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제 막 문화유산해설의 세계에 입문(initiation)했다. 그런 내게 어울리는 말은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은 학인(學人) 정도의 말이다. 물론 이 말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설명하는 과제가 내게 남아 있다.

지난 1월 25일 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확인한 우여곡절 끝의 합격(合格) 소식을 알린 글에 이런 댓글이 달렸다.

˝그간 형식과 내용 때문에 고심 하셨습니다. 이제 형식을 갖추셨으니 마음껏 내용을 펼치십시오.” 동기의 댓글이다.

오독(誤讀)인지 모르지만 기본 지식을 갖추었는지를 검증받는 형식을 통과했으니 이제 내 고유의 문제의식이 반영된 내용을 마음껏 전하라는 말로 읽히는 글이다.

물론 기본에 충실한 고유성(固有性)이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역사학자 한가람 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천고(遷固)라는 호를 가졌다.

이 호는 ‘사기(史記)’의 저자인 사마천의 천(遷: 옮길 천)과 ‘한서(漢書)’의 저자인 반고의 고(固: 굳을 고)를 합한 말이다.

닮으려는 두 학자로부터 천고라는 이름을 만들어낸 것은 원칙을 지키되 융통성도 발휘하라는, 또는 정체성을 지키면서

유연성도 지키라는 의미가 담긴 명명(命名)이다. 이 말이 내게 시사적임은 물론이다.

이덕일 소장에게 천고라는 호를 지어준 분은 노사(蘆沙) 기정진 선생의 학맥을 이어 한학을 하신 이준영 선생이다.(강원도민일보

2017년 1월 2일 기사 ‘“100만 촛불 민심 현대판 반정 적폐 청산 계기 삼아야“’)

일본의 대표적 다독가인 교육학자 사이토 다카시 교수에 의하면 공자는 제자들에게

명확하게 답을 주는 것은 고사하고 똑같은 질문에도 사람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른 대답을 했다.

공자는 하나의 정답이란 없으며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답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했다.(사이토 다카시 지음 ‘내가 공부하는 이유’ 134, 135 페이지)

하나의 정답이란 없다는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이렇게 들었다는 의미의 여시아문(如是我聞)이 있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의미의 여시아고(如是我考)라는 말로 나를 설명하고 싶다.

그것은 하나의 객관적 사실을 다르게 전하라는 말이 아니라 팩트에 충실하되 그것들을 잇고 꿰는(미륜: 彌綸) 방식은 새롭고도 공감할만 해야 한다는 의미라 생각한다.

누구나 시연(試演)을 통해 경험한 바이겠지만 해설사의 가장 큰 마이너스 요인은 긴장 탓에 또는 준비 부족 탓에 암기한 내용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전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생각한다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대상의 표상(表象)이 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이라 말했다.(프랑수아 다고네 외 지음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 교실’ 137 페이지) 의미심장하다.

이 책의 여러 공동 필자 가운데 한 사람인 예술가 마르잔느 사트라피는 대중으로 표상되는 평범하고 흔한 생각에 맞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예술가들조차 자신의 작품을 대중들 앞에 발표하려고 노력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서울대 스페인어문학과 김현균 교수는 ”그대들의 선배가 너무 많이 타자(他者)의 오리엔탈리즘(동양에 대한 서양의 왜곡된

인식과 태도)에 노출되었으므로 그대들은 자신의 오리엔탈리즘을 세워보거라“고 말한 고은 시인의 말을 예로 든다.

김 교수에 의하면 이는 세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갖추는 것이다.(배철현 외 지음 ‘낮은 인문학’ 203 페이지)

이는 낯설게 보기를 강조하는 김영민 교수의 지론(‘공부론’ 159 페이지)과도 통한다. 김영민 교수가 곡진하게 주문하는 것은

‘전문성 – 아마추어리즘’ 그리고 ‘조건 – 한계’ 사이의 변증법적, 생산적 긴장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는 자명하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아니 다르기에 내가 추구해야 할 것은 소용 없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소용이 된다는 장자의 말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자네의 이론은 현실적으로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하는 혜자(惠子)에게 소용이 없는 것이야말로 소용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가 서 있는 이 땅은 끝없이 넓지만 당장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발을 디딜 수 있는 넓이 뿐이라고 해서 발바닥 밑면만을 남겨두고 그 주위의

땅을 파버린다면 어떤 결과가 오겠는가, 그래도 발바닥 밑만이 소용있겠는가라는 말로 일침을 가한 장자(莊子)의 말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우리가 전하는 것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이지만 그것은 수많은 인간의 담론들을 거쳐 나온 또는 수많은 인간의 담론들에 실려

나오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문화유산과 문화유산 아닌 것들의 관계를 엄격히 구별하는 것이다.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은 학인(學人)에게 어떤 무대가 펼쳐질지 흥미롭고 또 궁금하다. 설레고 긴장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 이 시기를

돌이켜 아쉬워하지 않기 위해서는 열심을 내되 늘 새로운 눈으로 나 자신과 세상을 보아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창덕궁 후원 관람 – 반드시 해설사와 동행해야 하는 – 시간에 연경당(演慶堂) 부속 건물인 청수정사(淸水精舍)를 보았다. 창덕궁 후원이 정조와 가장 관련이 깊다고 했는데

태종은 후원에 관심을 기울일 여유가 없었고 세조는 후원 영역을 크게 넓혔고 인조는 후원에 많은 정자를 지었다.

정조는 부용지(芙蓉池) 일대를 이루어 놓았다. 순조때에는 의두합(倚斗閤)과 연경당(演慶堂)이 지어졌다. 정확히 말하자면 순조를

대신해 대리청정을 하던 효명세자가 의두합(倚斗閤)과 연경당(演慶堂)을 건립한 것이다. 연경당은 경사스러움을 행하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문제(?)는 정사란 이름이다. 연경당 자체가 의문의 건물이라 말해진다. 연경당이 의문의 건물인 것은 이 건물이 세워질 때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동궐도’의 연경당과 현재의

연경당이 위치와 모양에서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최종덕 지음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184 페이지)

정사(精舍)는 불교식 용어이다. 붓다가 가장 오래 머문 공간인 제따와나가 중국식으로는 죽림정사이다. 선원(禪院)이라 할 수 있는 곳 즉

사찰이라기보다 그에 못 미치는 소박한 선원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이 문제(?)로 인해 해설 중간의 쉬는 시간에 잠시 가벼운 설왕설래가 있었다.

내가 불교식 이름이 유교 건물 내에 있네요, 라고 말했더니 해설사와 한 어르신이 아니라고 하셨기 때문이다. 그 분들은 연경당은 별채이거나 공부를 하는 곳이니 사찰과는 의미가 다르다고 하셨다.

자료에 의하면 연경당은 궁궐 내의 집이면서도 단청을 하지 않았고 배치 형식이 사대부 집을 닮았다.(‘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185 페이지)

한 인터넷 자료는 청수정사를 학문을 강론하는 집, 정신을 수행하는 집 정도로 풀이한다. 흥미로운 것은 정사를 서원(書院)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학당으로 풀이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다. 흥미롭다고 한 것은 불교에서 정사(精舍)는 사찰(寺刹)보다 작은 곳이기 때문이다.

연경당이 영향을 받은 아니 빌린 것은 내용이 아니라 이름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내용은 다르게, 이름은 같게‘라 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논전(?)에서 나는 유교(儒敎)의 이(理)는 유교

형이상학이 불교의 공(空) - 대단히 관념적인 – 을 모방해 제시한 전략적 개념이라는 말을 전했다. 그러니 정사도 불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의미로 한 말이었다.

물론 공(空)을 보고 이(理)를 만들었다 해서 유교가 다른 부분에서 모두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자료를 보자. 김인환은 불교가 들어왔을 때 중국은 4천년의

문화적 토양 속에서 거두어놓은 비판적 시각과 창조적 능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전력을 다해 새로운 세계로 뛰어들었으나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버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저자에 의하면 “그들에게 불교는 중국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단련하는 언어의 연병장”이었다.(’상상력과 원근법‘ 188 페이지) 한 인터넷 자료는 도교와 유교가 정사(精舍)라는 개념을 마음대로 가져다 썼다고 말한다.

나는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언어의 연병장(練兵場)“이란 말 때문만은 아니다.

강릉여고와 국군간호사관학교, 성균관대를 나온 철학박사/ 여성 유학자 김용남은 ’성리학, 유불도의 만남‘에서 불교를 비판하면서 탄생한 성리학이 실상 불교 사상을 토대로 성립되었다는 주장을 한다.

배불운동의 선두에 섰던 당(唐) 말기의 이고라는 유학자의 사상이 배불성(排佛性)과 사불성(似佛性)을 함께 띠게 되었으며 성리학이 종교성을 띠게 되는 것도 불교의 영향이라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영향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이야기가 풍부해지는 것에 관심을 둔다. 청수정사(淸水精舍), 뭐하는 곳이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2016년 4월 21일부터 7월 14일까지의 기초 과정, 10월 6일부터 2017년 1월 5일까지의 심화 과정을 마치고 치른 1월 12일의 필기, 1월 19일의 시연(試演)에 무난히 대처하고 합격했습니다.

필기 시험을 망치다시피 한 뒤 시연을 치를 고궁박물관에 테마를 정하기 위해 갔으나 멘붕 상태로 한동안 앉아 있어야 했습니다.

그런 제게 정조(正租)와 관련이 깊은 동궁(東宮)과 후원(後苑) 전시물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정조가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아들 순을 세 살때 세자로 책봉하며 내린 옥인(玉印),

그 책봉 상황을 대나무 쪽에 엮어 만든 문서인 죽책(竹冊), 동궁인 중희당 터 사진, 문효세자(세 살에 세자가 되지만 다섯 살에 홍역을 앓다가 세상을 떠난 순이 사후 얻은 시호) 책봉의례도,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와 관련이 있는 책가도(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는 자신의 어좌 뒤를 책가도 병풍으로 둘러쳤지요.),

정조가 쓴 중희당 편액, 창덕궁 후원에서 정조가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며 주고 받은 시문을 모은 두루마리인 내원상화임자갱재축 등이 보였습니다.
정조 임금을 좋아하는 동기 이** 선생님 앞에서 정조 이야기로 시연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꺼이 창덕궁 동궁 및 후원과 관련된 정조를 주제로 택해 멋지게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를 망치다시피 한 제게 돌파구를 마련해준 정조 임금을 건릉(健陵)이 있는 화성까지 가서 뵙기에는 거리가 멀기에 내일 창덕궁,

그 중에서도 정조 임금과 관련이 깊은 후원(정조는 왕과 그 가족의 영역이었던 후원을 규장각 신하, 각신들에게 개방했지요.)에 가서 절을 올리고 올 생각입니다. 물론 이 이야기도 이 ** 선생님께 했습니다.

답이 정해진 문제를 외우는 것이 짜증난다고 하자 “그러면 해설사를 하면 안 되죠”라고 해 정신 차리게 해준, 정조를 좋아하는 이**

선생님께 정신 차리게 해주셨고 시연 내용을 피드백 해주셨기에 감사드린다는, 정조 임금을 좋아하시는 분 앞에서 정조를 주제로 멋진 시연 할 수 있어서 감사하고 기쁘다는 인사를 했습니다.

함께 정조를 좋아하고, 이덕일 한가람 역사 문화 연구소 소장의 관점을 수용, 지지해 함께 책을 읽는 이**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김태형 박사님의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를

읽어야겠다고 하자 그 책은 자신이 오늘 주문해 받은 책 가운데 하나라며 2월 2일 모임때 빌려줄 것이라고 하는군요...

이야기 나눌 동기가 있다는 것이 행복한 밤입니다. 이 사실이 시험 합격보다 어쩌면 더 기쁜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7-01-30 22: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사와 친하지 않은 제가 이렇게 댓글을 남기는 것이 저의 무지로 인한 실례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지만,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저에게는 초등학생 때 처음 역사를 접하고 연표를 외우는 것이 너무 싫어서 포기해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후 고등학생이 되어서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을 치룬 것을 계기로 한국사를 공부해야겠다는 다짐이 생겼는데, 적극적으로 실천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책상 앞의 한국사는 진짜 한국사인가하는 의문이 듭니다. 언젠가는 벤투의스케치북님처럼 현장에서의 한국사를 배우며 시야를 넓히게 될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 :)

벤투의스케치북 2017-01-30 2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역사는 진지하고 무겁게 배워서도 안 되고 흥미 위주로 배워서도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역사 교육은 흥미를 잃게 하기에 족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관계하는 문화해설은 역사적 사실들과 유물들을 선정한 주제에 따라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내는 것입니다 . 요즘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 인해 물의가 빚어지고 있는데요 문화유산해설은 해설사의 재량과 관심, 듣는 분들의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고 다채롭게 펼쳐지지요. 따라서 연도를 이야기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례가 아닌 이상 없지요. 흥미로운 사례 가령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종묘를 자신들 일행들만 볼 수 있게 해달라고 해 결국 이뤄낸 것 같은 사례 등은 흥미로운 이야기거리이지요. 감사드립니다... 역사에 꾸준히 관심 가지시면 이야기거리를 많이 얻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정조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묘수를 찾는 삶, 자신의 존재로 인해 할아버지 영조가 부친인 사도세자를 죽일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안 뒤 크나큰 한과 자책을 가질 수 밖에 없었던 삶을 살았다고 생각합니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신원을 위해서는 할아버지의 유훈을 어겨야 했지만 다른 죄목을 들어 사도세자 살해 가담자를 처벌한 정조의 선택은 묘수의 대표 사례일 것입니다.

영조가 열등감 때문에 국정을 완벽하게 하려는 강박적 성향을 가졌고 그로 인해 결국 아들을 죽이게 되었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충분히 그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 논의가 노론의 패악을 가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두 요소(만이 아니겠지만)의 결합이 하나의 거대한 비극을 낳았다고 생각합니다.

‘정조와 철인 정치의 시대‘ 두 권을 읽었습니다. 소설적 구성이 진실을 드러내는데 유효했다는 생각을 합니다.

정조의 석연치 않은 죽음 이후 정순왕후 김씨가 대리청정을 하게된 이래 정조대에는 없었던 민란이 끊이지 않았다는 사실에 또 한번 역사의 비극을 실감합니다.

세종에 비하면 성종, 영조, 정조 등은 에피고넨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사람(이한우 기자)도 있지만 평탄했던 시기를 복처럼 누리며 많은 업적을 쌓은 세종보다 한스럽고 위험했고 난감했던 조건을 딛고 많은 일을 한 정조가 어떤 면에서는 더 위대해 보입니다.

정순왕후가 정조의 병석에 나타남으로써 남자 신하들은 다 물러나고 정순왕후 홀로 정조의 마지막을 입회한 안타까운 사연은 이덕일 소장이 전하는 바이지요.

조선은 의사도 아닌 성리학자들이 임금의 건강을 체크한 성리학 유일사상을 고수한 이상한 나라였다고 들었습니다.

이 사실을 전한 한의사 이상일의 ‘왕의 한의학‘에 의하면 정조는 한의학의 대가였지만 인삼든 경옥고를 먹고 절명했다고 말합니다. 독살설을 인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물론 이상일 한의사도 정조가 자신의 의사와는 다르게 강제 처방된 인삼을 먹고 혼수상태에 빠진 뒤 절명했다고 말합니다.

저는 노론의 영수 심환지와 입장을 같이 하는 어의 심인의 연훈방 처방과, 정순왕후의 독대에 의한 흉계쪽에 더 높은 비중을 둡니다.

이제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사도세자의 고백‘의 개정판)를 읽기 전에 심리학자 김태형의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를 읽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한 읽기이지요...당연히 저자가 아닌 정조를 위한 것입니다. 정조가 펼친 정치로부터 어떤 교훈을 끌어낼지 모르지만 당분간 정조의 매력에 빠져보고 싶습니다.

성리학의 폐쇄성이나 독단적 면모, 오류 등을 이론적으로 규명해 노론이 끼친 폐해를 간접적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과제는 오랜 숙제입니다.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에서 정조가 성리학 일변도의 학풍을 고치려 했고 어떤 나이든 성리학자 신하들보다도 학문적으로 더 뛰어났었다는 말을 듣고 더 더욱 생각하게 된 바입니다.

두서 없는 글이 되었습니다..

설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2 - 정조 시대를 읽는 18가지 시선
이덕일 지음 / 고즈윈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조는 조선이 성리학 유일 사상 체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13 페이지) 정조는 천주교가 성행한 근본적인 이유로 문체를 들었다.(29 페이지) 정조는 자신이 없었다면 사도세자가 그렇게 비참하게 죽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에 자신의 존재 자체가 하늘에 죄를 지은 것이라 자책하며 평생을 산 인물이었다.(42 페이지) 노론은 유학의 최고 이념인 삼강오륜마저 자당(自黨)의 이익에 부합할 때만 받아들였다.(48 페이지)

정조는 사도세자 사건을 거론하는 자는 역률(逆律)로 처단할 것이라는 영조의 유훈을 받들자니 아버지의 원혼이 울고 아버지의 원수를 갚자니 할아버지의 뜻을 어기는 불효손이 되는 모순된 상황에서 해법을 찾았다.(53 페이지) 정조의 삶 자체가 그런 묘수 찾기의 삶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조가 택한 것은 사도세자를 직접 거론하지 않고 사건 당사자들을 다른 명목으로 처벌함으로써 아버지의 원수도 갚고 할아버지의 유명(遺命)도 거역하지 않은 것이었다.

정조는 피눈물이 흐르는 한(恨)을 간직한 임금이었다.(57 페이지) 구천(九泉)으로 떠나지 못하고 이승을 떠돌고 있는 아버지의 원혼을 달래는 길로 정조가 택한 것은 천장(遷葬)이었다.(70 페이지) 양주 배봉산 갑좌(甲坐) 언덕에 자리한 아버지 장현세자(사도세자)의 영우원(永祐園)을 수원 화산(花山)으로 옮긴 것이다. 정조는 이곳을 현륭원이라 이름했다.(81 페이지)

정조는 조선의 정치 질서를 근본적으로 뜯어 고치지 않으면 사도세자의 비극이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그 비극을 막으려면 수원성 즉 화성(華城)을 중심으로 새 질서를 짜야 한다고 생각했다. 정조는 용의주도했다. 무작정 왕명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정조는 10년에 걸친 천도(遷都) 계획을 염두에 두었다.

정조는 화(華)나라의 봉인(封人: 국경을 지키는 사람)이 요(堯) 임금에게 세 가지 축원을 한 것(화봉삼축)을 기억해 성의 이름을 화성(華城)이라 하며 화(花)와 화(華)는 서로 통용된다고 설명했다.(96 페이지) 정조는 백성을 부역시키지 않고도 거대한 성을 지을 수 있다는 선례를 만들고 싶었다. 정조는 축성(築城)이 소비가 아니라 생산 행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101 페이지)

정조는 화성과 그 일대를 시범지역으로 만들어 백성들이 풍족하게 살게함으로써 다른 지역들이 자발적으로 이를 본받게 하려고 했다. 모든 백성들이 굶주림 없이 풍요롭게 생활하는 조선을 만들려는 정조의 꿈이 실현될 장소는 사도세자의 도시 화성이 될 것이었다.(115 페이지) 화성은 미래 계획도시였다.(127 페이지)

정조에게 정순왕후 김씨(자신보다 일곱 살 더 많을 뿐인 법적인 할머니)는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였다. 그녀의 친정은 사도세자를 죽이는 데 직접 가담했다. 물론 정순왕후 김씨 역시 정조에게 원한을 가졌는데 그것은 정조가 오라비 김귀주를 탄핵해 유배지인 흑산도에서 죽게 했기 때문이다. 물론 정순왕후의 원한은 인과관계를 무시한 것이었다. 정조가 김귀주를 탄핵한 것은 처벌 차원의 당연한 행위였기 때문이다.(153 페이지)

그런 정순왕후를 정조는 매일 문안해야 했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 역시 정조에게는 모순적인 존재였다. 노론의 당론에 따라 사도세자 죽이기에 가담했으나 정조의 즉위에는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정조를 어떤 인물이라 불러야 할까?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할 상황을 슬기롭게 이겨낸 임금이라 하고 싶다. 정조가 처한 상황은 정신병 발병으로 이어질만한 상황이었다.

사도세자는 영조의 속마음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세손이 있었기에 자신을 죽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정조는 자신이 없었다면 할아버지가 아버지를 죽일 수 없었고 어머니도 아버지 사도세자를 버릴 수 없었을 것이라 확신했다.(159 페이지)

정조는 지금의 신하들이 사도세자 추승 사업을 하지 않는 것도 의리이고 훗날 신하들이 새 왕을 모시고 추승 사업을 하는 것도 의리라고 생각했다. 전자는 영조에 대한 의리이고 후자는 자신에 대한 의리였다.(161 페이지)

정조는 독서 군주였다. 정조는 “더위를 물리치는 데는 책을 읽는 것 만큼 좋은 방법이 없다. 책을 읽으면 몸이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마음에 주재(主宰)가 있어서 외기(外氣)가 자연히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177 페이지) 또한 “부지런히 일하고 검소함을 밝히는 것이 우리 왕가의 법도”라는 말도 했다.(178 페이지) 모두 ‘일득록(日得錄)’에 전하는 바다. ‘일득록‘은 정조가 경연(經筵) 등 제반 행사에서 대신·각료·유생들과 나눈 대화와 전교(傳敎)를 수록한 책이다.

정조는 즉위 당시 만 24세에 불과했으나 이미 당대 최고의 학자가 되어 있었다. 그의 학문은 어느 노학자에게도 뒤지지 않았다. 이는 모두 동궁 시절의 노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183 페이지) 정조는 세손 시절부터 암살을 방지하기 위해 밤을 자주 새우곤 했다.

정조는 경연(經筵)을 통해 주자학에 경도된 신하들의 좁은 시야를 넓게 틔워주고 싶었다. 그러나 경연관들의 수준이 정조에 미치지 못했다. 구체적인 질문을 해도 구체적인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193 페이지) 경연관들의 수준이 미흡하자 정조는 한 가지 방안을 강구했다. 미리 공부(예습)하게 한 것이다. 정조는 경연에서 강학(講學)해야 할 부분에서 미리 문목(問目: 의문형으로 뽑은 문제)을 뽑았다.(193 페이지)

정조는 재위 21년(1797년) 6월 정약용을 동부승지로 임명했는데 정약용은 사직상소를 올려 자신이 지금은 아니지만 한때 서학에 빠졌었다고 시인하며 체직(遞職)을 요청했다. 정조가 사임하지 말라고 명했으나 정약용은 끝내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노론은 정약용을 관직에 천거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231, 232 페이지)

정조는 재위 24년인 1800년 오회연교(五晦筵敎)를 내린다. 5월 30일 경연에서 중요한 하교를 내린 것인데 이날이 그믐이기 때문에 호회연교라 불린다. “모든 신료들이 자기 조부와 부친이 선조(先朝: 영조)를 위해 충성을 바쳤던 것처럼 어찌 모년(某年)의 의리를 범하는 일이 벌어졌겠는가.”(232 페이지) 사도세자 사건을 언급한 것이다.

정조는 이 전교에서 자신의 재상 기용 원칙을 천명했다. 정조가 8년을 주기로 번갈아 등용한 세 정승은 남인 채제공, 노론 김종수, 소론 윤시동이었다. 오회연교 이후 정조는 몸에 이상을 느꼈다. 가슴 속의 화기가 만병의 원인이 되어 정조를 괴롭히는 것이다. 정저는 스스로 처방하고 조제했는데 이는 정조의 의학 지식이 어느 어의(御醫) 못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주위를 믿지 못하기 때문이었다.(236 페이지)

정조의 병세 진행으로 볼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논란 많았던 연훈방과 이시수가 여러 차례 권했던 경옥고와 정조의 임종을 지켜본 우일한 인물이 정순왕후라는 점이다. 연훈방을 제시한 심인은 노론 벽파의 영수 심환지의 친척이었고 연훈방을 소개한 이시수는 같은 당파 심환지와 상의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248 페이지) 자전(慈殿): 정순왕후)이나 자궁(慈宮: 혜경궁 홍씨)이 나타나면 신하들은 문 밖으로 물러나야 했다. 외간 남녀가 마주칠 수 없다는 법도 때문이었다.(246 페이지)

11세의 어린 순조가 즉위하면서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252 페이지) 반동(反動)이 시작된 것이다. 천주교 탄압, 남인 탄압이 시작된 것이다. 정조가 그토록 살리려고 했던 동생 은언군 이인도 사사(賜死)되었다. 정조 사후 조선에는 민란이 빈발했다. 정조 재위 때에는 민란이 없었다. 노론 벽파가 장악한 조선은 시대 흐름과는 거꾸로 질주했다. 그 결과는 조선 전체의 멸망이었다. 한 개혁 군주의 자리는 이토록 컸다.(270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