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卽多 多卽一(일즉다 다즉일)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9-16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一卽多 多卽一 알 것도 같을 것 같은데...제가 생각의 깊이가 짧아서
bari_che님의 깊으시고 좋은 말씀풀이로, 더욱 기쁘게 듣고 싶어요...^^;;
사진도 눈이 시리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bari_che 2013-09-16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한 일자(一)를 - - 로 읽으셔서 해석이 잘 안 된 거로군요.
에구~ 한글 음을 달았어야 하는데... 죄송!

일즉다 다즉일, 다 아시는 이야기지요.
노파심에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각기 다른 개체는 전체 이치를 모두 구현하고 있고,
전체는 개체의 서로 다른 다양성을 가로지르면서도 그 풍요를 모두 품어 안는다,
뭐 이런 말입니다.


appletreeje 2013-09-16 13:26   좋아요 0 | URL
에고.....심하게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 ^^:;;
그래도 bari_che님의 깊은 말씀, 오늘도 배워가며
방금 전보다 앞으로는 조금이나마 나은 사람이 되려
노력하며 살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히히...
 

 

 

사람 떠난 자리

바람 햇빛 자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본주의가 저지른 가장 악랄하고 심각한 범죄는

선악의 문제를 승패의 문제로 바꿔치기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을 보고 있으면 남의 기준에 따라 행동한다.

나를 보고 있으면 의 기 따라 행동한다.

둘 중 하나만 하거나, 둘 다 않으면 병든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독자의 질문>

 

선생님, 안녕하세요?

 

제게는 사이클이 있는 것 같은데요.

말수가 줄고

다른 사람 얘기에 공감이 전혀 안 되고

즐거움, 슬픔도 없고

이런 상태로 좀 오래 가고나면

늘 유쾌하고

자심감 충만한 모두가 호감 가질 수 있는 

내가 되는데

나를 아는 사람들한테

긍정적인 모습만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에

우울 상태서는 사람도 피하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끝이 있다는 것

지나갈 거라는 사실이 위로가 되지만

유쾌한 나를 느끼고 싶은데... (2013. 9. 4.)

 

 

 

 

 

<나의 대답>

 

자본주의가 생산해낸 최고의 히트 상품 가운데 하나가 이른바 자기계발 개념입니다.

이 자기 계발은 여러가지 형태로 우리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여기에 발 담그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을 지경이지요.

특히 우리사회는 그 정도가 심합니다.

 

이 자기계발의 핵심은 이른바 긍정주의입니다.

부정(적인 것, 무엇보다, 마음)을 몰아내고 긍정으로 채우면 대박난다는 교설이지요.

부정은 악이며 긍정은 선이라는 이분법에 터 잡은 사기술입니다.

 

부정은 어둡지만 어둠이 곧 악은 아닙니다.

긍정은 밝지만 밝음이 곧 선은 아닙니다.

 

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어느 해 자기 콩밭 옆으로 국도가 나면서 가로등이 설치되었습니다.

낮에는 햋빛이 밤에는 전등빛이 콩밭을 비추자 콩잎이 호박잎만큼이나 커졌습니다.

농부는 대풍의 기대에 부풀었습니다.

기대의 나날은 흘러갔지만 꽃이 피지 않았습니다.

꽃이 피지 않으니 열매가 맺힐 리 없습니다.

콩잎 먹자고 콩을 심은 것은 아닙니다.

농부는 그제서야 깨달았습니다.

가로등을 철거해달라고 말하기 위해 전화기를 들었습니다.

 

어둠이 없으면 콩은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

빛만을 생명의 근거로 삼을 수는 없습니다.

어둠도 생명의 당당한 근거입니다.

사람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밤에 잠을 자지 못 하면 생명은 오래 못 가 스러지고 맙니다.

 

슬픔, 아픔, 두려움, 분노, 절망감, 허무감.......

마음의 어둠 또한 이런 이치 한가운데 있습니다.

겪을 때는 없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질문하면 전혀 달라집니다.

사랑하는 남편이 죽었는데 슬픔을 느끼지 못 한다면 어떨까?

무남독녀 외동딸이 깊이 병들어 있는데 아픔을 느끼지 못 한다면 어떨까?

촛불을 들었다고 국가 권력이 사찰을 하고 있는데 두려움을 느끼지 못 한다면 어떨까? 

.......

 

한 걸음 더 나아가 생각해보겠습니다.

삶의 시간이 온통 허무감으로 가득차 있다면 그것을 우리는 우울증이라 합니다.

그럼,

삶의 시간이 온통 환희로 가득차 있다면 그것을 무어라 해야 할까요>

지극히 정상적이고 간절히 바라는 바인가요?

아니!

아닙니다, 절대!

그런 걸 보고 '미쳤다'고 말합니다!

 

세계는 비대칭적인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쁨과 슬픔, 그 둘 가운데 어느 하나가 없어서는 당최 사람이 아닙니다.

기쁠 때가 있고 슬플 때가 있는 법입니다.

기쁠 때 기뻐하고 슬플 때 슬퍼하는 것이 건강한 사람입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정도의 차이입니다.

격정이 개입하면 기쁨도 슬픔도 병이 되지요.

우울장애 아니면 양극성장애(이른바 조울증)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물론 감정 지각이 전혀 안 되는 경우도 격정의 범주에 속합니다.

만일 지금 걱정하시는 것이 이런 상태라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문제를 거론하려면 아마 조금 더 깊은 이야기가 필요하지 싶습니다.

우울장애는 미국 중심의 양의학이 말하는 것처럼 단순한 기분장애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우울장애의 밑절미는 있는 그대로 자신을 인정하지 못 하고 업신여기는 마음입니다.

어디서 어떻게 그런 마음이 왔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그래야 나가는 길도 열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