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 대해 잘 모르는 내가 최근 생각하게 된 것은 인상주의 회화에 사진기가 튜브 물감과 함께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사진기의 위력에 대책이 없었던 화가들은 빛을 다루는 새 방식을 개발해야 했다. 튜브 물감은 야외 미술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튜브 물감은 운반과 보존이 간편해 화가로 하여금 밖에 나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자신감을 주었다.

그러니 사진기는 화가들에게 역경(逆境)으로 작용해 결과적으로 새 장르를 만들게 한 것이라면 튜브 물감은 순경(順境)이 되어 화가들에게 힘을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늘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에서 스미스소니언 사진전을 보았다.

어떤 작품들은 화려함으로, 어떤 작품들은 경이(驚異)로, 어떤 작품들은 신비함으로 눈길을 모았다.

가장 크게 내 관심을 끈 작품은 ‘뉴파운드 협곡 전망대에 선 메노나이트 여성들‘이란 작품이다.(아래 사진 참고)

경외의 대상이기도 하고 명상의 대상이기도 한 대자연의 장관이 전통과 반문명의 신앙을 고수하는 메노나이트 여성들에 의해 가려졌지만 오히려 그 점이 더 깊은 생각을 유도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메노나이트는 문명을 거부하고 농사를 짓는 등 자연을 사랑하는 삶을 사는 기독교 재세례파(유아세례는 당사자의 신앙고백과 무관한 것이기에 유효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성인이 되어 다시 세례를 받는다.)이다.

문화해설사 동기 단톡방에 사진을 올리며 나는 아무래도 이 메노나이트 여성들의 사진이 가장 인상적이라는 말을 했다.

뒷 모습, 문명을 거부하는 신앙인들의 신비, 제한적이지만 대자연의 장엄을 엿보게 함 등의 특성이 그런 생각을 하게 한 것이다.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지난 2월 2일 동기들과 함께 감상한 그레타 거윅, 에단 호크 주연의 영화 ‘매기스 플랜‘과의 연결성 때문이다.

연결성이란 영화의 주인공이 바로 퀘이커 여교도였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진을 올리고 게시 배경의 말을 덧붙이자 한 동기가 그 영화의 주인공이 저 메노나이트 여성들 가운데 한 명으로 서 있을 것 같다는 말을 더했다.

유쾌한 연결이자 상상이 아닐 수 없다. 한 마디로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자연의 현묘함과 신앙의 신비함이 어우러진 저런 작품은 쉽게 만나기 어려울 것 같다.

그렇게 사진을 감상하고 책을 한 아름 사서 돌아가는 길이 평화롭게 느껴진다. 성공회 성당 담을 넘어 종소리라도 들려올 것만 같은 시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상륭 님의 ‘죽음의 한 연구‘에 나오는 284자나 되는 한 문장은 유명하다.

그 문장은 ˝공문(空門)의 안뜰에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바깥뜰에 있는 것도 아니어서, 수도도 정도에 들어선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상살이의 정도에 들어선 것도 아니어서, 중도 아니고 그렇다고 속중(俗衆)도 아니어서, 그냥 걸사(乞士)라거나 돌팔이중이라고 해야 할 것들 중의 어떤 것들은˝처럼 주부(主部)부터 만만치 않게 길다.

그렇게 ˝ ..별로 찌는 듯한 더위는 아니라도 갈증이 계속되며 그늘도 또한 없고 해가 떠 있어도 그렇게 눈부신 법 없는데다, 우계에는 안개비나 조금 오다 그친다는 남녘 유리(羑里)로도 모인다.˝로 끝나는 술부(述部)를 포함하는 284자의 문장은 예외적이고 특징적이다.

이 문장을 보고 나도 400자가 넘는 한 문장을 썼다. 이 글이 계기가 되어 지구과학 강사인 문화해설사 동기(同期)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의 아내가 ‘죽음의 한 연구‘를 읽었고 철학과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아내가 정신분석학에도 정통하냐는 내 질문에 동기는 자신의 아내는 정신분석에 정통한데 단 자신에 대해서만 그렇다는 말을 했다. 생각의 실마리를 찾게 하는 아리아드네의 실 같은 말이다.

그렇다면 정신분석이란 무엇일까?

박지영 시인/ 평론가는 정신분석적 비평은 ˝텍스트에 충실하고 텍스트의 행과 행 사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읽어내는 것˝이라 말한다.(‘욕망의 꼬리는 길다‘ 7 페이지)

반면 정신분석가 김서영 교수는 ˝인물들이 움직일 수 밖에 없는 동선을 분석해내고 그 한계를 파악한 후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비평˝이라는 말로 정신분석 비평을 정의한다.(‘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149 페이지)

동기의 말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것은 후자이다. 물론 두 정의(定義)는 다른 맥락에서 도출된 것이고 양자 모두 대기설법(對機說法; 듣는 사람의 이해 능력에 맞추어 다양한 수준의 가르침을 펴는 것)의 의미를 지닌 것 즉 case by case의 언설(言說)임을 고려해야 한다.

인상적인 것은 김서영 교수의 다음의 말이다. ˝이론과 개념이 들어가지 않는 분석 역시 프로이트만큼 정치(精緻; 정교하고 치밀함)한 해석을 제시한다면, 그래서 변화를 이끌어낸다면, 우리는그것을 정신분석적 비평이라 부를 수 있다.˝는 말이다.(같은 책 같은 페이지)

에드워드 핼릿 카(E. H Carr)가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한 말이 생각난다. 그는 자유주의적 역사관을 가졌던 19세기를 천진난만한 시대, 역사가들이 자신들을 가려줄 한조각의 철학도 걸치지 않고서 역사의 신 앞에서 벌거벗은 채 부끄러움도 모르고 에덴동산을 돌아다닌 시대로 정의했다.

물론 나는 이론 또는 철학은 너무 가까이 해도 안 되고 너무 멀리 해도 안 되는 불가근 불가원(不可近 不可遠)의 것이라 생각한다. 불가근 불가원을 고쳐 말하면 너무 의존해서도 안 되고 도외시해서도 안 되는 것이라는 말이 된다.

김서영 교수의 말은 기존 이론에 의거(依擧; 근거를 둠)하지 않으려면 적어도 그에 준할 만큼의 정교한 해석을 제시해 의미있는 변화를 이끌어내야 함을 말해준다.

그 험난한 길을 걸어 설득력 있는 해석과 전망을 내놓은 글을 만나고 싶다.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마저 ˝나를 벗어나 표준화된 길을 좇아 움직이는˝(김영민 지음 ‘진리, 일리, 무리‘ 229 페이지) 시대에 참 만나기 어려운 귀한 글을... 내 글 역시 만나기를 희망하는 대상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을 찾을 수 있어 그 앞에서 울 수 있는 자는 아직 행복하여라.˝(Encore heurese qui peut trouver la porte et pleurer devant elle.)
프랑스 시인 기유빅의 시 구절이다.

평론가 김현 교수의 책에서 만난 이 구절을 인용한 것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전할 필요가 있어서다.
하지만 그런 이 글이 지금 내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문을 찾으며 울고 있는 내 심정을. 나는 기유빅의 말대로 울 수 있어 행복한 것인가?란 의문을.

아니 사실 무언가를 찾을 수 있어 행복하다는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오래 내버려두었던 원문을 찾아 적은 것이니 나는 희망을 확인하고 조금은 지친 나를 다독이려 한 것이다.

단 시를 대하듯(당연히 기유빅의 저 구절은 시이다.) 한 획도 틀리지 않게 정확하게 내용을 확인하고 싶었던 것이다. 위로란 이런 것인 듯. 하려다 내가 받으니 묘한 것일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아니스트 임현정은 스무 살 무렵 다짐했다고 한다. 10년간 피아니스트에게 기본이 되는 레퍼토리를 모두 공부하자고.

당시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곡, 자신과 어울리는 곡을 뽑아 연주하는 건 사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 그가 이제 자신에게 맞는 곡을 연주할 시간이 왔다고 자신있게 밝혔다.

슈만의 사육제, 브람스의 8개의 피아노 소품, 라벨의 거울, 프랑크의 ‘프렐류드, 코랄과 푸가‘ 등이다.

4일 치러진 그의 연주회에 호불호가 엇갈리고 있다. 경이로운 속주(速奏), 비교의 대상이 없는 파격적인 곡 해석 등에 초점을 둔 결과이다.

그의 페이스북에서 잠시 모차르트의 ‘터키 행진곡‘을 들어봤는데 휘몰아치는 속도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이번 연주회에 대해 ‘음악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을 깨트리는 무리수‘, ‘다르게 연주하는 이유를 찾을 수 없다‘ 등의 비판들이 답지한 가운데 음악 감상의 로드맵 같은 말이 마음을 움직인다.

˝한 아티스트가 자기만의 방식으로 작곡가와 대화하고 그것을 음악소리로 내놓을 때 우리는 우리 스스로의 방식으로 그 아티스트와 마주대하면 된다.˝는 말이다.

물론 내 관심은 어린 나이(열두살)에 홀로 프랑스 유학 길에 오른 뒤 성공가도를 걸어 마침내 자신이 좋아하는 레퍼토리들만으로 구성한 연주회를 하게 된 그의 준비와 노력, 자신감에,

그리고 ˝동양의 영적인 면과 서양의 철학, 둘 사이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그의 정신세계에 닿아 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은 ‘둘 사이의 균형‘이 속주와 관계가 있는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하는 것이다.

나는 세상의 다양성을 긍정한다. 음악의 다양성도 당연히 긍정의 대상에 속한다. 내가 즐기는 것은 개별 연주자들이 빚어내는 다양성과 개성보다 음악이라는 큰 틀이다.

그래서 임현정의 연주는 감상의 대상 이상으로 공부의 대상이다. 물론 그의 세계관을 연관지어 하는 공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불교중앙박물관에 다녀와야 할 듯..견지동 조계사 옆에 자리한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수국사(은평구 갈현동)와 흥천사(성북구 돈암동)의 불화전이 열리기 때문.(3월 31일까지) 정식 명칭은 서울지역 왕실 발원 불화 기획전.

수국사(守國寺)와 흥천사(興天寺)는 조선 왕실이 세운 사찰이다. 수국사의 기원은 의경(懿敬)세자(세조의 맏아들, 성종의 아버지)의 요절(20세)에 즈음해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지은 정인사(正因寺)이다.(懿; 아름다울 의)

내게 수국사는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의 저자인 일지(一指)스님이 입적(2002년 8월 22일... 세수歲首 44)한 곳으로 기억되는 곳.

지극한 불교인문주의자였던 일지 스님. 아비달마 불교의 5위(位) 75법(法)을 가르쳐주시고(‘붓다, 해석, 실천‘) 중관(中觀)과 유식(唯識) 불교를 가르쳐주신(‘중관불교와 유식불교‘) 분.

흥천사는 태조가 그의 비(妃) 신덕왕후 강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사찰.

이번 전시회에서는 1907년 대한제국 황제의 장수와 황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제작한 아미타여래도, 극락구품도, 감로도 등 21건 63점의 문화재가 공개된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