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 낯선 번호의 전화 한 통이 왔다. 잠깐 망설이다가 받으니 젊은 여성이 내 이름 뒤에 ‘아저씨’를 붙이고 맞느냐고 묻는다. 그렇다, 하자 자신을 아무개 큰 딸이라 소개한다. 아무개는 얼마 전 세상 뜬 내 고교 동창이다. 유품을 정리하다보니 여러 곳에서 내 전화번호가 발견되어 대체 누군가, 궁금했단다. 생애 마지막 무렵 아주 힘들 때 심리상담을 해준 한의사라 하니 아버지 이야기를 듣고 싶다며 만나기를 청한다. 진료를 끝낸 뒤 근처 음식점에서 마주앉았다.
죽은 그 친구는 아주 어두운 유년시기를 보냈다. 엄마뻘인 배다른 큰 누이한테서 모질게 학대당했다. 그 원한감정을 끝내 떨치지 못한 채 우울증, 알코올중독, 간암으로 이어지는 어둠 속에서 헤매다 쉰여덟 어느 이른 여름날 큰 누이가 살고 있는 이 행성을 떠났다. 그 마음 한 자락 붉은 곳에 내 손이 닿았던 인연으로 나는 그의 딸아이 마음까지 다독여야 하는 자리에 앉게 된 것이다. 딸아이는 연신 눈물을 훔치며 이야기를 듣는다. 자주 자주 내 말을 메모해가며.
내가 해준 말은 두 가지였다. 좀 더 일찍 아버지 상태를 질병으로 인식하고 치유의 관점을 확보했더라면 결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가 그 하나다. 사실 그는 마지막 가는 길목까지 아내와 두 딸한테 철저히 외면당했다. 과도한 음주와 폭력으로 가족 모두를 피폐하게 해 뿔뿔이 흩어졌기 때문이다. 가족은 한결같게 그의 상황을 인격과 윤리 차원에서 이해하였으므로 치유는 물론이고, 용서도 화해도 이루어질 수 없었다. 가족의 이름으로 벌어지는 흔한 살풍경이다.
다른 하나는 가족 모두 특히 어린 막내딸이 필경 입었을 상처 이야기였다. 나는 막내딸이 아버지한테서 관통상을 입었을 것임에 틀림없다고 말했다. 아니나 다를까, 현재 아버지를 똑 닮은 남자친구에게 집착하여 어머니와 언니 속을 태우고 있단다. 상처가 내면화되었다는 증거다. 떠난 사람, 떠난 거 아니다. 상처로 병으로 엄연히 머물러 있다. 시급히 치유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했다. 가능성 높지 않지만 그 막내딸이 걸어오는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
장대처럼 쏟아지는 빗발을 뚫고 돌아가는 그 큰 딸의 가벼울 리 없는 발걸음을 보고 한참이나 서 있었다. 큰 딸에게서도 그 아버지의 모습이 꽤나 많이 어른거리는 것을 본 터라 내 발길 역시 비에 젖은 그 이상으로 무거웠다. 지금 이 시간까지 삶과 죽음, 사랑과 상처, 가족....... 이런 생각으로 가슴이 젖어 있어 진료 중에 자꾸 숨을 몰아쉰다. 어르신 한 분이, 원장 선생 어디 아프우? 하신다. 민망히 웃으며 돌아서는데 설핏 어스름 이내가 마음 살갗에 살랑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