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나치 수용소에 징발(徵發)된 유일한 예술 장르이다.“ 이 파격의 메시지를 담은 프랑스 소설가 파스칼 키냐르(1948 - )의 신간 산문집 ‘음악 혐오’를 접하고 몇몇 이름을 소환하지 않을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

키냐르의 말처럼 나치는 여성 수인(囚人)들로 구성한 오케스트라를 통해 교수형 집행장에서조차 경쾌한 행진곡을 연주하게 했다.

이에 여성 수인들은 ”하느님, 이런 데서 음악이라니요?“ 하며 울부짖었다.(서경식 지음 ‘나의 서양음악 순례’ 285 페이지)

저자는 이 야만을 인간에 대한 최종적인 파괴였다고 표현한 폴란드 출신의 여성 수인 조피아 조코비악에 대해 전한다.

그 여성 음악단원들은 나치로부터는 우대받았지만 다른 수인들에게는 모멸과 원한과 한탄의 대상이 되었다.

소환하지 않을 수 없는 이름 하나는 올리비에 메시앙(1908 – 1992)이다.

영하 20도를 오르내리는 한겨울인 1941년 1월 독일령 실레지아의 괴를리츠 포로 수용소에 갇혀 죽음의 공포 속에서 성경을 묵상하던 메시앙은 요한계시록에서 영감을 얻어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란 작품을 만든다.

극심한 굶주림과 죽음의 공포로 인해 침묵 속에서 시연(세계 초연)된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 연주에 대해 훗날 메시앙은 ˝그처럼 대단한 관심과 이해를 보여준 무대나 관객을 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소환하는 두 번째 이름은 현대 음악 작곡가 윤이상(尹伊桑: 1917 – 1995)이다.

1963년 4월 오랜 친구 최상학의 주선으로 쳥룡, 백호, 주작, 현무의 강서 고분의 사신도(四神圖)로부터 작곡을 위한 영감을 얻기 위해 방북한 윤이상은 박정희 정권의 조작(1967년 동 베를린 간첩단 사건...이는 부정선거에 대한 거센 비판 여론을 무마시키기 위해 과장, 확대 해석된 사건이다.)으로 간첩으로 몰려 사형을 선고받고 감옥에 갇힌다.

서울 구치소에서 윤이상은 자살 시도 끝에 음악 작업을 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고 오페라 ‘나비의 꿈’을 작곡한다.

그는 달라피콜라, 리게티, 슈톡하우젠 등 세계적 음악가들의 탄원에 힘입어 수감 1년 8개월여 만에 석방되지만 끝내 정권(政權)의 방해로 고국에 들어오지 못하다가 베를린에서 세상을 떠난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5일 영부인(令夫人) 김정숙 여사가 베를린의 윤이상 묘소를 방문해 그의 고향인 통영에서 가져온 동백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성악 전공의 김 여사는 윤 선생은 학창 시절 영감을 많이 주신 분이라고 회고했다.

처염상정(處染常淨)이란 문구의 윤이상의 묘비명과 부인 이수자 여사와 딸 윤정(1970년대 독일 전위 록 그룹 Popol Vuh의 보컬이었던...그들의 Hosianna Mantra를 꼭 들어보시길...)의 사진을 보며, 그리고 윤이상의 어머니가 꾼 태몽인 상처 입은 용을 생각하며 윤이상 음악제가 열리는 통영에 꼭 가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

처염상정은 진흙탕 속에서 피어나지만 더러운 흙탕물이 묻지 않는 연꽃을 상징하는 말이다.

그 이름도 낭만적인 ‘물결 높던 날들의 연가’란 책에서 서우석은 중요한 것은 공기의 파동이 귀에 들어와 우리의 뇌에 이르면 우리 마음이 무의식에 있는 여러 유형들을 꺼내 그 소리들을 곱게 또는 곱지 않게 옷을 입혀 우리 의식에 자리를 잡아주고 앉혀주는 것이라는 말을 한다.(29 페이지)

우리 무의식이 곧 세상이니 음악을 통해 우리가 만나는 것은 세상이라는 말이 가능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경웅(吳經熊)의 ‘선학의 황금시대’에 시간의 본질을 생각하게 하는 일화가 나온다.

한 할머니가 덕산 선사에게 금강경은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고 했는데 스님께서는 어느 마음에 점심을 들자고 하시는 것이냐, 대답을 잘 하면 점심을 공짜로 드리겠다는 제의를 했는데 답을 못한 선사는 점심을 얻어 먹지 못했다는 일화이다.

선사가 알아차리지 못한 것은 우리는 밥을 먹는 것이지 시간을 먹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선학의 황금시대‘라는 불교 철학의 정수가 말하는 시간에 대한 결론과 일치하는 내용이 물리학과 뇌과학을 전공한 슈테판 클라인의 ‘안녕하세요, 시간입니다‘에 나온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절대 시간은 없다는 결론이다. 물론 우리는 정확하게 지정되는 표준 시간에 따라 자신들의 일정을 맞춘다.

하지만 하는 일이 다르고 처지가 다르면 생활 패턴이나 리듬, 속도는 다를 수 밖에 없다.

절대 시간이 없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객관적인 시간이 없다는 말이 아니라 너무나 다양한 삶의 여건과 처지에 따라 시간은 다르게 흘러간다는 의미이다.

자신만의 리듬을 찾고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새로움을 열망하는 마음이 이 만큼 강합니다‘로 요약 가능한 말을 하지만 내 삶의 대체(大體)는 기존의 편안함과 익숙함에 물들어 있는 듯 하다.

이것을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내 이의 제기는 거품 같은 불만의 반영이고 열등감의 표현인 듯 하다고 말해야겠다.

앞서 갈 능력도 없으면서 화려함과 색다름에만 눈길을 준 것 같다고 말해야겠다.

색다름과 새로움도 기본을 쌓은 후의 일이고 체계 안에서 추구해야 하는 일이란 생각을 한다.

이상민 작가의 ’책쓰기의 정석‘에서 이런 구절을 읽었다.

“책을 본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결핍이나 열등감이나 절박함이 있다는 것이다.”(129 페이지)

나는 이런 주장에 동의하고 또 공감한다. 하지만 나와 이상민 작가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상민 작가는 평범한 사람일수록 오히려 책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나는 주역(周易)을 쓴 사람에게는 큰 우환(憂患)이 있었을 것이란 말을 떠올리며 내 다독(多讀)의 이유를 분석한다는 것이다.

나는 가끔 박정대 시인이 ’달‘이란 시를 통해 표현한 “무너진 언덕 너머에” 있다는 “어디로도 가려 하지 않는 바람과 배 한 척”이란 말을 나에게 적용시켜 본다.

책을 많이 읽기에 심심치 않게 책을 써야 하지 않느냐는 말을 듣는다.

오늘 그래야겠다는 생각을 불현듯 한 것은 어설픈 시연 결과 때문이다. 이상민 작가는 책을 많이 읽었음에도 작가가 되지 못하는 단 하나의 이유는 용기가 없어서라고 말한다.(같은 책 ’145 페이지)
이제 나는 불안을 견디는 용기를 내야 할 것이다.(자가自家 정신분석을 닮은 이 글을 쉬이 읽어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주 가는 곳이 아닌 곳도 대안이나 보완재의 의미로 갈(行) 필요가 있다.

해설 자료로 쓸 사진을 출력하려는 중에 우연히 자주 가는 교보문고가 아닌 영풍문고에서 스마트폰 사진 출력 기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성공적으로 석 장의 사진을 출력했다.

프린팅박스라는 어플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한 뒤 원격조정되는 시스템에 따라 출력하면 되는 간펀한 프로그램의 혜택을 본 것이다.

스마트폰을 일부러 늦게 구입한 지 이제 10 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런 편리는 반갑기만 하다.

아침 열 한시쯤 집을 나서 바로 그 영풍문고에서 해당 프로그램으로 사진을 출력하고 밥을 먹고 창덕궁에 두시쯤 도착해 폭염 속에서 두 시간 넘게 리허설을 했다.

고치거나 보완할 것을 메모한 뒤 걸어서 정독도서관까지 가서 문서 작업을 하고 인쇄를 한 뒤 지금 집으로 가는 길이다.

지난 7월 22일에서 25일까지 만 나흘간 극심한 피로와 두통, 현기증 때문에 꼼짝하지도 못 하는 등 6월이 끝날 때까지, 그리고 7월 2일 아침까지 아픈 것도 아픈 것이지만 아무 것도 하지 못 할 정도의 무력감과 그로부터 기인하는 난감함에 마신 현미송엽흑초(玄米松葉黑醋)가 이렇게 큰 선물이 될 줄 몰랐다.

첫 만남에서 내가 마신 것은 우유 200밀리 리터에 탄 소주잔 한 잔 분량의 현미송엽흑초였다. 이 작은 양으로도 드라마틱한 반전이 일어난 것이고 그 첫 사건 이후 내가 마신 것은 여섯 잔의 현미송엽흑초였는데 그 이후 내 머리는 평온함을 유지하고 있다.

아무 것도 하지 않아서 아프지 않은 것이 아니라 팔꿈치나 어깨 수술을 받은 투수가 재활 후 전력 투구를 하는데도 아프지 않은 것처럼 원하는 만큼 책을 읽고 글을 써도 아프지 않은 정도이다.

다만 나희덕 시인의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간다‘란 시처럼 시연을 겨우 사흘 남겨둔 시점에 경험하게 된 사건인 것이 아쉽다.

물론 그럼에도 다행인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좀 더 일찍 현미송엽흑초를 만났다면 시나리오를 더 쉽게 쓸 수 있었을 텐데 하는 마음이 든다.

나는 짧게 쓸 시간이 충분하지 못해 길게 썼다는 파스칼의 선언을 응용해 쉽게 쓸 시간이 충분하지 못해 어렵게 썼다는 말을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내게 일어난 반전이 더는 심화되지 않고 현상 유지에 그칠 수도 있겠지만 그렇더라도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

피가 잉잉거리던 병은 이제 다 나았다는 서정주 시인의 시를 음미하는 귀로(歸路)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유와 마음’, ‘미술관으로 간 붓다’의 저자이신 명법 스님의 페북 글을 읽었다. 많은 생각을 하며 한 구절 한 구절을 음미하며 읽었다.

많은 생각을 한 만큼 많은 말을 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나에게 참고점이 되는 것들에 대해서만 말하고 싶다.

대단히 힘들고 어려운 스케줄에 ‘어떻게든 6월만 넘기자‘란 생각을 하셨다는 글, “여기저기서 실패했던 경력들이 이 소임에 필요한 경험들이 될지도 모르겠다.“고 하신 말씀, ”평생을 두고 하실 일”이란 말씀 등이다.

지난 나의 2017년 6월은 네 권으로 책을 역대급으로 가장 적게 읽고 리뷰를 쓴 달이었다.

내 처지가 식음을 폐하고 엎드려 있는 상처 입은 짐승처럼 여겨질 정도였다. 책없는 무인도에 갇힌 사람 같기도 했고.

책에 의지해 겨우 바보를 면하는 나에게 책은 말할 필요조차 없이 중요한 것이다.

일이 바빠서라면 그럴 수도 있겠다 생각할 수 있겠지만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서였으니 겹으로 아팠다.

이동순 시인의 ‘그 바보들은 더욱 바보가 되어간다’는 시집 제목이 나에게 들어맞는 상황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런데 궁즉통이라고 어제 드디어 마음만 먹고 있던 요법을 시행했다. 결과는 그렇게 생각을 해서는 아니고 정말 드라마틱하게 통증과 현기증이 가벼워졌다.

결과론이지만 그간 내 선택은 허수경 시인의 시어처럼 ˝각각 따로˝인 ˝치병과 환후˝였다고 말할 만하다.

무엇보다 희망스러운 것은 호전된 퀄리티가 지속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무엇으로 인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을 때까지 조심해야겠다고 마음먹는다. 호사다마(好事多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각설(却說)하고 스님께서 하신 “여기저기서 실패했던 경력들”이란 글에서 얻은 위로와 함께 내게는 너무 큰 쾌거가 아닐 수 없다.

실패를 딛고 일어서면 된다는 깨달음으로 인한 위로와 천혜(天惠)의 선물인 약(藥)으로 인한 실제의 무엇.

그런가 하면 평생을 두고 할 일이란 말씀으로부터 나는 내 이상(理想)을 발견한 마음에 자신감까지 얻었다.

물론 어제의 호사(好事)들이 단발성으로 끝나더라도 다시 도전하고 모색하고 다시 희망할 것이다.

7월은 밀린 책들이 나를 부르는 첫 달이 될 것이다. 스님께 감사드리고 천혜의 선물에 대해서는 놀라움의 인사를 건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