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열차 - 양장 합본 개정판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자크 로브.뱅자맹 르그랑 글, 장 마르크 로셰트 그림, 이세진 옮김 / 세미콜론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의 수레바퀴 혹은 쳇바퀴...
설국열차를 읽고 나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역사는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세력과 살기 위해 혁명을 일으킬 수 밖에 없는 집단 사이의 대립과 부딪침. 전복과 반동. 엎치락뒤치락.


이 만화는 SF라는 장르를 선택해 미래세계를 그려내지만 그것은 우리가 살아온 과거의 모습이자 현재의 모습이라는 생각을 들게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어떠한 선과악의 대립이라기보다 자신의 목적에 어울리는 삶을 선택하며 대립하는 모습이 유치하게 세상을 표현한 것보다 효과적으로 현실을 옮겨내는데 한 몫한다. 꼬리칸에서 탈출한 주인공은 단지 자신이 살기위해서 그곳을 벗어났고 꼬리칸의 사람들이 어찌되든지 별로 상관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위선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 남자를 통해 꼬리칸 사람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여자 역시 아름다운 대의라고 할 수 있을 만한 것은 없다. 이상론이 그녀를 사로잡았을 뿐이지 그녀 역시 그녀의 인생 목적대로 움직일 뿐이다. 권력층의 세력유지 역시 그들의 살아가는 방식이다. 조금 더 착하고 조금 더 악해보이는 인간들이 살아가며 자신의 목적을 채우려는 사회와 종교, 국가와 체계를 효율적으로 집약할 수 있는 이유다. 그리고 단지 그 이야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편을 읽고 났을 때 그들의 희망과 직관이 다다른 종착역은 죽음의 그림자일뿐이라는 절망을 남겨준다. 우리 인생에 해피엔딩이 있나? 궁극적으로 사람들은 답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저 살아갈 뿐이라고 그리고 그 종착역에 이른 설국열차의 사람들도 어떻게든 다시 살아갈 것이란 생각이 든다.


단지 아쉬운 것은 종교에 대한 단순한 모방과 유치한 흉내가 흠이라는 것이다. 특히나 기독교의 모습을 통해 비꼬는 종교의 맹목적 믿음과 진실의 왜곡은 단순히 신앙 밖에 저자의 편협한 모습밖에 드러내지 못한다. 사회적 비판거리가 목적이었겠지만 기독교의 진리는 단순히 그런 겉모습을 통해 비판받을 만한 무가치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런 얕은 표현은 아쉽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봉준호 감독이 설국열차에 매력을 느끼게 된 부분은 설국열차에 부딪칠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을 통해 열차 안의 사람들을 지배하는 지배층의 모습에 재미를 느끼지 않았을까? 그 모습이 마치 한국근대사회의 단면이기 때문에 그 이야기에 끌리지 않았을까 유추해 본 것이다. 하여튼 설국열차를 읽고나자 설국열차를 보게 될 것을 더욱 기대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북펀드 티켓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에서 출판한 <지상최대의 철학쇼>를 재미있고 유익하게 읽었다. 그래서 이 출판사의 책들은 주목하고 있다. 좋은 글쓰기에 대한 고민이 요즘 상당한데 이 책을 읽고 깨어났으면 좋겠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북펀드 티켓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책도 많이 읽지만 책에 대한 투자도 열심히 한다. 독서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일 것 같아서 <독서의 기술, 십대를 위한 앎의 좌표>에 투자하게 되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꼭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북펀드 티켓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에 투자했다. 요즘 관심사중 하나는 건축과 도시다. 그러나 그 분야의 책들이 별로 없을 뿐더러 우리나라 서적들은 더더군다나 없다. 꼭 읽어보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성애를 말하다 -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그리고 사랑이 없는 무성애, 다시 쓰는 성의 심리학
앤서니 보개트 지음, 임옥희 옮김 / 레디셋고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무성애를 말하다
내가 생각하고 있던 무성애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 책은 전문적인 무성애,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무성애에 대해 심층분석한다.
나는 단순히 무성애라하면 요즘 세대가 사람들에 대해 관심이 없고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사랑이 없어진 어떤 도덕 철학적인 무성애에 대한 책일줄 알았는데...
이책은 그런 류의 책이 아니었다...
이 책은 이성애, 양성애, 동성애와 함께 분류될 수 있는 성적인 관점에서의 무성애를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무성애라는 말은 낯설고 생소하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무성애를 깊이 있게 파고든다.
무성애의 역사에서부터 어떤 양상인지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이해해야하는지 동성애자나 다른 성애자들과 어떻게 다른지 사회적 성과 육체적 성으로 볼 때 무성애는 무엇인지...등 놀라운 점은 무성애라는 것이 생각보다도 우리 주변에 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밝혀지지 않은 것은 그다지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없다는 것 정도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시사하는 바는 흥미로웠지만 현대사회 속에서 새로운 의미의 성에 대해서 탐구한다는 점을 꽤나 지루하게 풀어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