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서재를 볼 기회를 얻게 되면 꼭 눈여겨 보려는 장르가 있습니다. 바로 글쓰기 책입니다.

한 두권 갖지 않은 사람이 없겠지만 전시(?)하기가 꺼려지는 장르가 글쓰기 책이 아닐까 싶은데요..

그럼에도 옆에 두고 필요할 때마다 펴보는 책이 글쓰기 책일 것이기에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저는 글쓰기 책을 별로 읽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서재를 뒤져 보니 열 권이 넘는 책이 꽂혀 있고 그 가운데 서너 권은 정독을 했고 서평도 썼습니다.

자신이 던지는 주무기가 난타당하고 나면 다른 종류의 볼을 연마해 장착했다는 한 프로야구 투수처럼 저도 글이 잘 안 써질 때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할 때 한 권 한 권 관련 책들을 사두었다고 하겠습니다.

최근 읽은 글쓰기 책은 최옥정 작가의 ‘2라운드 인생을 위한 글쓰기‘이고 지금 읽고 있는 책은 임정섭 강사의 ‘글쓰기 훈련소‘란 책입니다.

두 권 모두 추천할 책입니다. 최옥정 작가의 책은 글쓰기의 의지와 마음 가짐, 글쓰기와 관련해 갖추어야 할 루틴(일상에서 반복되는 습관) 등을 2라운드 인생(50 플러스)에 맞춰 집약시킨 책입니다.

임정섭 작가의 책은 ‘일곱 유형의 실패한 글에서 배운다‘란 첫 챕터부터 눈길을 끄는 명쾌한 책입니다.

특히 ‘어른이의 에세이‘란 글에서 언급된 어린이의 글쓰기 유형이 눈여겨 볼 만합니다.(어른이란 아이 같은 어른 즉 아이처럼 글을 쓰는 어른을 말합니다.)

저자는 ‘나‘라는 주어의 남용, ‘그리고‘나 ‘그래서‘ 등의 접속어의 남용, 적절한 곳에서 끊지 않고 길게 이어가기, 생각한다란 표현의 남용 등을 유치한 글쓰기의 대표 사례들로 꼽습니다.

글이란 생각의 체계적인 표현이니 글을 쓰며 생각한다란 표현을 하는 것은 동어반복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신은 잘 쓴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이 글쓰기 책을 읽으며 얻는 성과이자 진실일 터입니다.

김애리 작가의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란 책 제목을 글쓰기 책이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고 바꿔 말하고 싶습니다.

이런 사실은 박찬영 작가의 ‘글쓰기 비결 꼬리물기에 있다‘란 책을 보면 금세 알 수 있는 점입니다.

조정래, 박경리, 이외수, 공지영, 유홍준, 유시민, 이문열, 강원국, 혜민 스님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 파워라이터들도 기초적인 오류를 자주 범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이 쓴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 주어와 서술어의 불일치, ‘그리고‘나 ‘그래서‘ 같은 접속사의 남용, 중언부언, 불필요하게 길게 쓰기 등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결정본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말은 아르헨티나의 거장 작가 보르헤스가 한 단언입니다.

글쓰기 책이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는 제 말을 뒷받침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최옥정 작가의 말을 인용하겠습니다. ˝지침서만 보면 글을 잘 쓸 수 있다?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글쓰기다.˝(‘2라운드 인생을 위한 글쓰기 수업‘ 151 페이지)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고치는 것 말고 다른 글쓰기의 비결은 없습니다. 단 바르고 체계적인 방식에 바탕을 두고서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함께 강의를 들은 분 가운데 30대 초반쯤의 한 여자분이 있었다.

왜 책을 쓰려 하느냐는 강사의 질문에 그 분은 도서관 사서로서 유명세에 비해 또는 유명하지도 않으면서 내용이 부실해 실망스러운 책이 너무 많아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결국 직접 좋은 책을 써서 이용자들에게 읽히게 하고 싶어서라는 것이 그 분의 답이었다.

그 과정에서 좋은 책에 대한 안목을 키울 수 있고 출간 과정에 대한 노하우도 전할 수 있으리라는 답이었다.

베스트셀러를 잘 읽지 않는다는 그 분은 차별성이 별로 없는데 제목 때문에 또는 광고의 힘으로 많이 읽히는 책의 출간 자체를 부도덕한 일로 치부했다.
베스트셀러를 일부러 피하다시피 하는 나에게 그 분의 베스트셀러관은 흥미로울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이 의존하는 책은 베스트셀러이다. 이는 지금껏 줄곧 그래온 현상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시간이 없거나 옥석을 가릴 안목이 없거나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진득하게 시간을 들여 책을 읽고 안목을 키우면 좋은 책들을 고르는 유연한 시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자신의 문제의식을 발견해낼 수 있으리라.

그 과정에서 베스트셀러가 도움이 된다면 읽을 수 있다. 꺼릴 이유는 없다. 그러나 베스트셀러는 오래 함께 할 인연이 아니다.

전국의 도서관을 두루 찾아다니며 무료로 저자 특강을 해주겠다는 제의를 하는 등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 백만 부 이상의 대박을 기록한 이 **라는 작가가 있다.

적극적인 노력이 빛을 발한 경우이다. 책을 쓰기만 하고 홍보나 저자 특강 등의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아이를 낳기만 하고 기르지 않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보면 바람직한 사례로 꼽힐 만하다.
그러나 이 경우는 내용이 참 좋은데 여러 이유로 선택되지 않는 아까운 책들을 생각나게 한다. 물론 말하자면 책임은 적극적이지 않은 저자들에 있다. 책임 소재라는 말을 논해야 할지 모르지만 그렇다 해도 책임을 논하기 전에 아쉬운 마음이 먼저 드는 것이 사실이다.

유명 출판사 편집장들이 꽤 정성을 기울여 만들었지만 선택되지 않은 자신의 자식(책)을 하나씩 소개한 신문의 시리즈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난다.

유명 출판사들의 책들도 그러니 그렇지 않은 출판사의 책들은 그러한 정도가 더 하리라 생각된다.

그래도 살아남는 책들을 보면 어떻든 내실과 내공을 담보하는 것이 관건이라 생각한다. 이것이 어제 내가 출판 과정 강의를 들으며 한 생각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아이디는 벤투의 스케치북이다. 이는 존 버거의 동명의 책 제목에서 따온 것으로 벤투는 ‘축복받은‘을 의미하는 베네딕트의 줄임 말이다.

스피노자(1632 - 1677)는 유대교에서 파문당한 뒤 유대 이름인 바루흐를 라틴 이름인 베네딕트로 바꾸었다.(바루흐도 ‘축복받은‘을 의미.)

한편 ‘고통스러운 곳으로부터‘를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에스피뇨자(espinhosa)에서 온 스피노자는 그의 성이다.

‘축복받은‘과 ‘고통스러운 곳으로부터‘의 기이한 결합이라 해야 하는가?

홍대선의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에 스피노자의 삶과 사상이 소개되어 있다.(데카르트,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등과 함께 소개)

서양 철학자들 중 내가 생몰 연대를 외우는 유일한 인물인 스피노자는 신 즉 자연 사상으로 유대교에서 파문당한 뒤 마지막 순간까지 철학 연구를 하며 유리(렌즈) 세공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스피노자에게서 무엇보다 대단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가 자급자족의 삶을 살았다는 데 있다.

물론 스피노자에게 렌즈는 수입원이었던 한편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스피노자는 천문학의 거시현상 관찰과 그런 발견을 가능하게 해주는 광학의 수학적 원리들에 매료되었다.(스티븐 내들러 지음 ‘에티카를 읽는다‘ 40, 41 페이지)

스피노자에게 렌즈와 기구들이 생계의 수단이기도 했고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 것은 인상적이다.

자신을 쟁취하지 못하는 인생은 실패라고 생각한 스피노자는 실제로 유대 공동체에서 파문당한 뒤 ˝이젠 자유˝라 외쳤다. 개인의 성취가 아닐 수 없다.

스피노자는 신체와 정신은 동등하며 평행하다는 주장(신체 - 정신 평행론)을 했다.(손기태 지음 ‘고요한 폭풍, 스피노자‘ 105 페이지)

사상과 삶의 일치, 생계수단이 된 렌즈가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 특수한 사례, 그리고 신체와 정신의 평행론은 수미상관의 질서를 느끼게 한다.

이는 스피노자를 특별하게 인식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철학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몇 년 전부터 일 년에 한 번씩 위빠사나 명상센터에 들어가 열흘 내내 묵언수행을 한다는 최옥정 작가의 ‘2라운드 인생을 위한 글쓰기 수업‘을 읽으며 나도 짧게라도 묵언수행 센터에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창의적인 일을 하는 사람일수록 멍때리는 시간이 절실하다고 말하는 작가가 위빠사나 명상센터 경험을 이야기하는 끝에 멍때리기에 대해 말하는 것은 멍때리기가 묵언수행의 방편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말 또는 묵언수행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아쉬운대로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주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언제 날을 잡을까? 하루 종일 두뇌와 눈을 혹사시키며 사는 입장으로 그런 묵언의 시간을 갖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창의와 충전을 위한 놀이라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한 건축가가 이런 말을 했다. ˝한옥은 묵직한 겉보기와 달리 언제라도 끊임없이 변할 준비가 되어 있고 실제로 항상 변한다.

한옥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하루를 온전히 머물며 한옥이 만들어내는 수많은 풍경거리를 감상할 줄 알아야 한다.˝(임석재 지음 ‘나는 한옥에서 풍경놀이를 즐긴다‘ 25 페이지)

역시 관건은 시간을 내는 것이다. ˝하루를 온전히 머물며˝란 말을 보라. 오늘 전형필 가옥을 둘러보았고 2주 후 한무숙 문학관을 둘러보게 된 나로서는 짧게일망정 한옥을 보며 해설하는 시간 자체가 소중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럼에도 한옥에서 하루를 온전히 머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 헤아리게 된다. 아, 한옥에서 하는 묵언수행 프로그램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북촌의 춘곡(春谷) 고희동(高羲東) 가옥을 찾은 것은 지난 6월 15일. 당시 나는 춘곡의 주선으로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

춘곡에게 전형필은 제자였는데 내가 간송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고 하지 않고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고 말한 것은 그때까지 전형필 선생에게 옥정연재(玉井硏齋)라는 재호(齋號: 당호堂號의 다른 말)는 있었지만 아호(雅號)는 없었기에 그렇다.(옥정연재는 우물에서 퍼올린 구슬 같은 맑은 물로 먹을 갈아서 글씨를 쓰는 집이라는 의미.)

추사의 제자이자 역관(譯官: 역관은 통역관을 말하는데 나는 왜 자꾸 역관易官을 떠올리는지...)이었던 오경석의 아들인 오세창 선생은 두루마기를 입은 젊은 전형필을 보고 깊은 산 속에서 흐르는 물<간(澗)>과 같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부친 오경석의 스승인 추사가 그의 다른 제자인 역관 이상적(李尙迪)에게 세한도(歲寒圖)를 주며 인용한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는 뜻의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라는 문구에 나오는 송(松)을 넣어 간송이라는 아호를 전형필 선생에게 지어 주었다.

선불교에서 법통을 계승하는 것을 연상하게 하는 아름다운 장면이다.

당시 오세창 선생이 전형필 선생에게 아호를 지어준 것은 선생이 전형필 선생으로부터 부친인 오경석의 탁본을 선물받았기 때문이다.(오경석이 인장을 해 중국 금석학자들에게 보낸 탁본을 전형필 선생이 입수해 선물한 것.)

내일 전형필 가옥을 간다. 단아하고 소박한 집을 보며 간송 선생의 인품과 헌신적 노력을 되새길 것이다.(폭염이 누그러져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