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하고 싶으나 아직 이해하기에는 요원(遼遠)한 시로 느껴지는(물론 내게) 김수영
시인의 시에 그나마 친근해질 계기가 되는 것들은 내가 처한 상황과 공명하는 종로, 광화문, 왕궁 등의 시어가 있는 시들이다.

‘시골 선물’이란 시에서 김수영 시인은 “종로 네거리도 행길에 가까운 일부러 떠들썩한 찻집을/ 택하여 앉아있다...”는 말을 했고,

‘거대한 뿌리’란 시에서는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 나는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구문(屍口門)의 진창을 연상하고...”란 말을 한다.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란 시에서는 “왜 나는 조그만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50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란 말을 한다. 이 시어들 또는 이 시들만으로 김수영 시인이 성큼 친숙해졌다고 말한다면 오버일까?

한 후배가 내게 형하고 이야기를 하면 또는 형 이야기를 들으면 자신이 부도덕하게 느껴져 불편하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글쎄 내가 그렇게 도덕적인 사람인가?

어떻든 이는 김수영 시인에 대한 평가를 보고 생각한 일화(逸話)이다. 이은정 평론가는 “김수영의 시를 읽으면 안온했던 일상이 불편하게 느껴진다.”(‘김수영, 혹은 시적 양심‘ 4 페이지)고 말한다.

1950년 지적 취향이 통하는 김현경과 동거를 시작한 김수영 시인은 생계를 위해 양계업을 하기도 했다.

강진으로 유배되어 온 다산(茶山)이 면회온 큰 아들편에 작은 아들에게 보낸 편지 글에 닭 이야기가 있다.

“네가 양계를 한다고 들었다... 진실로 농서를 숙독해서 좋은 방법을 골라 시험해 보렴... 또 간혹 시를 지어 닭의 정경을 묘사해 보도록 하라... 만일 이익만 따지고 의리는 거둘떠보지

않는다거나, 기를 줄만 알고 운치는 몰라 부지런히 애써 이웃 채마밭의 늙은이와 더불어 밤낮 다투는 자는 바로 세 집 사는 마을의 못난 사내의 양계인 것이다. 너는 어떤 식으로 하려는지 모르겠구나.”

이 편지 글을 요약하자면 공부하고 즐기라는 말이 될 터이다. 다산 선생의 말씀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김수영 시인은 어땠을까?(양계를 어떻게 했을까?) 묻는다면 실례일까?

다산이 전한 말씀을 김수영 시인에게 한 것으로 상상하면 실례일까?

물론 그저 순수한 호기심일 뿐이니 그리 불편해 하지 마시길...즐김과 공부 또는 즐김과 일, 이는 즐김 속의 일(공부)을 말하는 것이다. 계속 내가 지향해야 할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창덕궁의 14만평(경복궁은 13만평)의 면적 가운데 후원(後苑)이 차지하는 면적은 10만평으로 비중으로는 무려 70퍼센트가 넘는다.(‘13만평 – 9만평: 69퍼센트‘를 이야기하는 논자들도 있다.)

창덕궁 후원에는 정조가 세운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奎章閣)이 있었고 동산, 연못, 정자(亭子), 연경당 등의 건물을 볼 수 있다.

창덕궁이 경복궁을 제치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이 된 것은 동아시아 궁궐 건축 및 정원 디자인의 뛰어난 원형으로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룬 형식의 탁월함을 인정(우동선, 조재모 외 지음 ‘유네스코가 보호하는 우리 문화 유산 열두 가지‘ 87 페이지)받은 결과이다.

창덕궁 후원 감상의 미덕은 아름답고 독특한 정자들을 감상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는 바 가을 단풍이 든 후원 및 정자 감상은 그 중 최고일 것이다. 정자들 가운데 유일한 기록을 지닌 것들이 몇 있다.

관람정(觀纜亭)은 한국 유일의 부채꼴 모양의 정원으로 파초를 본떠 만든 나뭇잎 모양의 편액(扁額)도 그렇다.

폄우사(砭愚榭)는 정자 사(榭)자를 쓴 유일한(?) 정원이다. 폄우란 말은 어리석은 사람에게 침을 놓는다는 의미를 가진 말이다. 왕에게 해당하는 말이었다.

이 폄우라는 말과 함께 음미할 사연이 부용정(芙蓉亭)에 있다. 두 다리가 연못에 잠겨 있어 사람이 발을 씻는 모습을 떠올리게 하지만 다른 사연이 있다.

옛 중국에 창랑(滄浪)이란 강이 있었는데 여행객들이 강물이 맑을 때는 갓끈을 닦았지만 흐릴 때는 발만 씻고 지나갔다.

공자는 이를 물이 빌미를 제공했기에 벌어지는 일로 해석했다. 모든 일은 자신이 하기에 달렸다(자취지야: 自取之也)는 의미의 말이다.(최종덕 지음 ’조선의 참 궁궐‘ 155 페이지)

이런 깊은 사연을 음미하면 자기만의 감식안으로 아름다움과 함께 의미를 반추할 수 있다. 모든 것은 자기 하기에 달렸다는 말은 여기에도 적용된다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이제 막 문화유산해설의 세계에 입문(initiation)했다. 그런 내게 어울리는 말은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은 학인(學人) 정도의 말이다. 물론 이 말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설명하는 과제가 내게 남아 있다.

지난 1월 25일 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확인한 우여곡절 끝의 합격(合格) 소식을 알린 글에 이런 댓글이 달렸다.

˝그간 형식과 내용 때문에 고심 하셨습니다. 이제 형식을 갖추셨으니 마음껏 내용을 펼치십시오.” 동기의 댓글이다.

오독(誤讀)인지 모르지만 기본 지식을 갖추었는지를 검증받는 형식을 통과했으니 이제 내 고유의 문제의식이 반영된 내용을 마음껏 전하라는 말로 읽히는 글이다.

물론 기본에 충실한 고유성(固有性)이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역사학자 한가람 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천고(遷固)라는 호를 가졌다.

이 호는 ‘사기(史記)’의 저자인 사마천의 천(遷: 옮길 천)과 ‘한서(漢書)’의 저자인 반고의 고(固: 굳을 고)를 합한 말이다.

닮으려는 두 학자로부터 천고라는 이름을 만들어낸 것은 원칙을 지키되 융통성도 발휘하라는, 또는 정체성을 지키면서

유연성도 지키라는 의미가 담긴 명명(命名)이다. 이 말이 내게 시사적임은 물론이다.

이덕일 소장에게 천고라는 호를 지어준 분은 노사(蘆沙) 기정진 선생의 학맥을 이어 한학을 하신 이준영 선생이다.(강원도민일보

2017년 1월 2일 기사 ‘“100만 촛불 민심 현대판 반정 적폐 청산 계기 삼아야“’)

일본의 대표적 다독가인 교육학자 사이토 다카시 교수에 의하면 공자는 제자들에게

명확하게 답을 주는 것은 고사하고 똑같은 질문에도 사람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른 대답을 했다.

공자는 하나의 정답이란 없으며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답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했다.(사이토 다카시 지음 ‘내가 공부하는 이유’ 134, 135 페이지)

하나의 정답이란 없다는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이렇게 들었다는 의미의 여시아문(如是我聞)이 있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의미의 여시아고(如是我考)라는 말로 나를 설명하고 싶다.

그것은 하나의 객관적 사실을 다르게 전하라는 말이 아니라 팩트에 충실하되 그것들을 잇고 꿰는(미륜: 彌綸) 방식은 새롭고도 공감할만 해야 한다는 의미라 생각한다.

누구나 시연(試演)을 통해 경험한 바이겠지만 해설사의 가장 큰 마이너스 요인은 긴장 탓에 또는 준비 부족 탓에 암기한 내용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전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생각한다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대상의 표상(表象)이 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이라 말했다.(프랑수아 다고네 외 지음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 교실’ 137 페이지) 의미심장하다.

이 책의 여러 공동 필자 가운데 한 사람인 예술가 마르잔느 사트라피는 대중으로 표상되는 평범하고 흔한 생각에 맞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예술가들조차 자신의 작품을 대중들 앞에 발표하려고 노력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서울대 스페인어문학과 김현균 교수는 ”그대들의 선배가 너무 많이 타자(他者)의 오리엔탈리즘(동양에 대한 서양의 왜곡된

인식과 태도)에 노출되었으므로 그대들은 자신의 오리엔탈리즘을 세워보거라“고 말한 고은 시인의 말을 예로 든다.

김 교수에 의하면 이는 세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갖추는 것이다.(배철현 외 지음 ‘낮은 인문학’ 203 페이지)

이는 낯설게 보기를 강조하는 김영민 교수의 지론(‘공부론’ 159 페이지)과도 통한다. 김영민 교수가 곡진하게 주문하는 것은

‘전문성 – 아마추어리즘’ 그리고 ‘조건 – 한계’ 사이의 변증법적, 생산적 긴장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는 자명하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아니 다르기에 내가 추구해야 할 것은 소용 없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소용이 된다는 장자의 말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자네의 이론은 현실적으로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하는 혜자(惠子)에게 소용이 없는 것이야말로 소용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가 서 있는 이 땅은 끝없이 넓지만 당장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발을 디딜 수 있는 넓이 뿐이라고 해서 발바닥 밑면만을 남겨두고 그 주위의

땅을 파버린다면 어떤 결과가 오겠는가, 그래도 발바닥 밑만이 소용있겠는가라는 말로 일침을 가한 장자(莊子)의 말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우리가 전하는 것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이지만 그것은 수많은 인간의 담론들을 거쳐 나온 또는 수많은 인간의 담론들에 실려

나오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문화유산과 문화유산 아닌 것들의 관계를 엄격히 구별하는 것이다.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은 학인(學人)에게 어떤 무대가 펼쳐질지 흥미롭고 또 궁금하다. 설레고 긴장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 이 시기를

돌이켜 아쉬워하지 않기 위해서는 열심을 내되 늘 새로운 눈으로 나 자신과 세상을 보아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창덕궁 후원 관람 – 반드시 해설사와 동행해야 하는 – 시간에 연경당(演慶堂) 부속 건물인 청수정사(淸水精舍)를 보았다. 창덕궁 후원이 정조와 가장 관련이 깊다고 했는데

태종은 후원에 관심을 기울일 여유가 없었고 세조는 후원 영역을 크게 넓혔고 인조는 후원에 많은 정자를 지었다.

정조는 부용지(芙蓉池) 일대를 이루어 놓았다. 순조때에는 의두합(倚斗閤)과 연경당(演慶堂)이 지어졌다. 정확히 말하자면 순조를

대신해 대리청정을 하던 효명세자가 의두합(倚斗閤)과 연경당(演慶堂)을 건립한 것이다. 연경당은 경사스러움을 행하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문제(?)는 정사란 이름이다. 연경당 자체가 의문의 건물이라 말해진다. 연경당이 의문의 건물인 것은 이 건물이 세워질 때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동궐도’의 연경당과 현재의

연경당이 위치와 모양에서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최종덕 지음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184 페이지)

정사(精舍)는 불교식 용어이다. 붓다가 가장 오래 머문 공간인 제따와나가 중국식으로는 죽림정사이다. 선원(禪院)이라 할 수 있는 곳 즉

사찰이라기보다 그에 못 미치는 소박한 선원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이 문제(?)로 인해 해설 중간의 쉬는 시간에 잠시 가벼운 설왕설래가 있었다.

내가 불교식 이름이 유교 건물 내에 있네요, 라고 말했더니 해설사와 한 어르신이 아니라고 하셨기 때문이다. 그 분들은 연경당은 별채이거나 공부를 하는 곳이니 사찰과는 의미가 다르다고 하셨다.

자료에 의하면 연경당은 궁궐 내의 집이면서도 단청을 하지 않았고 배치 형식이 사대부 집을 닮았다.(‘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185 페이지)

한 인터넷 자료는 청수정사를 학문을 강론하는 집, 정신을 수행하는 집 정도로 풀이한다. 흥미로운 것은 정사를 서원(書院)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학당으로 풀이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다. 흥미롭다고 한 것은 불교에서 정사(精舍)는 사찰(寺刹)보다 작은 곳이기 때문이다.

연경당이 영향을 받은 아니 빌린 것은 내용이 아니라 이름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내용은 다르게, 이름은 같게‘라 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논전(?)에서 나는 유교(儒敎)의 이(理)는 유교

형이상학이 불교의 공(空) - 대단히 관념적인 – 을 모방해 제시한 전략적 개념이라는 말을 전했다. 그러니 정사도 불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의미로 한 말이었다.

물론 공(空)을 보고 이(理)를 만들었다 해서 유교가 다른 부분에서 모두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자료를 보자. 김인환은 불교가 들어왔을 때 중국은 4천년의

문화적 토양 속에서 거두어놓은 비판적 시각과 창조적 능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전력을 다해 새로운 세계로 뛰어들었으나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버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저자에 의하면 “그들에게 불교는 중국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단련하는 언어의 연병장”이었다.(’상상력과 원근법‘ 188 페이지) 한 인터넷 자료는 도교와 유교가 정사(精舍)라는 개념을 마음대로 가져다 썼다고 말한다.

나는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언어의 연병장(練兵場)“이란 말 때문만은 아니다.

강릉여고와 국군간호사관학교, 성균관대를 나온 철학박사/ 여성 유학자 김용남은 ’성리학, 유불도의 만남‘에서 불교를 비판하면서 탄생한 성리학이 실상 불교 사상을 토대로 성립되었다는 주장을 한다.

배불운동의 선두에 섰던 당(唐) 말기의 이고라는 유학자의 사상이 배불성(排佛性)과 사불성(似佛性)을 함께 띠게 되었으며 성리학이 종교성을 띠게 되는 것도 불교의 영향이라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영향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이야기가 풍부해지는 것에 관심을 둔다. 청수정사(淸水精舍), 뭐하는 곳이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2016년 4월 21일부터 7월 14일까지의 기초 과정, 10월 6일부터 2017년 1월 5일까지의 심화 과정을 마치고 치른 1월 12일의 필기, 1월 19일의 시연(試演)에 무난히 대처하고 합격했습니다.

필기 시험을 망치다시피 한 뒤 시연을 치를 고궁박물관에 테마를 정하기 위해 갔으나 멘붕 상태로 한동안 앉아 있어야 했습니다.

그런 제게 정조(正租)와 관련이 깊은 동궁(東宮)과 후원(後苑) 전시물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정조가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아들 순을 세 살때 세자로 책봉하며 내린 옥인(玉印),

그 책봉 상황을 대나무 쪽에 엮어 만든 문서인 죽책(竹冊), 동궁인 중희당 터 사진, 문효세자(세 살에 세자가 되지만 다섯 살에 홍역을 앓다가 세상을 떠난 순이 사후 얻은 시호) 책봉의례도,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와 관련이 있는 책가도(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는 자신의 어좌 뒤를 책가도 병풍으로 둘러쳤지요.),

정조가 쓴 중희당 편액, 창덕궁 후원에서 정조가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며 주고 받은 시문을 모은 두루마리인 내원상화임자갱재축 등이 보였습니다.
정조 임금을 좋아하는 동기 이** 선생님 앞에서 정조 이야기로 시연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꺼이 창덕궁 동궁 및 후원과 관련된 정조를 주제로 택해 멋지게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를 망치다시피 한 제게 돌파구를 마련해준 정조 임금을 건릉(健陵)이 있는 화성까지 가서 뵙기에는 거리가 멀기에 내일 창덕궁,

그 중에서도 정조 임금과 관련이 깊은 후원(정조는 왕과 그 가족의 영역이었던 후원을 규장각 신하, 각신들에게 개방했지요.)에 가서 절을 올리고 올 생각입니다. 물론 이 이야기도 이 ** 선생님께 했습니다.

답이 정해진 문제를 외우는 것이 짜증난다고 하자 “그러면 해설사를 하면 안 되죠”라고 해 정신 차리게 해준, 정조를 좋아하는 이**

선생님께 정신 차리게 해주셨고 시연 내용을 피드백 해주셨기에 감사드린다는, 정조 임금을 좋아하시는 분 앞에서 정조를 주제로 멋진 시연 할 수 있어서 감사하고 기쁘다는 인사를 했습니다.

함께 정조를 좋아하고, 이덕일 한가람 역사 문화 연구소 소장의 관점을 수용, 지지해 함께 책을 읽는 이**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김태형 박사님의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를

읽어야겠다고 하자 그 책은 자신이 오늘 주문해 받은 책 가운데 하나라며 2월 2일 모임때 빌려줄 것이라고 하는군요...

이야기 나눌 동기가 있다는 것이 행복한 밤입니다. 이 사실이 시험 합격보다 어쩌면 더 기쁜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7-01-30 22: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사와 친하지 않은 제가 이렇게 댓글을 남기는 것이 저의 무지로 인한 실례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지만,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저에게는 초등학생 때 처음 역사를 접하고 연표를 외우는 것이 너무 싫어서 포기해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후 고등학생이 되어서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을 치룬 것을 계기로 한국사를 공부해야겠다는 다짐이 생겼는데, 적극적으로 실천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책상 앞의 한국사는 진짜 한국사인가하는 의문이 듭니다. 언젠가는 벤투의스케치북님처럼 현장에서의 한국사를 배우며 시야를 넓히게 될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 :)

벤투의스케치북 2017-01-30 2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역사는 진지하고 무겁게 배워서도 안 되고 흥미 위주로 배워서도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역사 교육은 흥미를 잃게 하기에 족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관계하는 문화해설은 역사적 사실들과 유물들을 선정한 주제에 따라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내는 것입니다 . 요즘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 인해 물의가 빚어지고 있는데요 문화유산해설은 해설사의 재량과 관심, 듣는 분들의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고 다채롭게 펼쳐지지요. 따라서 연도를 이야기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례가 아닌 이상 없지요. 흥미로운 사례 가령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종묘를 자신들 일행들만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해 결국 이뤄낸 것 같은 사례 등은 흥미로운 이야기거리이지요. 감사드립니다... 역사에 꾸준히 관심 가지시면 이야기거리를 많이 얻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