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을 여니 지난밤 대학 동기 하나가 보낸 카톡 알림이 뜬다. 별로 친하지 않아서 그동안 카톡은커녕 전화 한 통 주고받은 일이 없던 터라 갸우뚱한 채 보니 아뿔싸 전한길 유튜브다. 350만 뷰라며 보라고 한다. 하도 어이가 없어 쌍욕 하나 날리고 지워버린다.
이놈은 판사 출신 변호사다. 국비로 미국 유학까지 한 엘리트다. 그런 놈이 전한길 유튜브에 빠져 “전도”씩이나 하고 자빠진 거다. 하기는 전광훈 집회에 60대 이상 엘리트들이 득실거린다니 뭐···. 엘리트란 공부“나” 잘해 다른 쪽은 계발되지 못한 “꼴통”을 가리키는 말이지 싶다.
사실은 나도 검사가 되려고 사법고시를 본 적이 있다. 일차 합격해서 두 번 이차를 본 뒤 나는 단호히 발길을 거둬들였다. 달달 외워서 쓰는 공부가 너무 싫어서다. 나는 시험용 암기 공부에 적합하지 않고 학문용 사색 공부에 적합한 머리를 지녔다고 한 어느 선배 말이 정확했다.
그 선배는 내가 “민주적 기본 질서를 논하라”라는 문제를 놓고 일주일 동안 고민하는 모습을 보더니 고시 공부는 그렇게 하면 안 된다며 몇 가지 충고를 해주었다. 그때는 반신반의했으나 이차 시험 보고 나선 확연하게 내 본성을 깨달았다. 나는 인생을 고민하는 쪽으로 돌아섰다.
이 돌아섬은 패배였다. 나 말고 모두 반대했다. 그러나 수십 년 뒤 내 동기서껀 친했던 선후배 가운데 판검사가 된 면면을 보고서 실패가 축복이었음을 알게 됐다. 세상 이치 전혀 모른 채 시험으로 ‘현자’와 ‘사도’가 된 엘리트들이 무지와 편향에 절어 있음을 목격했기 때문이다.
시상 이치란 심오하고 복잡한 무엇이 아니라, A가 진리일 때 똑같은 값으로 진리인 non A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니까 부단히 펼쳐지는 비대칭 대칭 사건이 세계 진실이라는 이야기다. 일극 집중 형식논리에 빠져 저만 옳다고 맹신하는 엘리트 머리로는 도저히 용인할 수 없다.
전한길 유튜브 보낸 엘리트 놈과 달리 내가 세상 이치를 깨달을 수 있었던 힘은 바로 저 패배에서 나왔다. 패배를 거듭하며 세상 이치를 더욱 섬세하게 더욱 치밀하게 깨달아갔다. 그 깨달음이 빚어낸 처음이자 마지막 승리는 패자 필생 진리다. 이 진리는 현재진행형 미완 서사다.
완성 없는 승리 서사를 한 자 한 자 써가는 사이 없으나 있고야 마는 패자 언어에 마음 기울인다; 있으나 없어지고야 마는 승자 개소리에 더 이상 신경 쓰지 않는다. 저들이 엄숙 떨 때 우리는 그저 그냥 논다. 웃으며 춤추며 손뼉 치며 응원봉 흔들며 우리는 엘리트를 딜리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