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에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 - 1953) 선생의 글씨가 있다. 해주 오씨 한양 종중 세장지(世葬之地; 대대로 묘를 쓰는 땅) 표석비(연천군 향토 문화재 27호)다.(왕징면 북삼리 소재)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분이었던 선생은 전형필(全鎣弼) 선생에게 문화재에 대해 눈뜨게 한 분이고 간송(澗松)이란 호를 내려준 분이다.

 

위창 선생이 전형필 선생에게 간송이란 호를 지어준 데에 작용한 구절은 논어 자한(子罕) 편의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란 구절이다.(간송에게 영향을 미친 분들은 위창 선생 말고도 간송의 외종 형 월탄 박종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라 불리는, 간송의 휘문고보 시절 스승인 ’춘곡 고희동‘ 등이 있다.)

 

여담이지만 위창 선생은 심우장과도 인연이 있다. 만해 스님의 제자 김관호가 쓴 ’심우장 견문기‘에 따르면 원래 심우장에는 위창 선생이 쓴 심우장 편액이 있었는데 언젠가 없어졌고 그 후 일창(一滄) 유치웅(兪致雄) 선생이 글씨를 써 편액으로 걸게 되었다. 일부 책에 심우장 편액 글씨가 위창 선생이 쓴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심우장 글씨 왼쪽 위에 일창(一滄)이란 호가 있다. 문제는 위창의 창과 일창의 창이 같은 글자(큰 바다 창, 차가울 창; 滄)여서 그런지 창이란 글자만 보고 위창의 작품으로 소개한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총(聰)은 시비(是非)를 가리는 것이고, 명(明)은 사정(邪正)을 살피는 것이고, 강(剛)은 미혹(迷惑)되지 않는 것이고, 단(斷)은 확실(確實)해서 거침 없는 것이라는 말은 조광조가 소격서 혁파를 건의하며 중종에게 한 말이다. 무엇보다 조광조의 성격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총명강단(聰明剛斷)이란 말이다. 옳은 것을 추구해 삿된 것을 미워했으며 강직했고 결단력 있었다는 뜻이다.

 

조광조의 개혁과 정도전의 개혁에 공명하는 부분이 많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옳은 이야기다. 정도전의 성격 역시 총명강단했다. 필요한 것은 총명함을 지향해 강직하고 결단력 있게 나아가는 것이리라. 죽임 당했지만 큰 울림을 주는 두 사람을 보며 하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언제 시인이 된 거지? 구글링을 하다가 내가 시인으로 소개된 블로그를 보았다. 정확하게는 박태웅 시인으로 소개된 것이다. 박태웅이라고 하지만 나 말고 다른 사람이 있을 수도 있어 더 찾아보았다. "내가 사는 연천군의..”라는 글이 보이고 2007년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에서 일한 사실, 스위스의 포겔 박사에게 부탁해 자연 약재를 구입한 사실, 개포동의 이필영 박사를 찾아간 사실, 위장 때문에 쑥뜸을 떴다는 사실 등 내 이야기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어떻든 ‘초대 시인’이라는 카테고리에 내 블로그 글을 스크랩해 놓은 블로거는 내 글만 보고 나를 시인이라고 생각한 것일까? 형식으로 보아 수필이 분명한데 어찌 시인의 글이라 생각한 것일까?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담(花潭)이기도 하고 복재(復齋)이기도 했던 서경덕(徐敬德; 1489-1546), 그의 제자 토정(土亭) 이지함(李之函; 1517-1578), 그의 제자 중봉(重峯) 조헌(趙憲; 1544-1592), 이 세 사람을 만날 수 있는 책이 최시한, 강미 공저의 ‘조강의 노래’다.

 

"16세기 후반 조선 선조 때였다.“ 한양 삼개(마포나루)에서 배를 타고 통진 현감으로 있는 조헌(趙憲; 임진전쟁의 의병장)을 보러 가는 길에 <조강에서 폭풍을 만나 겪은 일을 쓴 이규보의 ‘조강부(祖江賦)’>를 떠올리는가 하면 스승 서경덕을 뵙고 오던 때를 회상하기도 한 토정은 물의 흐름과 달의 위치를 보아 바닷물이 밀려오고 나가는 시간을 대강 짐작하면서 임진강 쪽 물살이 내리쏟는 힘을 이용하여 포구가 많은 남쪽으로 배를 몰도록 도와 사람들을 풍랑에서 구한다.(서경덕은 인종 재위시 죽었으니 이지함이 스승을 만나고 온 것을 회상한 때에 서경덕은 이미 고인이 되었다.)

 

조헌은 스승 이지함이 이규보가 썼다는 물때를 일러주는 시를 백성들에게 자세히 설명하자 스승이 천문(天文)을 읽으며 지리(地理)를 궁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지함이 삼개에서 스승을 기억하던 때 스승은 이미 고인이 되었듯 조헌이 의병장으로 참전해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사망한 임진전쟁 당시 스승 이지함 역시 고인이 된 상태였다.) 지난 해 통일인문학 시간에 인상적으로 접한 조강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조강의 노래’에서 재미 있게 읽었다.

 

”서울 서쪽에 북한 지역을 전망하는 곳이 세 군데 있다. 김포시 하성면 조강리와 가금리 경계의 애기봉 전망대, 파주시의 오두산 통일전망대, 인천시 강화군 양사면의 평화전망대가 그들인데 모두 조강 연안에 있다.“

 

지난 해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전망은 참 인상적이었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장면은 연천 호로고루에서 바라보는 얕은 임진강의 풍경 이상으로 매력적이고 가슴 뭉클하게 하는 면이 있었다. 단지 강의 깊이가 더 깊어서만은 아니다. 사람이 만나고 물자가 만나고 이야기가 만난다는 상징성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강의 노래 - 한강하구의 역사문화 이야기
최시한.강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강(祖江)이란 말을 들은 지 1년이 지나지 않았다. 조강은 한강의 끝줄기, 김포를 감싸고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일정 구간의 강을 의미한다.(김포 신문 참고) 저자들은 조강은 한강 하구의 다른 이름이라 말한다. 조강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역사와 지리 공부를 하다가 강(江) 공부를 자세히 해야 하겠다는 다짐을 실천하는 차원이다.

 

‘한강 하구의 역사문화 이야기’란 부제를 가진 ‘조강의 노래’가 첫 교재가 되었다. 이야기라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이 책은 스토리텔링 책이다. 공저자인 최시한 선생은 소설가이자 대학 교수고 강미 선생은 소설가이자 국어 교사다.

 

머리말을 통해 우리는 이런 글을 접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창작이라고 하면 문예 창작을 먼저 떠올리고. 이야기라고 하면 허구성이 강한 소설이나 설화 위주로 생각하는 관습이 있다.” 두 저자는 이 책은 창작, 허구 등과 관련이 없으나 그렇다고 책에 담긴 내용이 얼마나 사실적인가, 하는 점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말을 한다.

 

본문에 의하면 조강은 어른 강, 여러 강이 모여 이룩한 큰 강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15 페이지) 여기서 나만의 생각일 수도 있는 이야기를 해야겠다. 우리는 강의 시작점을 발원지라 한다, 가령 ‘한강의 발원지는 태백 검룡소고 한탄강의 발원지는 북한 강원도 평강군 장암산이다.’란 식으로.

 

여기서 말하는 원은 당연히 언덕 원, 근원 원(原)이다. 이 단어는 조(祖)라는 단어와 상응한다. 인터넷에서 무작위로 검색해본 바를 소개한다. “오늘날의 나와 내 가족이 있고 자손으로 계속 이어지게 되는 것도 모두 ‘조상이라는 근원’이 있고 뿌리가 있었기 때문이다.”(경북 매일 수록 시조시인/ 서예가 강성태 글 ‘풀을 내리며’ 중에서)

 

원(原)과 조(祖)가 상응한다고 했거니와 원이든 조든 시간적으로 앞서 있어야 마땅한데 조상 강이라는 조강의 경우 발원지보다 시간적으로 나중에 이루어진 것이니 이상하다.

 

각설(却說)하고 오늘날 조강은 잊힌 강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수운(水運)이 쇠퇴한 탓도 있지만 지도에 엄연히 존재하는 이 강과 연안의 삶을 한국인의 기억에서 지운 것은 한국전쟁이다. 1953년 7월 체결된 정전협정에 따르면 대부분 조강 유역에 해당되는 한강하구의 약 70킬로미터는 휴전선(군사분계선)이 없는 중립 수역으로 쌍방의 민간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하면서 자기 측 지역에 정박할 수 있는 민간 선박 공동이용 수역이다.

 

그런 휴전선 양쪽 2킬로미터의 비무장지대(DMZ)가 오히려 중무장지대가 되었듯이 조강 연안은 출입 통제구역이 되었다. 조강은 철책에 갇혀 그 자체가 휴전선이나 비무장지대와 다름없게 되어 민물과 갯물이 뒤섞인 곳에 사는 다양하고 희귀한 어족들과 재두루미, 개리, 저어새 같은 대륙의 하늘을 오가는 철새들만의 터전이 되고 만 것이다.(17 페이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조강 권역은 외세 침략의 현장이자 그에 맞서 흘린 피와 눈물로 더께가 앉은 곳이기도 하다. 조강은 애초부터 공동이용 수역이므로 남북이 양해만 하면 언제든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다.(17 페이지) 책에는 포천 현감직을 사임한 토정 이지함과 그의 제자인 통진 현감 중봉(重峯) 趙憲)이 나온다.(통진 출생의 조헌은 왜란을 예측하고 대비책을 건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싸우다가 700명의 의사와 함께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하였다.)

 

한양 삼개(마포나루)에서 배를 타고 통진 현감으로 있는 제자 조헌(趙憲)을 보러 가는 길에 <조강에서 폭풍을 만나 겪은 일을 쓴 이규보의 ‘조강부(祖江賦)’>를 떠올리는가 하면 스승 서경덕을 뵙고 오던 때를 회상하기도 한 토정은 물의 흐름과 달의 위치를 보아 바닷물이 밀려오고 나가는 시간을 대강 짐작하면서 임진강 쪽 물살이 내리쏟는 힘을 이용하여 포구가 많은 남쪽으로 배를 몰도록 도와 사람들을 풍랑에서 구한다. 이지함은 이규보 선생이 지었다는 물참(밀물 때)에 관한 시를 통진 백성들에게 자세히 가르쳤다.

 

이양선(異樣船)들은 한양에서 가장 가까운 조강(조수 간만의 차가 커 접근이 쉽지 않았고 갯벌이나 모래가 많아 좌초하기 쉬웠던) 대신 대신 염하(강화해협)를 이용하다가 조강 수로를 막아 조선 조정을 압박하는 방법을 택했다. 흔히 병인박해(1866년)를 병인양요(1866년)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하지만 프랑스가 조선을 택한 것은 러시아와 영국을 모두 견제할 수 있는 곳이 조선이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의 어두운 그림자는 조강 연안의 여러 포구들(조강포, 마근포, 강령포 등)에 유독 짙게 드리웠다. 1899년 초가을 인천과 노량진 사이에 경인 철도가 개봉되니 그 철마를 구경하러 가자는 말이 전국에 돌던 때였다.(123 페이지) 밀물 때 한번에 수백 척이 부산하게 출항을 준비했던 조강포의 모습은 이제 옛날 일이 되고 말았다.

 

한양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대는 시선(柴船; 조강 연안의 황해도 땅과 강화도, 통진 같은 데서 장작, 숯, 생선,젓갈 따위를 모아 싣고 한양을 오가던 배)들도 육로가 발달함에 따라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세금을 곡식으로 거두어 배로 나르던 조운제도가 점차 사라지다가 갑오개혁(1894년)을 계기로 아주 없어져버리고 화폐로 대신하게 된 것도 큰 타격이었다.(124 페이지)

 

조강은 경인선과도 관련이 있다. 경인선은 한국 최초의 철도이자 일본이 해외에 개통한 최초의 철도였다.(조선에 철도 도입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주미대리공사 이하영이었다. 물론 조선의 철도 부설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은 이 철도로 대한제국의 수도로 향하는 병력과 물자 수송의 길목을 틀어쥐게 되었다. 조강이 오랜 동안 맡았던 역할을 차지한 것이다.(140 페이지) 근대 문명의 상징인 철도는 대한제국 백성에게 고통과 굴욕을 안겨주었다. 철도 건설 부지를 헐값에 넘겨야 했고 턱없이 낮은 품삯을 받으며 노역에 동원되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한반도를 둘로 나눈 삼팔선(북위 38도선) 바로 아래에 있는 데다 서해와 인접하였기에 조강 연안의 마을들은 곧바로 전쟁터가 되었다. 전쟁 중에도 먹고는 살아야 했기에 포탄이 떨어져도 사람들은 농사를 지었다. 농사일을 하다가 대포나 총 소리가 들리면 몸을 피하고 그치면 나가서 일을 했다. 소리가 잠잠해질 때를 택하다 보니 나중에는 밤에 나가 일을 하기도 했다.

 

휴전 협정에 따르면 비무장지대가 끝나는 임진강 하구부터 강화도 말도까지로 정해진 한강하구의 수역은 중립 지역이다. 대부분 조강 지역에 해당하는 그곳은 교전 쌍방의 민간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공통이용 수역이다. 정전협정 당시부터 휴전선도 없고 DMZ도 없는 지역인 것이다. 남북이 대치하는 휴전 상황에서 조강은 그 자체가 휴전선이자 DMZ가 되고 말았다.(146 페이지)

 

조강은 남북 분단의 상처 그 자체가 되어 죽음과도 같은 정적에 빠져버렸다.(148 페이지) 강물의 휴전선, 강물의 비무장지대가 된 조강 유역을 평화지대로 만들고 공통으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없지 않았다.

 

조강이 만남의 장이자 평화의 강, 나아가 공동 번영의 강이 될 날을 모두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150 페이지) 책을 다 읽고 나니 이 책은 창작, 허구 등과 관련이 없으나 그렇다고 책에 담긴 내용이 얼마나 사실적인가, 하는 점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말이 이해되었다. 사실과 상상력의 관계에 유연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스토리 개발의 필요성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