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공부 가이드(모티머 J.애들러 지음)’란 책을 주문, 배송받고 포장을 뜯지도 않은 채 지내고 있는데 일본인 철학자 지바 마사야(千葉雅也: 1978 - )가 쓴 '공부의 발견'이란 책이 나왔다. '공부의 철학' 후속작이다. ‘공부의 철학’을 다소 어렵게 느꼈던 독자들과, 다 읽었지만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던 독자들에게 답이 될 책이라고 한다.
여러 목차가 의미롭게 보이지만 공부의 기술 1 : 자기 나름의 메타 게임을 만들다, 공부의 기술 2 : 어학을 공부하자, 글쓰기의 의미, 불안의 시대, 종이책의 새로운 발견, 새로운 우주를 만드는 일, 제작과 예술의 본질 등이 특별히 관심을 끈다. 전체 네 개의 장(章) 가운데 글쓰기는 한 장(章)을 차지할 뿐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글쓰기 책들과 차원이 다르다. 공부를, 그것도 철학자가 이야기하는 가운데 글쓰기를 부분으로 다룬 책이기에 귀하다. 지바 마사야가 언젠가 글쓰기 전문 책을 쓸 날이 올 수도 있으리라. 물론 그러면 당연히 망설이지 않고 살 것이다. 나도 글쓰기 책을 몇 권 읽었다. 대체로 기법이나 요령을 가르치거나 마음 가짐을 강조하는 책들이다.
아직 강원국, 유시민의 책은 읽지 않았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너무 유명해(많이 팔려)서 굳이 나까지 그들의 책을 사줄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작용했고, ‘많은 사람들이 읽은 책은 전문성이 떨어진다는’(전문성이 떨어지기에 많은 사람들이 읽는다는) 편견일지 모르는 생각도 작용했다.
다시 말하지만 공부에 대해 언급한 책에서 주제와 관련지어 글쓰기를 언급한 책만이 읽어야 할 중요 책이다. 공부에 대한 책에서 말한 것은 아니지만 최진석 교수가 요즘 하는 말에 대해서도 말하고 싶다. 이 분의 주지(主旨)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답(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물음(을 던지는 것)이라는 말이다.
일리가 있지만 이 분은 글쓰기를 염두에 두지 않은 것 같다. 하찮을망정 글을 쓰다 보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정리하려는 의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한 자기 생각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자연히 물음을 던지게 된다.
글쓰기 책을 쓴 저자들에게 들려주어야 할 것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기법이나 요령이 아니라 세상에 새로운 내용을 더하는 것이다. 물론 글쓰기 요령도 필요하다. 누구나 글을 쓰는 시대이기에 간결하고 쉽고 명쾌하지 않은 글은 선택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새롭거나 창의성 있는 생각은 그런 기본 위에 덧붙여져야 하는 것이다.
‘모두에게 수학이 필요하다는 거대한 착각’이란 부제를 가진 ‘수학의 배신’(앤드류 해커 지음)이 눈길을 끈다. 유명한 대학 수학과에서 가르친 적도 있고, 늘 통계와 계량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학자인 저자는 수학이 일상에서 아무런 쓸모도 없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당신의 좋은 것들을 수학에 빼앗기지 말라고 조언한다. 이 말을 들으니 칸트가 라틴어 외의 외국어를 공부하느라 애썼다면 그의 철학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란 말이 생각난다. 저자는 대부분 학부 수업에서 이차방정식을 쓸 일이 없고 일하는 데 수학이 필요한 직장인은 더욱 드물다고 말한다.
그리고 수학이 천직을 선택해 자기 삶을 알차게 꾸미고 싶은 학생들에게 큰 장벽이 되고 있다고까지 말한다. 일리 있는 이야기다. 내 이야기를 해야겠다. 내 서재에는 박석재 박사의 ‘우주를 즐기는 지름길’과 이종필 박사의 ‘아주 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란 책이 있다.
두 책 모두 난해한 수식과 개념, 공식들이 가득하다.(언젠가 이 책들을 읽을 수 있기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은 두 책을 샀을 당시부터 변함 없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다.) 두 책 모두 고중숙 교수의 ‘내 머리로 이해하는 E=mc²’을 읽고 난 후 자신감에 샀지만 상당한 내공과 노력이 필요한 책들이다.
말하지 않을 수 없는 책이 있다.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에서 나온 ‘유니버설 랭귀지’이다.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박사인 박문호 교수는 암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뇌과학에 들어가는 길은 100개 정도의 용어를 염불하듯 암송하면 될 정도로 간단하다고 말하고(415 페이지) 물리학이 어렵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자연과학에는 공식이 중요한 것이 10개도 안 되기 때문에 그것만 모두 외우면 된다고 말하는 분이다.(92 페이지)
박자세 회원 한 분(인문 전공자)은 중력방정식 발표를 마치고 상대성 이론의 구체적 풀이는 익숙해지는 것이 핵심이라는 말과 함께 너무 생소해 엄두가 나지 않았던 수식도 계속 적고, 찾아보고, 풀다 보니 진도가 나갔다고 말했다.(133 페이지)
박자세의 모토는 “중요한 수식은 그대로 암기한다. 반복 학습을 통해 언잰가 이해된다.”는 것이다.(188 페이지) 뇌과학에 들어가는 100개 정도의 용어를 염불하듯 암송하면 된다는 말과 관련해 흥미롭게 보아야 할 말은 염불, 참선, 주문(呪文) 등 동일한 행위가 반복되어 자극이 동일할 때 브레인은 자극이 없다고 생각해 우리에게는 공간 좌표가 사라지고 그것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몸이 없는 것으로 느껴지게 된다는 말이다.(423 페이지)
좋은 것들을 수학에 빼앗기지 말라고 조언하는 책을 이야기하다가 너무 전문적인 수학 이야기를 늘어놓았는데 나는 바로 그 ‘수학의 배신‘이란 책의 논지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과 별개로 수식으로 이해할 것들이 여전히 많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비판적 독해 분야에서 고득점을 받은 학생이 수학 고득점자보다 다른 분야도 잘 할 확률이 높다는 말을 한다. 대수학을 잘하고 싶으면 소설과 시를 더 많이 공부해야 한다는 주장이 더 신빙성이 높다는 말이다.(내가 문과 기질의 사람이어서 인용하는 것은 아니다.)
칸트는 ’내용 없는 사상은 공허하다‘는 말을 했다. 이 말을 응용하면 아무리 수식으로 우주의 질서, 본질을 깨달아도 인문학적인 내용을 알고 감동하는 것과는 별개라는 말이 가능하다. ’내용 없는 사상은 공허하다‘는 말은 자료로 뒷받침되지 않는 생각은 공허하다는 말이다.
나는 이 말을 인문학과 함께 추구되지 않는 자연과학적 우주(가 세상이라 해도) 이해는 공허하다는 의미로 이해한다. ‘수학의 배신’의 미덕은 모든 학생이 어려운 수학을 배워야 한다는 주장을 여러 논거로 멋지게 반박했다는 데에 있다.(배워야 하리라.) 흥미로운 책이고 깨달음을 주는 책임에는 분명하다.
라틴어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지 않고 칸트 철학이나 베르그송, 스피노자, 니체의 철학이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지 않지만 공부하는 사람이 있듯 자연과학도 그렇다. 내 서재에는 ‘수학 언어로 문화재를 읽다’란 책이 있다. 경복궁 전각을 설명할 때 다양성과 새로움을 기하기 위해 산 책이다.
읽기에 무리가 있지는 않지만 어떻게 그런 자연과학적 깨달음을 인문학적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고민하느라 아직 읽지 못했다. 이 책 역시 산 지 2년이 넘었다. 지난 번 서강대에서 사이언스북스의 자연과학 강의를 듣고 받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보며 나는 자연과학에 다시 열심을 내라는 신호로 받아들였다. 다시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