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 안단테 칸타빌레
김호기 지음 / 민트북(좋은인상)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내 인생, 안단테 칸타빌레」를 읽고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손에 이상이 생겼다면 가장 큰 타격일 수밖에 없고, 이 힘든 순간을 이겨내리라는 것도 결코 쉬운 아닐 것이다. 그 만큼 악기 연주자에 있어서 손과 손가락은 바로 생명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저자도 바로 이런 손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에 결국 바이올린 연주의 음악 인생에는 손을 떼야 할 순간에도 이를 포기하지 않고, 더욱 더 근본적인 바이올린 제작 쪽으로 눈을 돌려서 도전해 나가는 모습들이 매우 감동적이다. 온갖 정성을 기울여서 재료들을 준비하고, 그 준비된 재료들에 온갖 혼을 기울여서 제품을 만들게 된다면 분명코 명품이 탄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이런 사람들을 가리켜 명장(名匠)이라 불리 운다. 저자가 좌절의 문턱에서 희망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가족을 비롯한 친구들과, 주변 사람들의 아름다운 격려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데에는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하였다. 바로 이런 마음들이 우리 인간이 멋지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삶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사람과의 만남을 소중히 하면서도 자신이 결정한 원대한 꿈을 향하여 조금은 느리더라도 한 발 한 발 걸어 나가는 끈기 있는 도전 정신이 돋보인다. 결국 바이올린 연주의 길을 접고 드디어 바이올린 제작으로 방향을 잡게 되면서, 다시 이탈리아로 건너가 언어의 장벽과 나이의 많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라드 디바리 국제 현악기 제작 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하면서 바이올린 제작 여자 자격증인 마에스트라를 획득하게 된다. 이제 당당하게 바이올린을 만들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 것이다. 바이올린 연주자에서 시작하여 제작할 수 있는 마에스트라로 변신하기까지의 여러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음악가들은 물론이고 우리 같은 비 전문가에도 여러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하나의 바이올린이 완성되기까지 단풍나무는 오랜 시간 비바람을 견뎌내야 했고, 전나무는 대못처럼 내리쬐는 뙤약볕 아래 오롯이 제 몸을 맡겨 성장해나갔듯이 우리 사람들도 오늘 하루에 너무 급하게 일희일비하지 않고, 느리더라도 자신의 원대한 꿈을 향하여 한 걸음씩 나아가는 인내력이 절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마음으로 즐겁게 생활해 나갈 수 있다면 그 자체가 바로 최고의 행복한 모습이 아닌가 생각을 해본다. ”멈추지 않은 선율로 인생을 연주하라! 사랑이 있는 한 우리는 언제든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라는 말처럼 우리 생활에서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 사랑이 넘치는 행복함의 시간들이다. 바로 이런 모습들도 결국 각 자 자신이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 어떤 누구도 만들어준다고 보장할 수 없기에 스스로가 매사를 적극적, 긍정적인 자세로 만들어 나가야만 하는 것이다. 내 멋진 미래를 위해서 말이다. 좋은 교훈을 얻어낸 좋은 독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