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양주 회암사지(檜巖寺址) 박물관을 찾았다. 나무 공부를 하기 위해 그제 창경궁에 가서 숲 해설을 들은 뒤 바로 찾은 것이기에 뜬금 없는 것은 아니다. 절터와 관련한 박물관 이야기에도 나무 이야기는 있을 것이기에..

하지만 마침 휴일인 월요일을 골라 간 여행이 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뜬금 없는 일이 된 것일까? 오래 벼르던 곳이었는데 확인도 하지 않고 방문하다니.

물론 휴일이 월요일이라는 사실을 알았어도 요일을 확인하지 않고 박물관에 갔을 가능성이 높다. 박물관은 닫혔으니 갈 곳은 회암사지일 수 밖에 없었다.

물론 회암사지 박물관 개장과 무관하게 회암사지는 찾을 수 밖에 없는 곳이다. 회암사는 왕실의 후원을 받아 많은 불사를 진행한 조선 전기의 최대 사찰이었다.

조선왕조 실록에는 회암사에 쌀 1백석(태조 6년 8월 27일), 전지(田地) 3백결(태종 2년 5월 22일), 밭 74결(태종 2년 6월 6일), 전지 120결(태종 2년 8월 8일), 쌀 50석(세종 17년 4월 17일) 등을 비롯 많은 물품을 하사한 기록이 있다.

명종 21년 4월 20일 기록에는 명종이 유생(儒生)들이 회암사를 태우려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하며 다만 그것은 유생들을 가칭(假稱)하는 자들이 하는 짓일 것이라 추측하는 대목이 나온다.

그로부터 약 30년을 건너 뛰어 선조 실록에 회암사 옛터라는 말이 나온다. 회암사가 그 중간에 불에 탔음을 알 수 있는 단서다. 물론 유생들의 소행일 것이다.

화재 이후 옛 회암사에 속해 있던 암자(庵子)가 외형이 커져 절이 되었다. 암자에 부도(浮屠)도 딸려 있었다.

내가 가진 책인 ‘새벽 산사에 가보세요’(1997년 출간)에서 저자 미영순 님은 회암사 부도를 깨어지고 금간 옛 영화라 표현해 놓았다.

회암사는 문정왕후(중종의 세 번째 비이자 명종의 어머니), 지공(指空), 나옹(懶翁) 선사 등과 연관된 사찰이다.

회암사는 지공 선사가 창건(創建)했다. 나옹 선사는 회암사에서 득도한 후 중국으로 가 지공 선사의 제자가 되었다. 회암사에 나옹 선사의 부도가 있다.

회암사지를 보며 염명순 시인의 ‘수국이 피는 곳‘이란 시를 떠올렸다. ˝수국을 기억하세요? 사람들의 발길이 자주 닿지 않는 퇴/ 락한 산사의 마당 한켠에 흰색에 가까운 보라색 수국이 피/ 는 날의 고요를. 비구니의 낭랑한 독송이 햇살에 실려 수국/ 위에 가만히 내려 앉을 즈음엔 어김 없이 해가 지고 나는 왜/ 늘 어스름에만 수국을 보았는지요...˝

이 시를 떠올린 것은 시인이 말한 퇴락한 산사와 불에 타 터만 남은 회암사를 연결지어 생각하려는 마음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시인은 자신이 프랑스에서 유학하며 고국의 수국을 그리워 하다가 정작 한국에 와서는 수국을 잊고 프랑스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수국을 떠올린 사연을 전한다.

회암사는 어릴 적 불공을 드리는 어머니를 따라 가던 절이다. 그렇게 옛 추억을 더듬어 본 뒤 나는 아쉬움에 회암사지 해설사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연히 이야기는 숲과 궁궐, 불교 등에 관한 주제를 따라 이어졌다. 안내 해설사는 여고때 시를 쓰시던 분이고 시골에서 자랐지만 밭 한 번 메지 않았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해설사께서 내게 메밀차를 주셨다. 답례는 아니고 염명순 시인의 ‘수국이 피는 곳’과 김명리 시인의 ‘먼길’을 읊었다.

처음 보는 분 앞이었지만 해설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서 어색하지는 않았다.

지난 일요일 정동 해설에서 읊은 김용범 시인의 ‘평화의 멜로디’에는 “성공회의 종(鐘)소리”란 구절이 있고 ‘먼길’에는 “전등사 범종소리”란 구절이 있다.

염명순 시인의 ‘수국이 피는 곳’에는 “비구니의 낭랑한 독송“이란 구절이 있다. 모두 퍼져나가는 것들이다.

일찍 돌아서기가 아쉬웠지만 일정 때문에 다음을 기약하고 헤어졌다. 따뜻한 차를 받고 따뜻한 마음을 나눈 하루였다. 헛걸음이라 할 수 없는 하루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정동 해설에 활용할 김용범 시인의 ‘평화의 멜로디‘란 시를 지난 금요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찾아 냈다.

폐업한 고려원에서 나온 절판된 시집인 ‘슈베르트 마을의 우편 마차‘란 시집에 수록된 시이다. 출간 20년이 넘은 작품이다.

마을이란 단어를 들으니 김춘수 시인의 샤갈의 마을, 김은자 시인의 루오의 마을 등이 떠오른다. 김춘수 시인은 샤갈의 마을에는 3월에 눈이 온다고 했고 김은자 시인은 루오의 마을에는 비가 온다고 했다.

루오는 프랑스의 화가 조르주 루오인데 이 분의 판화 작품 가운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날에도 향을 묻혀준다‘는 작품이 있다.

검색하느라 애썼지만 찾지 못했다. 김용범 시인의 ‘평화의 멜로디‘는 쉽고 따뜻하고 아늑한 시이다.

정오가 되면 성공회쪽 담을 넘어 종소리가 들린/ 다 시내의 한 중앙에서 듣는 종소리는 일종의 슬픔/ 과 같은 것이었다. 음악이 끝난 연주회장에서 악기/ 를 챙겨들고 떠나는 교향악단의 단원들을 보는 것/ 같았다. 음악회는 끝났고 사람들은 저마다 평화로운/ 멜로디 몇 마디씩을 가슴에 안고 돌아가는 쓸쓸한/ 저녁의 느낌을. 오늘도 정오 성공회의 종소리가 들/ 릴 것이다. 조금씩 슬픈 표정으로 사람들은 짧은 점/ 심을 끝낼 것이다.

종을 치지 않을 때 소리는 어디에 있는가? 종을 치면 소리는 어디에 있는가? 종을 치면 어느 한 곳에 있지 않고 고루 퍼지게 된다.

모두에게 평화로운 사랑의 멜로디가 퍼지기를 바라면 동화적으로 느껴질 만큼 각박하고 거친 세상이다. 오늘 나에게 행운이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랜만에 정독도서관에서 강의를 들었다. ‘조선 궁궐과 음양 오행‘(9월 19일), ‘조선 궁궐과 풍수지리‘(9월 21일) 등이다. 꼭 들어야 할 강의이기에 앞자리에 앉아 열심히 듣고 질문했다.
음양오행과 풍수지리를 모르면 조선 궁궐에 대한 이야기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만나게 된다고 강사(최동군 님)로부터 들었다.

조선의 정궁인 경복궁이 이미 음양오행과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지은 건축물이다. 조선 임금이 앉은 자리에 일월오봉병(日月五峰屛)이 있는 것도 음양 오행에 따른 것이다.

<정문이 양의문(兩儀門)인 교태전(왕비전)은 음양을 상징하고 정문이 향오문(嚮五門)인 강녕전(대전大殿)은 오행을 상징한다. 흠경각(欽敬閣)은 음양과 오행이 만나는 지점의 전각이다.

음양오행 곧 시간을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는 사상을 흠경각이 나타낸다.>(강사의 강의 자료 중에서)

어제는 강사께서 사인한 책(‘창경궁 실록으로 읽다‘)을 받았다. 첫날 강사의 저서를 받고 싶어 집중했지만 다른 사람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그 책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경복궁 실록으로 읽다‘이다. 어제는 질문을 많이 한 내가 책을 받았다.

궁궐 책들 가운데 없는 창경궁 책을 받은 것이 참 극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수업이 끝나고 안국역까지 걸어가며, 그리고 안국역에서 종로 3가까지 전절을 타고 가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관심 분야가 같기에 대화가 자연스럽게 흘렀다. 이제 두 번의 강의가 남아 있다. ‘조선 궁궐과 조선 왕릉의 구조는 똑같다?’(9월 26일), ‘실록으로 읽는 조선 궁궐’(9월 28일) 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술 전시회 관람 후기를 쓰는 과제를 위해 내가 고른 전시는 2017년 서울 세계건축대회(9월 3일 – 7일) 기념 특별 전시회인 ‘자율진화도시’전(展)이다.

건축대회는 끝났지만 시작일과 같은 9월 3일 시작되어 11월 2일까지 계속되는 이 전시회는 계획과 진화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갖는 전시회이다.

말이 어렵지만 자율진화도시란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 문제점들을 스스로 찾아 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이다.

자율진화도시전이 중점을 두는 분야는 예술이다. 물론 도시를 보는 틀은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다. 세계적인 지리학자이자 사회이론가인 데이비드 하비처럼 도시를 계급현상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비는 도시를 잉여 생산물이 사회적, 지리적으로 집적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거주 형태로 본다. 그런 그에게 도시화는 언제나 일종의 계급현상이다.

그런데 글을 쓰는 과정에서 관념적인 데에 경도(傾倒)되는 내 성향 때문에 힘들었다. 이와사부로 코소 이야기이다.

그는 도시를 거리의 꿈틀거림, 웅성거림, 시끌벅적함을 통해 춤을 추는 움직이는 신체 즉 유체(流體)로 정의한다.

또한 건축을, 건물을 세우고 도시를 구획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인 도시공간을 소유하지 않은 도시 민중이 자신의 역사, 문화, 지식을 자신들의 신체 안에 새겨 넣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이 부분을 절대시간, 절대공간을 상정한 뉴턴과 시공간의 관련성을 알린 아인슈타인의 차이, 세상을 고정불변의 실체로 보는 존재 중심 시각과 연대(連帶)와 연기(緣起)의 관점으로 보는 사건 중심 시각의 차이 등으로 설명하려 했었다.

하지만 주제에 맞지 않거나 논의가 추상적이면 과감하게 잘라야 한다. 그래서 외부란 용어가 자연계와 도시 이론에 다르게 적용되는 점을 부각시켰다.

자연과학에서는 외부로부터 물질과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계를 고립계 또는 폐쇄계로 정의하지만 도시론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 문제점들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자율진화도시라 말하는 것이다.

고립 또는 폐쇄와 자율은 함의가 완전히 다르다. 지난 19일 나는 ‘자율진화도시’전(展)이 열리는 서울시립미술관에 있었다. 이예승의 ‘초시공간(超視空間)‘이란 작품을 30분간이나 바라보았다.

나는 이를 면벽(面壁) 수도(修道) 같은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 생각 역시 나의 관념지향적인 벽(癖: 버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잠정적이지만 프랑스의 철학자 앙리 르페브르가 말한 도시권이란 말을 생각한다.

르페브르의 도시권이란 기존에 말해진 도시권보다 더 의미 있고 활기 넘치는 것이지만 생성과 만남의 여지가 있음은 물론 미지의 새로움을 끊임 없이 추구할 가능성이 봉쇄되지 않은, 갈등적이고 변증법적인 도시 생활을 할 권리를 말한다.

르페브르의 도시권을 생각하게 한 것은 어제의 내 분주한 행적(行蹟)이다.

아침 일곱 시 집을 나선 뒤 밤 11시 30분 집에 들어온 내 행적은 오전 동구릉(東九陵) 중 경릉(景陵; 헌종과 효현왕후 김씨, 효정왕후 홍씨의 능), 혜릉(惠陵: 단의왕후 심씨의 능), 숭릉(崇陵;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 순례, 오후 서울 시립 미술관에서 생각거리를 찾느라 면벽(面壁)하듯 시간 보내기, 저녁 ‘조선궁궐과 음양오행’ 프로그램 듣기로 채워졌다.

시간으로는 16 시간 30분을 밖에서 보내 피곤한 것이겠지만 피곤한 이유는 달리 있다.

1) 죽어 신(神)이 된 조선 왕들의 정원을 인간으로서 거닐었기 때문이고, 2) 미술관에서 주제를 찾느라 면벽하듯 한 작품 앞에서 30분 정도를 보냈기 때문이고, 3) 서울시립 미술관에서 ‘자율 진화 도시’ 프로그램 가운데 실제가 아닌 사진의 종묘, 봄, 여름, 가을의 종묘가 아닌 눈 내린 종묘 정전(正殿)을 보았기 때문이다.

종묘가 도시 진화 프로그램에 포함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다름이 아니라 건물이 설립된 뒤 여러 차례 증축되고 재건되었기 때문이다.

종묘는 각기 다른 시대에 증축되거나 재건된 탓에 지붕의 색과 질감 등이 단일하지 않다. 오음음계를 연상하게 한다고 할까?

어제 내가 보낸 아침, 오후, 저녁, 밤의 시간들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갈등적이고 변증법적인 시간들이었다. 결국 이 말로 다 정리할 수 있다. 피곤의 이유를.

새로움을 추구하는 탓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