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읽는 옛집’(함성호 시인/ 건축가), ‘풍경의 감각’(티에리 베제쿠르, 이나라 공저), ‘미술관에 간 붓다’(명법 스님), ‘뮤지엄 스토리’(송한나), ‘미술관의 입구’(신승수, 신은기, 최태산).. 흔히 말하듯 영감도 주고 열등감도 자극하는 책들을 읽는다.
이 책들을 통해 일본의 수학자 오카 기요시의 지론을 생각한다. 기요시는 수학 문제는 머릿속에서 충분히 정리한 후 답을 한 번에 써내려가는 것이 좋다고, 일단 연필을 들면 주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수학자의 공부’ 77 페이지)
머릿속으로 문제를 충분히 생각해 대략의 과정을 헤아려 답을 파악한 뒤 연필을 들어야 하고 든 뒤에는 답을 한 번에 써내려가야 한다는 의미이다. 기요시의 지론은 글쓰기보다 책쓰기에 더 적용된다. 큰 틀에서 아이디어가 충분히 정리되어야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까지 잘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요즘 내 관심은 주로 글쓰기와 책쓰기의 차이에 가 닿아 있다. 그러나 지금 현안(懸案)은 도서관 관련 글 작성이다. 희귀본 연구자이자 출판 역사가인 스튜어트 켈스의 ‘더 라이브러리’(2017년 원서 출간, 2018년 8월 30일 번역 출간)에서 내가 읽은 내용이 있다.
바티칸 도서관의 장서 목록이 최근에야 완성되어 학자와 사서는 이곳에서 언제나 무언가를 발견한다는 글이다.(173 페이지) 바티칸 시티의 문서 수장고에서 교황 요한 22세가 고려왕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1,333년)를 발견한다는 우리 영화 ‘직지코드’의 설정도 이런 배경 하에 나왔으리라.
의지가 있다면 어디에서나 발견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수학적 발견은 어떤가? 앞서 말한 오카 기요시는 수학적 발견의 기쁨을, 너무도 간절하게 잡고 싶어 온 들판을 헤매게 한 아름다운 나비를 포착한 것에 비유한다.
이런 수학적 발견은 아무나 쉽게 얻을 수 없으리라. 물론 그렇다면 수학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발견의 기쁨을 누리면 된다. 내게는 도서관이란 주제가 바로 그런 발견의 기쁨을 주는 매개가 되리라 기대한다. 이런 생각으로 스스로를 다독거리는 ‘폭풍 전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