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한 여성이 某 고속도로를 달리던 차창 밖으로 몸을 내밀어 동영상을 찍다가 도로 위에 굴러 떨어졌으나 주변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가 없어서 심각한 중상조차 입지 않았다.”고 말했다는 어떤 통신원의 기사를 읽었다참 어이 없다무엇조차 하지 않았다는 말은 그렇게 했어야 한다는 말이다가령 기본권조차 부여받지 못했다는 말은 기본권은 당연히 누려야 한다는 전제 하에 쓰는 말이다이런 논리대로라면 그녀는 중상을 입었어야 한다는 말이 된다물론 기사 작성자는 중상을 입었어야 한다는 의미로 저런 말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중요한 사실은 경찰이 저런 이상한 말을 했다면 그것을 전하는 통신원으로서는 순화하고 다듬어 전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저작권이 걸린 문제도 아니고 의도를 곡해할 우려가 있는 것도 아닌선하고 바른 의도의 정정이 아닌지저 기사를 보고 우리나라의 기레기들을 생각하는 것은 이상한 일은 아닐 것이다어쩌다 실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아니면 말고 식으로 불순하고 사악한 의도로 사태를 왜곡하고 조작하는 기자들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山節藻梲, 산절조절이라 읽는다. ()은 마디 절로 많이 쓰이지만 이 성어(成語)에서는 지붕 받침대인 두공(枓栱)을 의미한다. ()이 두공을 뜻하는 것은 사전을 통해서는 알기 어렵다. ()은 동자기둥을 뜻한다. 공자(孔子)는 신분을 뛰어넘는 규모의 일무(佾舞)를 추었다는 이유로 계손(季孫)씨를 질타했듯 신분에 맞지 않는 장식을 했다는 이유로 노나라 대부 장문중(臧文仲)도 질타했다. 산절조절했다는 것은 두공에 산을 조각하고 동자기둥에 수초 무늬를 그려넣었다는 뜻이다.

 

한 학인은 늘 쓰던 말의 의미와 그 말에 담긴 이치를 새로이 공부할 때 느끼는 기쁨이 주역을 공부할 때 얻는 빼놓을 수 없는 재미라고 말했다.(‘내 인생의 주역‘ 397, 398 페이지)나도 강하게 동의하는 바이다. 주역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상기한 재미는 한자를 공부할 때 전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재미다. 흥미로운 점은 오타로 인해 가장 많이 힘이 드는 경우가 주역을 공부할 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가령 간유배(艮有背)를 간기배로 잘못 기록한 한 책을 보고 아, 주역에서는 유()라는 글자가 기라는 음으로도 읽히는가보다란 생각을 했다. 문제는 그럴 경우 그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이다. 이는 우리가 순서의 의미로 많이 아는 차()가 주역에서는 거처나 장소 등을 의미하고, 왼쪽을 뜻하는 좌()가 내치다는 의미로 쓰이고 고()의 경우 알린다는 의미가 아닌 뵙고 청하는 것을 의미할 경우에는 곡으로 읽히는 것 등을 감안하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라는 말이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지을 ; 자를 앞에 두고 차를 다음에 두면 조차; 造次라는 말이 된다. 조차는 조차간; 造次間의 줄임말로 아주 짧은 시간, 아주 급한 때를 의미한다. ’조차; 造次가 아주 급한 때를 의미한다면 전패; 顚沛는 정신이 없어 엎어지고 자빠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 는 물이 쏟아지는 것, 넘어지는 것 등을 의미한다.

 

잘 알려졌듯 ; 는 제왕의 고향을 의미하는 풍패; 豐沛라는 말에서 만날 수 있는 말이다. 풍패는 한고조 유방이 태어난 곳이자 처음으로 군사를 일으킨 곳이다. 풍패가 제왕의 고향을 의미하는 것은 이런 연유들로 인해서다. 이성계의 연고지 전주에 있는 객사에 풍패지관; 豊沛之館이라는 현판이 있다. 1606년 명나라 황손의 탄생을 반포; 頒布; 널리 펴서 알게 함.. ; 나눌 반)’하러 온 사신 주지번; 朱之蕃이 썼다는 글씨다. 전주를 유방; 劉邦의 고향에 비유한 이름이다.)

 

곁가지가 길었는데...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 문제는 주역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면 간기배란 간유배의 오타라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고 그러면 이리 저리 헤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물론 그 헤아림 때문에 공부가 되었다. 배망면낙(背邙面洛)이란 말이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의미라는 점도 흥미롭다. 낙양(洛陽)은 망산(邙山) 즉 북망산(北邙山)을 뒤로 하고 낙수(洛水)를 앞에 두고 있다는 의미다.

 

황하의 지류인 낙수는 산시성과 허난성을 흐르는 강이다. 낙양이 배산임수를 하고 있으니 망산 남쪽에 낙양, 거기에서 더 남쪽에 낙수가 흐른다는 말이다. 이를 산남수북(山南水北)이라 한다. 산의 남쪽, 물의 북쪽이 양()이라는 의미다. 한양(漢陽)은 낙양이라는 말을 따라 지은 이름이다.

 

중국의 경우 서고동저(西高東低) 지형으로 인해 강이 대부분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그리고 물이 넘치면 대개 남쪽으로 흐른다. 물이 넘치는 남쪽은 습해서 음()이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북쪽은 양()이 된다. 풍패지관이란 말도 배산임수란 말도 한양이란 지명도 모두 중국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반영한다. 최근 겸재 정선의 그림을 소중화(小中華) 사상의 구현으로 정의한 미술책을 읽었는데 함께 알아볼 만한 이슈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60번째 괘인 수택절(水澤節)괘까지 읽었다. 물이 위에 있고 연못이 아래에 있는 괘 또는 연못에 물이 가득한 형국이다. 이 괘를 보며 박상륭 작가의 '죽음의 한 연구'에 나오는 마른 늪을 떠올렸다. 마른 늪보다 절제하는 연못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60번째 괘라니 잘 건너온 듯 하다. 이제 풍택중부, 뇌산소과, 수화기제, 화수미제가 남았다. 수화기제와 그 뒤에 나오는 화수미제가 말해주듯 하나의 책을 읽고(건너고) 나면 새롭게 건너야(읽어야) 할 책이 나타나게 된다.

 

이미 건넜음을 뜻하는 기제(旣濟) 다음에 아직 건너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미제(未濟)가 오는 것은 태평[] 다음에 막힘[]이 오는 것, 기다림[] 다음에 송사[]가 오는 것과 패턴이 같다. 어떻든 책 선택은 내가 하지만 때[]와 자리[]가 나로 하여금 그렇게 하게 한다고 보는 것이 옳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을 다 읽고 어떤 책을 읽을지 아직 떠오르는 바가 없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은 주역에 개안(開眼)하게 했다고는 말할 수는 없고 주역도 충분히 독공(獨工)이 가능함을 알게 해준 책이다.

 

수택절은 가장 쉬운 효사들로 구성된 괘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절제에 대해 말하는 '수택절'의 택은 한 없이 받아들이는 연못이 아니라 수용 가능한 만큼만 받아들이고 나머지는 아낌 없이 흘려보내는 연못이다. 이 괘의 주지(主旨)와 다르게 나는 수택을 수택(手澤) '손의 자취' 또는 '손때'라 읽는다.(은 연못이기도 하고 자취이기도 하다.) 중천건에서 수택절까지 왔으니 물때가 끼듯 책에, 그리고 시간에 자취, 흔적, 고투 등이 그려졌음이 분명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흐 칸타타 12'눈물 흘리며Weinen, 탄식하며klagen, 근심하며sorgen, 두려워하다zagen'가 생각하게 하는 것이 있다. 주역 45번째 괘인 택지췌(澤地萃)괘의 자자체이(齎咨涕洟)란 구절이다. 탄식하고 탄식하고 눈물 흘리고 콧물 흘린다는 뜻이다.

 

()는 모임을 의미하는 말이다. 자자재이는 사람이 모이는 곳에 있기 마련인 갈등으로 인한 탄식과 눈물을 표현하는 말이다. 물론 탄식과 눈물만이 있는 모임은 없다. 리더가 덕을 지속적으로 지켜나가면 후회거리가 없어진다는, 같은 괘의 다른 구절을 통해 우리는 어렵지만 아름다운 만남을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빽빽한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지 않는 상황을 밀운불우(密雲不雨)한 상황이라 말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기다림이다. 구름을 모으는 것이 내 일이라면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구름을 모으는 일이란 말은 메타포다. 물론 굳이 이런 말을 안 해도 된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이 정녕 의도하는 것이 자연 현상인 비가 내리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 아님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다. 자연현상인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은 구름 이야기를 하지 않고 그냥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말할 뿐이다.)

 

새로울 것 없는 말이지만 할 일을 다하고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는 진인사 대천명(盡人事 待天命)의 자세가 필요하다. 식물학자 안드레아스 바를라게는 땅 위에 계속 물웅덩이가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란 글에서 거의 매년 봄마다 정원 일을 시작해도 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3월 초에 햇살 드는 날들을 고대하는 한결 같은 자신의 습성에 대해 말한 바 있다. 바를라게는 토양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토양의 점성이 크다면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게 좋다고 말한다.

 

주역(周易)의 다섯 번째 괘인 수천수(水天需)괘는 기다림에 대한 괘다. 기다림<; >이란 유부(有孚)해야 즉 믿음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유부옹약(有孚顒若)을 줄여서 부옹(孚顒)이라 한다. 믿음이 있으면 우러름이 있다는 말이다.

 

참고로 물을 의미하는 감()괘를 구름을 상징하는 괘로 풀이한 주역 책들이 있음을 말하고 싶다. "구름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게르하르트 슈타군 지음 날씨과학’ 163 페이지)기 때문이리라.(구름이, 너무 많이 가진 수분의 일부를 내려놓는 것이 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