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가 잃어버리는 것은 ‘구원에 대한 감각’이다. 구원 그 자체가 아니라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어가는 상황이 더 치명적이다.·······지금은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선지자조차 지쳐 떨어진 밤”·······이다.·······설산은 있다. 그곳으로 오라. 설산은 없다. 그래도 오라.(345-346쪽)

 

구십 줄에 접어든 어떤 여성 어르신이 침 맞으면서 제게 하신 말씀을 기억합니다. 

 

“침 맞으면 나아져서 오는 거 아녀. 무슨 수를 써도 아파. 아프니까, 오는 거여.” 

 

그 날 저녁 자꾸 그 말씀이 떠올라 막걸리를 가슴에 들이부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말하는 순간이 아니고, 무슨 수를 써도 아파. 아프니까, 오는 거여, 라는 말을 듣는 순간 제가 ‘구원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렸던 것이 아닐까요? 구원 자체의 망실보다, 침을 든 제 손 감각이 먼저, 망실된, 아니 있어도 허망한 상황이었던 것이 아닐까요? 어쩌면 정반대로 구원에 대한 감각이 너무 예리해진 나머지 날刃이 뒤집어진 것일지도 모를 일이나 결국 마찬가지 아닐까요?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앵무새처럼 반복해서 말하는 권력집단의 협잡술에 속아, 지금-여기 숱한 사람들이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어가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실제로 풍요와 아름다움 속에 산다면 구원은 당연히 불필요할 것이나, 자살률 1위인 우울공화국인데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다니. 권력이 문제없는 정치를 하고 있다면 구원은 당연히 불필요할 것이나, 일부러 죽여 놓고도 교통사고라 잡아떼는 살인공화국인데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다니.

 

게다가, 지금은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선지자조차 지쳐 떨어진 밤”입니다. 말 깨나 하던 자들, 글 깨나 쓰던 자들, 죄다 최선을 다해 비겁해진 세월입니다. 이런 판국이라면 구원의 감각을 지니고 아니고, 의 차이는 소멸하고 맙니다. 낫든 안 낫든, 설산이 있든 없든, 우리의 언어와 몸짓은, 오직 하나뿐입니다. 아프니까 오는 거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각이 당대의 의제다·······감각만으로는 역부족·······그러나 사유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감각에 대해 더 이상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감각에 대해서 더 치열하게 말한다는 것이다.·······해방된 감각은 그 해방으로부터도 다시 해방되어야 한다. 그러니까 모든 혁명은 두 번 연이어 일어나야 한다.········Encore un effort pour être révolution!(299-314쪽: 사드의 말 일부를 재인용하면서 Encore의 첫 글자 대문자 바꿈, révolutionnaires의 révolution 바꿈은 인용자가 함.)

 

감각의 본능은 배반이·······(312쪽)므로 배반만이 인간다운 삶의 표지인 지금, 감각이야말로 우리의 구원입니다. 배반의 ‘촉’은 감각에서만 옵니다. 왜냐하면 그 밖의 것으로는 권력의 낌새를 제대로 알아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감각이 감각이기 때문에 감각 자체로 완성이거나 유일하지는 않습니다. 감각 또한 권력일 수 있습니다. 배반으로서 감각이 그 본능을 길이 간직하려면 스스로를 스스로 배반해야 합니다. 그것을 Encore un effort pour être révolution!, 혁명이 되기 위해 한 번 더 노력하라, 그러니까 스스로 스스로를 혁명하라고 한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입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은, 흔히 긍정이라 알고 있습니다. 아닙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은 부정不定, 그러니까 uncertainty, 더 ‘감각’적으로는 about입니다. 자유입니다. 무애無碍입니다. 향 맑은 놀이입니다. 마흔 두 날 곡기를 끊어, 내려놓음 없이 내려놓아, 거듭 해방한 감각입니다. 오늘 여기 시를 한없이 부끄럽게 하는 ‘시’가 거듭 부정否定의 화신으로 누워 몰락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그를 의식하고 있을 때 나는 아직도 그보다 약자인 것이다.(297쪽)

 

이렇게 바꿉니다.

 

“내가 그를 의식하고 있을 때 나는 아직도 그보다 아픈 자인 것이다.”

 

언제나 마음병 앞에 서성대는 제게 이 말은 더없이 절절합니다.

 

우울장애에 시달리는 자는 약속시간 전에 나왔으면서도 그가 늦게 나타난 게 내 탓이 아닐까, 가슴이 콩닥콩닥 합니다. 건강한 자는, 그러니까 덜 아픈 자는 약속시간을 어기고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갑니다.

 

사회불안장애로 신음하는 자는 길을 가다가 맞은편에서 오는 두 사람이 킬킬대면 자신을 보고 그러는 게 아닐까, 가슴이 철렁 합니다. 건강한 자는, 그러니까 덜 아픈 자는 그들이 뭐라 해도 신경 끕니다.

 

매우 사소한 차이처럼 보입니다. 이 사소한 차이가 삶을 나누고 죽음을 가릅니다. 나는 일상이 꺾여 아픈 자로 묶입니다. 그는 뒤돌아보지 않고 씽씽 나아갑니다. 이 차이는 좀처럼 역전되지 않습니다.

 

 

오늘 우리 앞에 ‘나’와 ‘그’를 세웁니다. 유민 아빠와 유민 아빠가 만나고 싶어 하는 분, 둘 중 누가 누구를 의식하고 있는 것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정한 전복은, 수구적이고 퇴행적인 것이라고 누구나 알고 있는 그것을 전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가 전복이라고 믿고 있는 그 전복의 관념 자체를 혼란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전복을 전복하는 전복·······(288쪽)

 

우리사회의 사악한 권력과 천박한 자본, 그리고 협잡 언론이 수많은 좋은 말·생각·사람을 땅바닥에 내동댕이쳤습니다. 민주주의·촛불집회·김구·······반대로 수많은 나쁜 말·생각·사람을 하늘 높이 올려놓았습니다. 반공주의·4대강사업·이승만·······

 

덕분에 이제는 온갖 것이 뒤섞여, 거의 모든 문제의식과 판단이 맹목 신앙 수준에서 악다구니를 치고 있습니다. 매판과 애국이, 항일무장투쟁과 테러가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민중의 돈 1800조를 해외에 빼돌린 지배층이 산업화세력으로 군림하며 여전히 공적 이익을 사유화하는 데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자기 집 전기요금에 재벌의 것이 포함되어 있는 줄도 모르는 대중은, 알 권리를 박탈당한 채, 여전히 이런 협잡에 베이스를 깔아주고 있습니다.

 

인간의 인간다움, 그 진실에 터하여 우리사회에서 무엇은 홀랑 뒤집어엎고, 무엇은 단단히 다질 것인가, 하는 생각이 현실의 어지러움과 맞닥뜨리면 대단히 아득한 문제가 되고 맙니다. 너무도 긴 세월 동안 뒤집어엎어야 할 세력에게 도리어 뒤집어엎어졌기 때문입니다. 이 착종의 엉킨 매듭을 끊고 나와 옹골차게 전복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어법을 달고 사는 자를 색출해내면 일이 쉬워집니다.

 

1. 두괄식 어법으로 계몽하는 자.

1. 2인칭 어법으로 훈계하는 자.

1. 금지 어법으로 통제하는 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맞습니다. 깊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시, 바로 그것들이 이들의 역설적인 가능성이라고 저는 말하겠습니다. ‘깊이가 있다’는 것은 곧 그곳이 3차원의 세계라는 것을 뜻합니다.·······중심이 있고 주변이 있고 그 사이에 지배(정치적 공간)가 있습니다.·······2차원으로 돌아가면 지배관계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이 제거될 것입니다. 4차원으로 나아가서 제4의 축인 ‘시간’을 도입하면 지배관계가 관철되는 시간의 질서 자체를 흩뜨려버릴 수 있습니다.(284-285쪽)

 

문학, 예술을 거론하는 자리니까 깊이 이야기가 나온 것이지 사실 정치의 공간에서는 깊이라는 개념이 가당치 않습니다. 깊이 있는 정치라니, 지나가던 개가 웃을 일입니다. 권력은 돈과 연동되어 한사코 ‘높이’ 올라가려고 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힘없고 돈 없는 ‘아랫것’을 밟아대며 키들거리는 장면에서 ‘근본 있음’의 인증샷이 성립되는 공간이 정치판입니다. 물론 정치가 일단 올라가면 영원히 내려오지 않으려 하는 ‘높이’는 지배와 소유를 위한 구조적 경사를 의미합니다. 기품·격조와는 전혀 무관합니다.

 

지배-복종 관계에서 자행되는 폭력과 수탈의 일방적 미끄러짐을 막기 위해서는 깊이든 높이든 그 가파른 경사를 없애야 합니다.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하나는 공시共時적synchronic 차원의 고르기입니다. 2차원 평면, 그러니까 평등한 정치지형을 만드는 것입니다. 국민nation, 정확히는 민중people에게 주권을 주는 것입니다. 그것이 민주주의입니다. 높이, 서정의 차원에서는 깊이, 앉아서 통치하거나 계몽하려는 삿된 시도를 무화無化하는 것입니다. 붓다 버전으로는 무아無我입니다. 공자 버전으로는 중용中庸입니다.

 

다른 하나는 통시通時적diachronic 차원의 고르기입니다. 과거에 기반을 두고 현재와 미래를 선형적으로 통제하려는, 동요를 차단하려는, 권력과 부를 영속화하려는 삿된 시도를 무화하는 것입니다. 변화로만 나타나는 진실을 유연하게 세계 속에 번져가게 하는 것입니다. 붓다 버전으로는 무상無常입니다. 공자 버전으로는 시중時中입니다.

 

 

공시적으로든 통시적으로든 우리사회의 경사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더욱 강고해지고 있습니다. 미상불 정치적으로는 이 추세를 막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인문에 길이 있을 것입니다. 증상에서 치유까지 다양한 인문의 줄기들이 변방을 엮어 흔들어서 중심을 깨뜨리지 않는 한 미래는 우리 모두를 이끌고 ‘깊은’ 바다 속으로 침몰할 것입니다, 저 세월호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