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트 상대 여성으로부터 별이 참 예쁘네요.”란 말을 듣고 현재 이 지구상에서 별이 빛나는 원리를 알고 있는 사람은 나 뿐.”이라는 말을 한 사람은 핵융합 반응과 질량 결손에 따라 빛을 내는 별의 원리를 처음 밝힌 프리츠 호우테르만스다.

 

너무 드라이한 호우테르만스의 반응에 데이트 상대 여성은 어떤 기분이었을까? 1977년 한탄강변에서 후에 아내가 되는 이상미씨와 데이트 중 역사적 돌을 발견한 사람은 주한 미 공군 병사 그렉 보웬이다.

 

그가 발견한 돌은 인도 동쪽에는 없다고 알려졌던 발달한 아슐리안 계열 주먹 도끼다. 보웬이 다시 쓰게 한 구석기 역사는 할람 레오나드 모비우스(Hallam Leonard Movius; 19071987)1948년 설정한 모비우스 라인 이론이다. 인도 동쪽에는 발달한 아슐리안 계열의 주먹 도끼가 없다는 이론이다.

 

보웬의 아내는 그 돌이 주먹 도끼라는 사실이 확인된 순간 보웬이 세상에서 가장 흥분한 사람이었다는 말을 했다. 이 말을 전하는 아내와 보웬의 분위기는 프리츠 호우테르만스와 데이트 상대 여성의 분위기와는 너무 대조적이다.

 

그렉 보웬은 1998년부터 시작된 관절염과의 긴 싸움을 마치고 지난 2009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이른 죽음을, 너무 늦었지만 애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천 당포성(堂浦城)은 미산면 동이리에 소재한 고구려 시대의 성이다. 성 가장 높은 곳에 팽나무 한 그루가 있다. 팽나무는 2014년 세월호가 침몰한 진도 팽목항의 그 팽목이다. 팽나무는 약 170만년 전부터 현재까지인 지질시대 최후의 시대 즉 신생대 4기에 자란 나무다.(신생대는 3기와 4기로 나뉜다.) 이 시기에 팽나무속 외에도 버드나무속, 단풍나무속, 밤나무속, 참나무속, 자작나무속, 오리나무속, 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 물푸레나무속, 뽕나무속, 보리수나무속, 쥐똥나무속 등의 활엽수들이 자랐다.(공우석 지음 우리 나무와 숲의 이력서‘ 78 페이지)

 

우리나라에 가장 일반적인 소나무는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한 나무다. 너도밤나무속은 신생대 3기에 출현했다. 학자들은 너도밤나무숲을 초()개체로 본다. 어린나무와 늙은 나무가 뿌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서로 영양분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너도밤나무는 가족 간의 정이 끈끈한 가족 나무로, 어린나무는 어미나무의 보살핌을 받고 자라는 늦되기새 유형이다.(페터 볼레벤 지음 나무 다시 보기를 권함‘ 192 페이지) 나로서는 나무를 새에 비유하는 저자의 시각에 한 수 배웠다. 신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비우스 이론이란 인도 동쪽에는 석재의 양면을 가공한 발달한 아슐리안형 도끼는 없고 찍개만이 있을 뿐이라는 이론이다. 이 이론이 잘못되었음을 입증한 사람은 고고학을 전공한 주한 미군 그렉 보웬으로 그가 1978년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를 발견한 곳은 연천군 전곡 한탄강변이다.

 

듣기로 아슐리안 사람들이 1978년 이전 자신들이 사는 지역에서 발달한 주먹 도끼가 발견된 점에 대해 자부심을 가졌다고 한다. 그래 내가 아슐리안 지역인들과 그 주먹도끼를 사용한 사람들이 직접 관련 있냐? 우연일 뿐인데 무엇을 자랑하는가?” 라고 말하니 발굴 기술이 있다는 것을 자랑한 것이라 말하는 사람이 있다.

 

나는 평소 이 사람이 하는 말이 무엇을 알고 하는 것인지 궁금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어떻든 그러나 그 말이 맞으려면 모비우스가 인도 동쪽에는 아슐리안 주먹 도끼가 없다고 하지 않고 인도 동쪽에도 있을 수 있는데 그런 것을 발굴할 수 있는 능력 또는 기술이 없다고 했었어야 한다.

 

적절한 말인지 모르지만 이런 내용을 인용하고 싶다.

 

진화에서 우월과 이익은 절대적 가치가 아닙니다. 어쩌다가 갖게 된 특성(형질)이 우연하게 바로 그 순간의 환경에 적합하다면 그 형질은 우월하고 유리한 형질이 됩니다. 하지만 똑같은 특성이 전혀 다른 환경에 나타난다면 오히려 불리한 특성이 될 수 있습니다. 세상 어디에도 절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은 없으며 절대적으로 불리한 특성도 없습니다.”(이상희 교수 지음 인류의 기원’ 274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롭다는 것은 무엇일까? 정확하게 말하기 어렵지만 기존 것과 다른 것이라 거칠게 말할 수 있겠다. 어떤 경우 새로움을 추구하는가? 아니 어떤 사람이 새로움을 추구하는가? 나의 경우 싫증을 잘 느껴 다른 사람들도 그러리라 생각하고 새롭게 하려고 애쓴다. 내가 만일 어떤 한 곳에 속해 안정적으로 해설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새로움을 덜 추구하거나 매너리즘에 빠졌을지도 모른다.

 

지금의 불안정한 해설 여건이 발전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나는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것을 새로운 해설 내용이라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러지 않기 위해 애쓴다. 문제는 책을 잘 읽지 못한다는 점이다. 책을 많이 읽지 못하면 자신의 옛 성취를 우려먹게 된다. 이래서는 안 된다.

 

해설하는 사람들과 어울리다 보니 얕은 지식을 자랑하는 사람이 있음을 알게 된다. 아는 척 하는 것과 차원이 다른 문제인데 충분히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지식을 펴는 사람이 있다는 의미다. 질문은 안 하고 표현하기만 한다는 의미다. 지난 해 김포에서 나는 이런 말을 했다. 해설사는 일반인들과 다르지만 이론가들이나 학자들이 만든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이니 자랑할 것도 못 된다는 말이다.

 

이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나에게 먼저 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서다. 오늘 선사박물관에서 우리 연천 지질해설사 5()가 교육을 받았다. 연천에 오래 살면서도  처음 방문한 것이란 점이 미안하게도 느껴졌다. 업그레이드는 늘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행이고 감사하다. 갈 길이 먼데 벌써 지치는 느낌이 있지만 힘을 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혀 예상하지 못한 뜻을 가진 한자들이 있다. 긴장의 요인이지만 모르는 것을 알게 해준다는 점에서는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는 차례를 의미하지만 등급, 과거(科擧), 단지(但只) 외에 집이나 저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난 해 말 신영훈 목수의 운현궁’(1999년 출간)이란 책에서 운현궁을 흥선대원군의 사제(私第)로 설명한 글을 읽었다. 사제(私第)는 사저(私邸)의 의미다. 신병주, 박례경, 송지원, 이은주 등이 지은 왕실의 혼레식 풍경’(2013년 출간)에서 다시 한번 운현궁을 사제로 설명한 내용을 접했다.

 

운현궁이 거론된 것은 별궁을 설명하기 위한 결과다. 왕실의 친영(親迎: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이함) 의식에서 별궁이 꼭 필요했다. 국왕이 왕비의 사가에 직접 가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별궁으로 쓰인 곳은 태평관, 어의궁, 운현궁 세 곳이었다.

 

어떻든 과독(寡獨)인 탓에 다른 집들을 사제로 표현한 글을 접하지는 못했다. 숭례문 안 황화방(皇華坊)에 위치하던 태평관은 중국 사신을 접대하던 모화관(慕華館), 일본 사신을 접대하던 동평관(東平館), 여진족 사신들을 접대하던 북평관(北平館) 등과 함께 외국 사신을 모시던 장소였다.

 

소현세자의 빈으로 정해진 강석기의 딸이 별궁으로 활용된 태평관에 거처하며 세자빈 수업을 받았다. 소현세자와 세자빈 강씨의 혼례식 과정을 정리한 의궤인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 말미에 친영 반차도가 8면에 걸쳐 그려져 있다.

 

반차란 지위와 임무에 따라 나눈다는 의미다. 어의궁이 별궁으로 쓰인 것은 인조가 장렬왕후를 왕비로 맞이하면서부터였다.(후에 자의대비가 되는 장렬왕후는 두 차례 예송 논쟁의 당사자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