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세자나 왕자의 돌상에 붓, , , 쌀 등과 함께 놓아 아기의 시선을 끌기 위한 용도로 쓰인 돌잡이용천자문이 있다. 쑥색 비단 표지에 빨강, 파랑, 노랑, 분홍, 초록, 하양 등으로 물들인 장지를 묶어내 당대 명필이었던 석봉 한호체를 쓴 화려한 천자문이다.

 

조선시대 국가의 서적 등을 보관, 관리했던 장서각(藏書閣)에 유일하게 전해지는 필사본이다.(2017110일 서울신문 기사 '조선 왕실은 왜 알록달록 천자문 만들었을까' 참고)

 

왕실에서 돌잡이를 처음 실시한 임금은 정조이다. 실록에는 정조(正祖)가 아들 이공(李玜; 순조)의 돌에 돌잡이를 하게 한 기록이 있다.

 

이공은 먼저 채색 실을 집고 다음으로는 화살과 악기를 집었다. 선집채선(先執綵線) 차제호시관현(次提弧矢管玄)이라는 원문이 재미 있다. 잡을 집()과 끌어 당길/ 손에 들 제()라는 단어를 썼기 때문이다.

 

그런데 돌잡이는 한문으로 무엇이라 할까? 목적어가 없는 단어여서 보는 입장에서는 난감하지만 만드는 입장은 달랐을까? 때 아니게 돌잡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집()과 제()처럼 집는(잡는) 것을 뜻하는 병(; 잡을 병)이란 단어를 통해 자연 및 만물을 대하는 시각이 사상이나 주의(主義)를 대하는 시각에도 그대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가령 18세기 말, 19세기 중반의 학자 유이좌(柳台佐; 1763 - 1837)는 병비염화(秉畀炎火)하듯 즉 벌레를 잡아 불에 태우듯 주자학에 해를 끼치는 해로운 책들은 불에 태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정조는 해충의 생명까지 소중히 여긴 마음으로 어떤 사람의 학술이 못나고 어긋나도 그 사람의 생명을 빼앗거나 책을 불태우는 극단적 처방을 삼갔다.

 

정조는 외형상 주자학의 독실한 계승자를 자처했지만 실제로는 주자의 협소한 생각의 틀을 확장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해 독창적인 자기만의 생각을 펼친 군주이다.('정조와 정조 이후' 77 페이지) 책을 태우는 곳의 사람들은 결국 사람을 태울 것이라는 시인 하이네의 말이 생각난다.

 

나치의 도시 게르마니아의 축과 맞닿은 운터덴린덴 가로변에 베벨광장이라는 곳이 있다. 꽤 넓지만 모두 비워져 있는 이곳의 한쪽에 사방 1m 남짓한 유리가 바닥에 놓여져 있고 그 안에 백색의 비어 있는 서가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1933년 괴벨스의 충동을 받은 소년 나치대원들이 유태계 지식인들의 책 2만권을 불태운 것을 기념하는 설치물이다.

 

프로이트, 레마르크, 하이네, 마르크스, 아인슈타인 등의 책들이 더러운 정신의 소산으로 지목당해 화형에 처해진 것인데 형체가 없어 소박하기 그지 없지만 대단히 큰 울림을 주는 이 기념비 앞에는 이것은 서주일 뿐이다. 책을 태우는 자들은 결국 인간까지 불태우게 된다.”는 하인리히 하이네의 글 하나가 동판 위에 새겨져 바닥에 놓여있다.(2015114일 경향신문 수록 승효상 글 책을 태우는 자는 인간까지 불태우게 된다발췌, 일부 수정)

 

'정조와 정조 이후'에 대해 말해야겠다. 이 책은 정조의 공과를 냉철히 분석한 책이다. 비판하는 사람이든 지지하는 사람이든 공히 불편할 책이다. 언급했듯 정조는 주자(朱子)와 송시열의 학문을 정학으로 존숭한 철저한 주자학자였지만 주자학의 독실한 계승자를 자처한 외형과 달리 실제로는 주자의 협소한 생각의 틀을 확장하거나 이탈하며 독창적인 자기만의 생각을 펼친 군주인가 하면 세도정치의 빌미를 제공한 군주이다.(‘정조와 정조 이후’ 77 페이지)

 

, 정조 시대 자체가 미스테리이다. 그 시대는 실학이 만개한 시대인 동시에 조선의 통치 이념인 유가 성리학이 집대성된 시기이기도 하다.(‘정조와 정조 이후’ 62 페이지) 정조는 주자학을 준신(遵信; 그대로 좇아서 믿는 것)하지 않았다. 더 많이 읽고 생각하고 고민할 군주가 정조이다.

 

다만 비판이든 지지든 역사와 소설의 경계를 오가는 접근법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나 자신에게 다짐하듯 말하고 싶다. 또한 '정조와 정조 이후'의 문제의식에 공감하는 것과 별개로 나 스스로의 문제의식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는 말도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서 쾨슬러는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세워진 소련의 1930년대 이후의 정치 상황을 비판적으로 그린 한낮의 어둠이라는 소설을 쓴 영국 소설가이자 비평가이다.

 

오래된 데다가 더 이상 새로운 생각거리를 주지 못하는 책들을 폐기처분할 때 몇몇 소설들을 남겨두었는데 그 중 한 권이 한낮의 어둠이다.

 

최근 정동 해설을 할 때 러시아 대사관도 이야기했는데 그것은 서울 중구(中區)를 소개하는 스마트폰 앱에도 포함되지 않은 러시아 대사관에 대한 연민(?)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 러시아를 무너뜨린 후 들어선 소련은 1991년 보수 세력의 쿠데타로 무너진다. 이로 인해 서울 주재 소련 대사관은 러시아 대사관으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다.

 

이 때문인지 고종(高宗)의 아관파천(俄館播遷)이 일어난 장소를 정동 공원 언덕 길의 러시아 공사관이 아닌 옛 배재고 자리에 들어선 러시아 대사관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가 소련과 수교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이다. 아관파천은 1896년에 일어난 사건이다.

 

러시아 대사관은 우리에게도 관련이 있다. 김원 건축가가 설계한 건물이기 때문이다.

 

2010년 후마니타스에서 나온 한낮의 어둠을 통해 만난 쾨슬러를 다시 만난 것은 그 다음 해이다.

 

체코의 정신의학자인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의 코스믹 게임을 통해서였다.

 

그로프는 쾨슬러는 전체인 동시에 부분이라는 사실을 반영하는 우주 속 만물을 뜻하는 홀론(holon)이라는 말을 만들어낸 트랜스퍼스널(초개인적) 심리학자라는 말을 했다.

 

쾨슬러에 대한 관심은 '멋진 신세계'의 작가 올더스 헉슬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헉슬리는 환각 체험으로 유명한 작가이자 문명 비판가이다.

 

헉슬리는 자신의 환각 체험을 인식의 문(Doors of Perception)'이란 말로 설명했다. 이 책 제목으로부터 짐 모리슨이 리더였던 록 그룹 도어즈(Doors)의 이름이 유래했다.

 

아서 쾨슬러에서 홀론, 러시아 대사관, 헉슬리, 그룹 도어즈까지 두루 꿰는 것을 일이관지(一以貫之)라 할 수 있을까? 미륜(彌綸) 즉 잇고 꿰는 것이라 말할 수 있을까?

 

한 나무 전문가가 최근 쓴 책에서 수이관지(樹以貫之)란 표현을 썼다. 나무로 만물을 꿰어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흥미롭다. 나는 문화해설로 만물을 잇고 꿰는지도 모른다. 억견(臆見) 없이 비약도 없이 자연스럽게 그렇게 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현 상황(status quo)은 부족하다고 말할 수조차 없다’.. 아침 단톡방에 오른 동학(同學)의 이런 글을 읽고 한 과학자의 책을 펴보았다.

 

자신이 가르치는 제자의 논문을 보고 이건 틀렸다고 말할 수조차 없는(not even wrong) 지경이라고 한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를 소개한 책이다. 지나친 것일까?

 

입자물리학자이자 실험물리학자인 리온 레더먼은 틀렸다고 말할 수조차 없는이라는 파울리의 말을 역사에 길이 남을 명언이라고 말했다.

 

파울리는 어떤 박사후 과정 연구원에게는 생각하는 속도가 느린 것은 괜찮다. 문제는 자네의 생각보다 논문 쓰는 속도가 더 빠른 것이라는 말도 했다.

 

생각이 여물지 않은 상태로 섣부르게 쓰는 것이 문제란 의미일까? 파울리가 아인슈타인에게 자신의 제자를 추천하며 쓴 편지도 길이 남을 글로 보인다.

 

독설이라기보다 심기를 긁는 글이 아닌가 싶은데 그것은 이 학생은 제법 똑똑하긴 하지만 수학과 물리학의 차이를 잘 구별하지 못합니다. 선생님께서도 그렇게 되신 지 꽤 오래이시니 잘 보듬어 주시리라

믿습니다.’란 글이다.(‘신의 입자참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내 주된 심성이지만 나의 그런 점이 부끄러움을 중요시한 맹자의 수준에 미치지는 못함은 당연하다.

 

맹자는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기에 가깝다고 가르쳤다. 중요한 것은 용기를 학문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부끄러워하는 것만으로는 별 의미가 없다. 최근 나는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을 대단히 싫어하면서도 주자와 송시열의 학문을 정학(正學)으로 존숭한 철저한 주자학자”(‘정조와 정조 이후’ 55 페이지) 정조(正祖)를 좋아했다는 사실에 부끄러움이기보다 충격을 느꼈다.

 

정조만이 아니라 어떤 대상이든 좋아할 수도 있고 싫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면에 초점을 둘지는 본인의 재량에 달려 있다. 역사학자라도 정조의 모든 면을 두루 고려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정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학문적 정체성을 생각하지 않고 개혁 군주로 알려진 그의 정치적 성향에 초점을 두어온 것이 나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정조의 정치적 성향 역시 세도(勢道) 정치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문제적이다.

 

정조는 다산(茶山)과 비교되곤 한다. 정조는 마땅히 조선에 맞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다산은 명말 청초의 실증적인 학풍 그리고 더 나아가 서양의 신학문까지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할 만큼 자유로웠다.

 

내가 문제 삼는 것은 정조의 어떤 점이 아니라 그에 대한 내 생각이다. 데이비드 보더니스는 아인슈타인 일생 최대의 실수라는 책에서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은 천재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라는 말을 했다.

 

천재와 거리가 멀기에 단언할 수 없지만 일리가 있는 말이라 생각한다. 실수로부터 배워 새롭게 도약하는 것은 지식의 양()과 질()의 문제이지만 적극적으로 배우고 고치겠다는 의지의 문제, 세계관의 문제이기도 하다.

 

물론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 그리고 명석(明晳: 분명하고 똑똑)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부끄러움을 덜 느끼기 위해서 열심히 살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종로의 한 커피 전문점에서 크림 애벌랜치(cream avalanche)란 단어로 설명된 아이스크림 사진을 보았다. 달콤하고 화려한 아이스크림이 넘칠 듯 그릇 위에 담긴 그 사진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그대의 무너지는 소리 듣는다/ 눈 그친 겨울 아침, 빈 들로 밀려오는/ 그대 발자국 소리 듣는다..”

 

염명순 시인은 눈사태란 시를 이렇게 풀어갔다. 언젠가 나는 이 시를 인용하며 그대를 중의적(重意的)으로 즉 무너지는 주체가 눈만이 아니라 사람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글을 썼다.

 

애벌랜치에는 사태(沙汰), 산사태란 뜻이 있다. 나는 희생양 생각도 했다. “희생양은 죄가 없는 것도 있는 것도 아니다. 산사람이 멋모르고 한 번 외쳐댄 후 눈사태가 나는 경우처럼 그는 자신이 저지른 짓 이상으로 큰 재난을 만나기에 무죄이지만 피할 수 없는 불의가 존재의 일부인 세상에 살기에 유죄다.” 캐나다의 비평가 노드롭 프라이가 한 말이다.

 

쇄도(殺到)란 말은 어떤가? 달콤한 크림을 보는 사람의 뇌에 쓰나미처럼 쇄도하는(몰려드는) 기억. 사람들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기원한 프루스트 효과를 논한다. 프루스트 효과란 냄새가 오래도록 잊고 있던 기억을 되살려주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냄새를 맡는 것은 자전적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데 유효하지만 서술기억을 되살리는 데는 별 효과가 없다.(존 메디나 지음 브레인 룰스참고) 서술기억은 두 가지 이상의 개념들의 관계가 명제 형태로 저장된 기억이다. 자전적 기억은 특정 상황의 내용에 대한 장기 기억을 말한다.

 

박문호 교수는 기억을 절차 기억, 신념 기억, 학습 기억 등으로 나눈다. 오픈 시스템(유연한 사고)을 가진 사람들은 학습 기억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신념 기억은 종교적 또는 정치적 믿음이다. 신념 기억은 방향이 잘못되면 문제를 일으킨다.(’, 생각의 출현‘ 478, 479 페이지)

 

신념 기억은 경직(硬直)을 특징으로 한다. 새로운 것을 보고도 놀라지 않고 의문을 갖지도 않는다. 이는 정확히 창의적인 사람과 반대되는 특징이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의문을 많이 품는다. 흥미를 끄는 새로운 사건이나 개념에 반응하는 경이(驚異)의 사람이다.

 

그들은 감정적으로 섬세하고 신체적으로 민감하다. 나는 어떤가. 경이는 자신하지 못하지만 쉼 없이 만나는 새로운 것들에 궁금증과 호기심을 갖는 점에서는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근대를 미술관의 시대라 표현한, 루브르 박물관 수석 관장을 지낸 제르망 바쟁은 2차 세계 대전 중 일화를 이렇게 소개한다.

 

프랑스에서 패주하던 독일 병사들까지 가던 길을 멈추고 한 번 보게 해달라고 애원한 그림이 모나리자였다고.(이때 바쟁은 루브르의 큐레이터였다. 그는 미술관을 시간이 중지된 듯한 사원(寺院)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바쟁이 말한 독일 패주병(敗走兵)들은 절정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이다.

 

바쟁은 회화의 표면 전체를 천천히 훑어볼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캐롤 던컨 지음 미술관이라는 환상참고) 이렇게 미술품을 천천히 훑어볼 수 있는 눈이 내게 필요하다. 꼭 미술품에 대해서만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개념에 대해, 사건에 대해 그래야 한다. 그것이 창의성의 시작점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주와 포천은 내가 사는 연천(漣川)과 접경(接境)하는 지자체들이다. 접경 시()인 파주에 사시는 최동군 작가께서 올린 글과 고현희 선생님께서 링크한 또 다른 접경 시()인 포천에 관한 글을 보며 많은 생각을 했다.

 

최동군 작가님의 글은 파주 지역에 거주하면서 파주의 역사, 고전, 문화, 인문학에 관심 있는 몇몇 사람들이 스터디 모임을 만들었다는 글이고, 고 선생님께서 링크하신 글은 포천시립 소흘 도서관에서 진행한 인문학 기행 소식을 알리는 글이다.

 

경북 영주의 부석사와 소수서원에서의 최근 프로그램에서 강연자인 김현철 님은 자신의 행동준칙을 타인 위함에 두고, 다독을 하면 인생 후반부가 빛나게 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다는 말을 했다.

 

부러운 모임이고 인상적인 기행이자 말이다. 나는 잠시 나를 돌아보게 되는데 어쩌다(?) 조선 궁궐과 조선 왕릉, 유교 등을 공부하고 있지만 고려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리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같은 군()에 속해 있지만 거리가 꽤 먼 미산면 숭의전지에서 제 8회 연천 고려문화제가 열린다.(이번 주 토요일: 1021) 미산면은 고려 태조를 비롯한 7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숭의전(崇義殿)이 있는 곳이다.

 

선사 박물관과 구석기 유적지가 있는 같은 군끼리인 전곡에서 미산까지보다 미산에서 다른 시인 파주가 더 가까운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파주의 심부(深部)와는 사정이 다를 것이다.

 

연천 고려문화제가 열리는 미산면이 가깝다면 나는 어땠을까? 지금까지 구석기 축제에 고작 한 번 간, 그리고 선사박물관은 한 번도 가지 않은 내 습()을 고려하면 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나는 조선과 깊은 관계를 갖는 서울은 멀기 때문에 좋아하고 빠진 것인가? 그것은 아니겠지만 묘한 마음이 든다. 그제 정동 해설에서 나는 이 세계 밖이라면 어디든이라고 말했던 시인 보들레르의 습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무언가가 몸에 익은 것 즉 습()은 무언가에 빠져 들고 젖어드는 것이니 젖을 습()이라 해도 될지 모르겠다. 어떻든 자연을 산책한 몽상가인 18세기 루소와 함께 이야기한 19세기의 보들레르는 유행의 물결과 도시의 거리를 걸은 몽상가였다.(김상환 지음 해체론 시대의 철학’ 359 페이지) 해설은 걷기이며, 걷기는 몽상이란 생각이 든다.

 

(꼭 유교 국가여서는 아니지만) 내가 조선에 약산성의 양가감정을 갖는 것은 리()는 유교 형이상학(:)이 불교의 공()을 보고 만든 형이상학적 개념이라는 말을 들은 것과도 연관이 있다.

 

그리고 또 하나 정조와 정조 이후를 통해 다시 정조를 문제시하는 책을 접하게 되면서부터이다. 더 읽어야겠지만 정조와 정조 이후는 세도(勢道) 정치의 책임은 정조라고 주장하는 책이다.

 

(관념적인) ‘주희(朱熹)에서 (실학적인) 정약용(丁若鏞)으로를 슬로건으로 삼았지만 정약용에서 주희로를 생각할 때가 되었다는 한형조 교수의 말이 조금 이해되는 듯 싶다. 나의 양가감정은 자료를 보는 방식의 차이로 나타난다. 동기들은 역사 자료를 그대로 원용(援用)하지만 나는 다르게 쓴다.

 

창덕궁 금천교(錦川橋)의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홍예(虹蜺)를 설명할 때 대칭인 나비 날개 사진을 보여준 것이 한 예이다. 생물학의 중간 화석과 제논의 역설을 연결지어 설명해 한 자연과학자로부터 참신하다는 말을 들은 부분은 설명이 길어지고 재미없을 듯 해 생략...

 

그나저나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