을 보여주고 정작 보아야 할 자들은 일부러 딴 짓 하면서 보지 않았을 테니 당최 불인지심不忍之心을 일으켰을 리 없다, 그러니까 기억의 진입 자체를 저지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보지 않아 없는 불인지심不忍之心을 보이지 않는 데까지 확장한다는 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 저들이 어찌 국민을 안정시킬 수 있을까요. 그런 저들이 어찌 국민을 주권자로 인정할 수 있을까요. 춘추전국시대만도 못한 시대를 살면서 우리가 소 같은 대접이라도 받기를 기대하는 것마저 얼마나 물색없는 꿈인 것인지. 소만도 못 한 우리야말로 기억이 천명 아닐는지. 부들부들 떨면서 잊지 못하리觳觫不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적인 전체주의 국가가 개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 압력은 무시무시하다. 그 무기는 본질적으로 세 가지이다. 교육·지도·대중문화로 위장한 프로파간다 또는 직접적인 프로파간다, 정보의 다원주의에 반하는 봉쇄, 그리고 테러가 바로 그것이다.(30)

 

근대적인 전체주의 국가라면 히틀러의 독일이나 무솔리니의 이태리를 떠올리지만 민주주의를 표방한 나라들조차 민중에게는 사실상 전체주의 국가나 다름없었습니다. 이런 사정은 21세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른바 민주공화국이라는 대한민국만 보더라도 이명박 이후 모습에는 전체주의 마각이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최근 능동적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지배집단의 이 대담성은 통제 메커니즘 완결에 따른 자신감에서 온 것입니다. 프리모 레비가 정확히 지적한 바 그 삼중압력 메커니즘입니다.

 

1. 교육·지도·대중문화로 위장한 프로파간다 또는 직접적인 프로파간다

 

프로파간다란 전체주의 세력의 자기 정당화를 위한 기만적 선전 행위를 말합니다. 이 프로파간다에는 온갖 내용이 다 포함되지만 아무래도 자기가 던지는 오늘의 떡고물과 내일의 장밋빛 희망을 주로 담고 있습니다. 요컨대 대중의 눈먼 탐욕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물론 자기 탐욕을 극대화하기 위해 던지는 미끼일 뿐입니다. 그나마도 뿌려놓고 더 많이 회수하거나 아예 말 뒤집고 뿌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 정보의 다원주의에 반하는 봉쇄

 

정보의 봉쇄는 대중이 진실을 알지 못하도록 하는, 그러니까 무지 상태에 빠져 바른 판단과 비판, 나아가 저항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입니다. 대중이 접하는 정보는 왜곡된 교과서, 국정 홍보물, 관제 및 부역 언론과 미디어, 기타 마름들이 만들어내는 찌라시들이 전부입니다. 부분적이고 일방적인 정보만 습득함으로써 전체적 쌍방향적 지식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대중은 어리석음에 깃들어 서서히 죽어가는 것입니다.

 

3. 테러

 

국가의 테러는 대개 공권력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경찰과 용역집단의 물리력, 검찰의 수사와 기소, 법원의 판결, 정보기관의 기획사건은 물론, 세무조사를 포함한 이른바 현지실사 등 이루다 헤아릴 수조차 없는 정당화된 테러가 자행되고 있습니다. 아무도 막을 수 없습니다. 아무도 동정조차 할 수 없습니다. 당하는 사람도 목격하는 사람도 공포에 사로잡혀 꼼짝달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장 치명적인 압력입니다.

 

프로파간다-봉쇄-테러의 순서로 설명된 압력 메커니즘을 우리는 세월호 사건을 통해 거꾸로 체험하였습니다. 먼저 느닷없이 테러를 가합니다. 그 뒤 다른 정보를 봉쇄하고 단군 이래 최대의 거짓 정보만으로 편리한 진실을 세웁니다. 마지막은 알량한 떡고물을 던지며 번드르르한 프로파간다로 장식합니다. 오늘의 정치적 어젠다는 이내 역사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갑니다. 피맺힌 진실은 속절없이 현실에 묻히고 맙니다. 진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공포를 이겨내야 합니다(). 손을 잡아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이미 압제자 측의·······수많은 고백, 증언, 시인 등의 자료를 가지고 있다.·······이미 역사의 한 부분이 되어버렸다. 따라서 대개는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보다는, 왜 그랬는가, 범죄를 저지를 때 이들을 인식하고 있었는가, 하는 동기와 정당화에 대한 물음이 훨씬 더 중요하다.

  ·······그들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자신들이 야기한 죽음과 고통의 어마어마함과 늘어놓는 변명 사이의 불균형을 못 볼 리 없다. 그렇다. 그들은 속이는 줄 알면서 속이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악의적이다.

  ·······세부 사항들을 여기저기 갈고 다듬으면서 자신이 거듭 반복해온 그 이야기를 완전히 믿고 만다. 처음의 악의는 선의가 되어버렸다.·······속이는 사람은 더 잘 속이고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연기하며 판사에게, 역사가에게, 독자에게, 아내에게, 자식에게 더 쉽게 신뢰받는다.

  사건들이 과거 속으로 멀어질수록 편리한 진실의 구축은 점점 더 커지고 더 완벽해진다.(26-28쪽)

 

우리사회의 부박함과 저질스러움은 근본적으로 지배집단이 자행하는 거짓말에서 나옵니다. 그들은 거짓말을 갈고 다듬으면서 그것을 정치라고 거짓말의 거짓말을 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거짓말을 지어내는 숙련 덕분에 갈수록 더 잘 속이고, 더 쉽게 신뢰받는 호사를 누리며 승승장구하는 중입니다. 그들이 저지른 범죄를 은폐하는 수많은 고백, 증언, 시인 이미 역사의 한 부분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들이 일으킨 사건들이 과거 속으로 멀어질수록 편리한 진실의 구축은 점점 더 커지고 더 완벽해집니다. 편리한 진실이 실체적 진실을 질식시키고 단 하나의 투명한 진실로 군림합니다. 이렇게 초월적 권위를 스스로 장착한 거짓말 가운데 우리 공동체의 민주적정체성을 일거에 무너뜨린 참람한 한 마디가 있습니다. “일어나시면 출근이고 주무시면 퇴근입니다.” 자신들이 야기한 죽음과 고통의 어마어마함과 늘어놓는 변명 사이의 불균형을 못 볼 리 없을진대 그들은 속이는 줄 알면서 속이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대놓고 악의적입니다. 노골적 악의는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자신감은 악의를 선의로 둔갑시킵니다. 선의로 둔갑한 악의는 맹목적 신앙의 대상으로 승격됩니다. 우리사회가 병적인 광기로 들끓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처를 받은 사람은 고통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그 기억을 지우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떤가? 수십 년이 지나도록 희생자는 고통 속에 괴로워한다. 그리고 슬프게도 다시 한 번 그 상처는 치유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장 아메리·······레지스탕스 운동을 하다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어 게슈타포에게 고문당한·······그가 남긴 글은 우리를 경악에 빠뜨린다.

 

고문당한 사람은 고문에 시달리는 채로 남는다. [···] 철저하게 그를 무無로 만들어버린 데서 오는 혐오감은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인간에 대한 신뢰는 첫 따귀로 이미 금이 가고, 이어지는 고문으 로 더 이상 회복되지 않는다.

 

그에게 고문은 끝나지 않는 죽음이었다. 아메리, 그는 1978년에 자살했다.(24-25쪽)

 

아메리, 그는 1978년 자살했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왈칵 눈물이 솟구쳐 올라옵니다. 이 문장을 쓴 프리모 레비도 1987년, 결국, 자살했습니다. 여기로 생각이 흐르자 눈물은 이내 강이 됩니다. 한참을 울고 나니 질문 하나 떠오릅니다.

 

이들의 죽음이 어째서 ‘자살’이란 말인가?

 

치유 불가능하다, 시달리는 채로 남는다,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더 이상 회복되지 않는다, ‘마침내’ 끝나지 않는 죽음이었다, 로 이어지는 이 도저한 참혹의 행렬 뒤에 무심히 나타난 자살했다는 말은 얼마나 낯선 것이고 또 얼마나 긴 숨을 내쉬게 하는 것입니까. 끝나지 않는 죽음에 닿아 있는 죽음은 어떻게 세상의 모든 말을 한 순간에 췌사贅辭로 만들어버립니까.

 

이 먹먹한 가슴으로 더는 생각이란 것을 할 수 없으려나봅니다. 저 참혹한 언어들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새끼들 뒤를 따라 한사코 맹골수도에 뛰어들고만 싶을 어미 아비의 한 뿐입니다. 무슨 말을 보태도 부박할 터이므로 삼가 침묵으로 예를 표함이 도리일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기억은 놀라운 도구인 동시에 속이기 쉬운 도구이다.(23쪽)

 

인간은 기억입니다. 기억으로써만 인간은 자신의 경계를 세울 수 있습니다. 기억으로써만 인간은 자신의 경계를 허물 수 있습니다. 경계를 세우고 허무는 변화과정이 인간입니다.

 

진실은 기억입니다. 기억으로써만 진실은 사실의 거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억으로써만 진실은 사실의 감옥을 벗어날 수 있습니다. 사실을 딛고 뛰어넘는 운동과정이 진실입니다.

 

역사는 기억입니다. 기억으로써만 역사는 오늘이 어제를 계승하게 합니다. 기억으로써만 역사는 오늘이 어제와 단절하게 합니다. 오늘이 어제와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이 역사입니다.

 

사회는 기억입니다. 기억으로써만 사회는 너와 나의 쌍무계약이 됩니다. 기억으로써만 사회는 너와 나의 파약송사가 됩니다. 너와 나의 계약과 파약으로 뒤엉킨 판이 사회입니다.

 

 

인간도 진실도 역사도 사회도 순도 99.99%의 놀라운 기억 위에 세워지지 않습니다. 현실에서는 도리어 더 많은 속이기 쉬운 기억 위에 세워집니다. 기억의 실재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투쟁이 불가피합니다. 타인과도 자기 내면과도 고요히 또는 맹렬히 싸워야만 합니다.

 

인문의학으로 상담 치료하는 과정에서 이런 순간들과 매우 자주 마주칩니다. 병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기억을 스스로를 파괴하는 쪽으로 자꾸 재구성합니다. 과장하거나 축소합니다. 부가하거나 누락시킵니다. 심지어 당최 없었던 것을 새로이 지어내기도 합니다.

 

치료되고 싶다는 소망과는 전혀 다른 길입니다. 치료과정이 불편하고 아프기 때문입니다. 고통을 연장하고 급기야 즐기는 지경으로 치닫습니다. 이쪽이 익숙하고 편하기 때문입니다. 곡진하고 결곡한 치료적 접근이 없는 한 평생 이렇게 사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지금 우리사회는 기억을 위한 투쟁으로 다시없이 피폐해져 있습니다. 조선의 멸망에서 시작하여 식민지·군정·내전·민간과 군부의 독재·매판 세력의 귀환으로 이어지는 정치사적 트라우마. 그리고 마침내 세월호사건. 219번 째 4월 16일, 오늘 우리 기억은 안녕한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