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종묘(宗廟)에 갔을 때 해설사로부터 종묘 배향(配享) 이야기를 듣고 종묘 배향과 문묘(文廟) 배향의 차이를 물었다.

답을 듣지 못했는데 어제 비로소 그 차이를 알았다. 종묘 배향은 공적(功績)이 있는 신하를 왕과 함께 모시는 것이고 문묘 배향은 학덕이 있는 신하를 공자(孔子)와 함께 모시는 것이다.

정도전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경복궁 vs 창덕궁‘ 이야기에 이어) 정도전은 문묘에 배향(또는 종사從祀)되지 못했고 정몽주는 배향(또는 종사)되었다.

정몽주는 조선 건국을 반대한 인물이고 정도전은 조선의 틀을 세운 인물이 아닌가. 종묘나 문묘에 배향되는 것은 대단한 영광이다. 임금도 찾아와 고개 숙이는 곳은 두 곳 뿐이기 때문이다.

회퇴변척(晦退辨斥)이란 용어가 있다. 남명 조식(曹植)의 제자 정인홍이 회재 이언적과 퇴계 이황을 공격한 사건이다.

정인홍의 공격은 성공하지 못핬는데 그것은 회재(晦齋)와 퇴계(退溪)가 이미 문묘에 배향된 후였기 때문이다. 회퇴변척 사건은 신하와 신하 사이의 권력 다툼이다.

임금과 귀족들의 다툼도 있다. 불천위(不遷位)와 관련된 사안이다. “제사에는 집단의 세력을 확대하는 기능이 있다.”(김용만 지음 ’조선이 가지 않은 길‘ 136 페이지)

임금으로서는 자신의 세력권은 확대하고 귀족의 그것은 막을 필요가 있었다.

조선 왕실이 4대가 지나면 혼백(魂魄)이 흩어진다는 믿음과 달리 건국 시조까지 종묘에 모신 것 역시 세력권 확대를 위한 조치였다.

성리학적 근거와 무관한 것이다. 모든 것은 정치와 연관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순간이다.
중국 주(周)나라의 좌묘우사(左廟右社)나 은(殷)나라의 좌묘우궁(左廟右宮)도 정치적 선택이었다.(주나라의 좌묘우사는 정도전에 의해 수용된다.)

정치가 바로 서야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술관 다리(museum legs)는 미술관에서 가만히 서 있는 사이 사이 오랜 시간 천천히 걷는 불규칙적인 동작을 취해 생기는 다리 통증입니다.
아트 컨설턴트 요한 이데마는 미술관을 돌아다니는 것이 설명할 수 없을 만큼 근육을 피곤하게 하는 것은 많이 걸어서가 아니라 어슬렁어슬렁 걸었기 때문이라 설명합니다.

다리가, 걷는 속도의 도움 없이 오직 ‘당신‘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박물관 다리, 궁궐 다리란 말도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미술관 다리, 박물관 다리, 궁귈 다리 사이에 차이가 있을까요?

어떤 공간인가보다 혼자인가 여럿인가에 따라 다를 것이고, 여럿이라면 누구와 함께인가에 따라 다를 것이고 어떤 전시물인가에 따라서도 다를 것 같습니다.

이번 달 내에 자유 관람이 가능한 시간(매주 토요일, 매월 마지막 수요일)을 골라 종묘(Jongmyo Shrine)에 가야 하는 저는 종묘 다리 즉 Shrine Legs을 앓게 될 것 같습니다.

다 아시듯 6월 3일 해설을 위해 동선을 찾고 주제를 설정하기 위해 여러 차례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사이를 돌아다녀야 할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앞서 인용한 이데마는 미술품들을 본 뒤 다리가 아픈 것은 불규칙적인 걸음 때문만은 아니라 말합니다.

미술이 일으키는 아름다움, 재미, 감정, 충격, 놀라움이 사람들의 눈과 귀를 동시에 움직이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종묘는 어떨까요? 소박함이 주는 놀라움, 엄숙한 공간감, 강렬함 등이 순례자를 사로잡을 것입니다. 기분 좋은 피곤함이 예상되는 종묘 사전 답사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양주 실학박물관 앞에서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 나오는 이중창 ‘저녁 바람(이) 부드럽게‘를 이름으로 한 음식점겸 카페를 만났다.(5월 16일)

육십줄의 여 사장은 자기가 좋아하는 작곡가는 (모차르트보다) 브루흐라는 말을 했다. 운길산 역에서 56번 버스를 타고 간 실학박물관도 ‘저녁 바람 부드럽게‘도 모두 좋았다.

이은규 시인의 ‘다정한 호칭‘에 나오는 ‘꽃그늘에 후둑, 빗방울‘의 첫 줄을 기억하며 순례하듯 박물관을 돌았다. ˝떠나옴과 떠남이 붐비는 소읍의 터미널˝...

박용래 시인이 ‘저녁눈‘이란 시에서 눈발이 붐빈다는 말을 했지만 이은규 시인은 사람이 아니라 떠나옴과 떠남이 붐빈다는 말을 한 것이다. 박물관은 호학(好學)의 열정이 붐비는 곳이 아닐지?

이은규 시인은 ˝모퉁이를 막 돌아나가려는 버스/ 그 순간을 마주하지 못해 고개 돌렸을 때/ 백작약이 거기 있었다, 피었다˝고 했다.

우리가 본 실학박물관 주변의 꽃들이 어떤 것이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 아니 나만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 수 있으니 ‘우리가‘라 하기보다 ‘내가‘라고 해야 하겠다.

‘다정한 호칭‘에서 인상적인 단어는 절기란 말이다. 이 단어만으로 새로울 것은 없지만 ˝절기 전에 꽃을 잃는 기억˝이란 말과 ˝절기와 헤어진 꽃과 꽃잎들˝이란 말에 이르면 절기란 단어의 의미는 깊어 보인다.

꽃이 귀함을 알게 하는 절기라는 말... 절기 전에 잃은 꽃을 슬퍼하고 절기에 맞춰 아름다운 꽃들을 즐겨야 하겠지?(즐기기 전에 오늘 면접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트앤스터디가 ‘지성과의 산책 1 - 한국 성리학과 양명학의 대가들을 만나다‘를 주제로 강의한다고 한다.(김교빈 교수 강의)

성리학과 양명학의 관계를 밝히고 그 학문들이 한국 철학사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 분석하는 강의이다.

외주내양이라는 말이 있다. 겉으로는 주자학 즉 성리학을 표방하고 속으로는 양명학을 신봉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주(周)나라의 역(易)을 주역(周易)이라 하니 주자학은 주나라의 학문인가 생각할 수 있겠지만 주자학은 주희(朱熹)의 학문이란 의미의 朱子學이다. 더구나 주희는 중국 남송 사람이었다.

공자의 학문, 맹자의 학문 등을 (원시) 유학이라 하지만 오롯이 한 사람을 성인으로 대우해 그의 학문이라는 뜻에서 주자학이라 부르는 것은 지극히 이례적이다.

외주내양이라고 했지만 이는 사상의 획일화를 지향하고 사문난적이라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이단을 지양한 조선의 사정을 반영한다.(지양이라기보다 배척이고 말살이겠지만...)

어떻든 외주내양이라는 말은 공식적으로는 소설 탄압정책을 수행하고 사적으로는 소설을 탐독했던 조선 후기의 일부 신하들을 생각하게 한다.

겉으로는 소설 탄압 제스처를 쓰고 속으로는 소설에 빠지는 것을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이것이 외주내양과 다른 것은 외주내양은 두 가지 학문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 것인 반면 소설과 관련한 상반된 태도는 하나에 대한 표리부동한 대처이기 때문이다.

소설을 부정적으로 본 조선의 임금으로 정조를 들 수 있지만 소설의 무엇이 문제일까?

그제(5월 16일) 실학박물관에서 동기의 해설을 듣다가 단서를 얻었다. 문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회비판이 문제가 아니었을지? 문체와 사상이 밀접하니 결국 문제는 문체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황동규 시인이 ‘즐거운 편지‘에서 말했듯(“...그대가 앉은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사소한 소망에 휩싸일 때가 있다.

글쓰기가 추상적인 영역에서 출발하지 않고 경제 문서 즉 치부책(置簿冊)을 쓰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는 문헌학자들의 보고 때문이다.

나도 추상을 버리고 치부책을 쓰고 싶은 것이다. 그런데 허수경 시인의 ‘모래 도시를 찾아서’에 나오는 ‘존재할 권리’라는 말을 들으면 물리학자 리언 레더먼이 표현한 중성미자(中性微子: 뉴트리노)처럼 겨우 존재(barely a fact)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는 내 존재도 감사해야 할 일이란 생각이 든다.(허수경 시인이 ‘존재할 권리’라는 말을 쓴 것은 자살 폭탄자들의 가족이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 촌락에 폭탄을 던지는 이스라엘의 만행을 보고 한 말이다. 존재할 권리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레더먼은 뉴트리노를 질량이 0에 가깝고, 전하도 없고 크기도 없고 강력(强力)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다고 표현했다.(‘신의 입자’ 26 페이지)

뉴트리노는 중성자가 양성자와 전자로 붕괴할 때 생기는 소립자(素粒子)이다. 그러니 나를 뉴트리노에 비유하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이라 하겠지만 존재감이 그렇게 가볍다는 말이다. 어떻게 존재감을 높일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