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잠실의 모 장로교회 목사님께서는 자신의 교회 성도들은 모두 땅만 바라본다는 말씀을 하셨다. 그것은 그분들이 겸손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안타깝지만 영혼이라도 끌어모아 부동산에 투자해 돈을 버는 데만 온통 집중한다는 의미다. 목사님은 자신이 성도들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라 하셨다. 우리시대의 불가항력적인 흐름을 말씀하신 것이라 하겠다.

 

목사님의 말씀 중 흘려들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이스라엘 사람들이 땅(영토)이 없을 때 하나님을 잘 믿었다는 말씀이다. 그렇다면 이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태에서는 신앙이 죽는다는 의미일 수 있겠다. 목사님은 도시 신학을 전공하신 분이다. 전공이란 말을 쓰고 싶지 않지만 쓰는 것은 차별이 아니라 구별을 위해서다.

 

어떻든 도시 신학이란 친숙하기도 하고 막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직접 책을 읽어야겠다. 도시의 특성을 이야기할 때 건축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 우선 건축가들의 생각으로부터 단서를 길어 올릴 필요가 있다. 최근 "공대생이니 생태적 실체를 한 번 더 봅니다."라는 말에서 깊은 울림을 경험했다. 시인 이상(李箱)처럼 건축과 관련한 분의 말이다.

 

이상 시인은 김상옥(金相玉; 1890 - 1923) 의사(義士)의 최후를 목격한 친구 구본웅의 영향을 받아 제비라는 이름의 다방을 운영했다.(제비는 김상옥 의사의 별명이었다. 제비처럼 날쌔고 신출귀몰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럼에도 여전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이상 시인에게 비상 충동이 있었다는 점이다.

 

철학자 김영민 교수는 연(鳶)은 자신의 초창기 초월의식의 가장 확실한 지표라는 말을 했다.('신 없는 구원 신 앞의 철학' 171 페이지) 비상(飛翔)도 좋고 초월(超越)도 좋지만 나는 도약(跳躍)할 것이라 말하고 싶다. 우선 이 두통을 떨치고 어디로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街玭.. 街가 거리 가라는 글자인 것은 누구나 아는 바일 것입니다. 그러면 玭는 어떨까요? 음이 비인가, 빈인가가 먼저 해명되어야 할 듯 합니다. 답은 빈입니다. 구슬 이름 빈이란 글자입니다. 정자 정(亭)자 만큼 거리 가(街)자도 이름에 쓰기에는 독특한 듯 합니다. 그럼 왜 빈(玭)이란 글자를 썼을까요? 빈(玭)을 파자(破字)하면 왕(王) + 비(比)가 되지요. 왕비(王妃)를 의미하는 글자로 쓴 것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로교 교리는 튤립 교리를 근간(根幹)으로 한다. 꽃의 하나인 튤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나는 튤립 교리가 인간의 속성에 모두 들어맞지는 않지만 장로교회 뿐 아니라 기독교인 일반의 속성에 대체로 맞는다고 생각한다. 전적 타락은 장로교의 출발점으로 에덴동산에서의 불순종으로 빚어진 결과를 의미한다.)

 

1) 전적인 타락, 2) 하나님의 무조건적 성도 선택, 3) 제한 속죄, 4) 저항할 수 없는 은혜, 5) 성도의 견인 등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들의 머릿 글자들을 따서 TULIP이라 부르는 것이다. Total Deprevity(전적 타락), Unconditional Election(무조건적 선택), Limited atonement(제한적 속죄), Irresistible grace(저항할 수 없는 은혜), Perseverance of the saints(성도의 견인) 등이다.

 

나는 I 하나를 추가해 TULIIP 교리를 말하고 싶다. 그것은 Irrational Exuberance(비이성적 과열)이다. 코로나 확산 사태를 보면 알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남동에 자리한 라이너노트라는 음악 책 전문 서점을 티브이로 보았지요.(라이너노트; 음반 해설지) 대표는 박미리새라는 시크한 이름을 가진 여자 분이지요. 미리내(은하수)를 배경으로 해 새가 날아가는 태몽에서 비롯된 실재 이름이라네요.

 

오늘 조류학자(ornithologist)의 심정으로 사실상 첫 탐조(探鳥)길에 오르는, 그리고 서울 해설 코스를 구상하는 제게 영감으로 다가오는 동네고 서점이고 이름이네요. 어제 박씨 성을 가진 영민한 여자 영어 강사 분과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었는데(꿈 작업에 속하는 응축과 치환을 이야기하기도 했지요.)...

 

오늘 아침 같은 박씨 성을 가진 세련되고 이지적인 분을 보게 되어 행복하네요. 참고로 피곤 탓인지 어제 저는 꿈을 꾸지 않았습니다. 꾸었는데 새가 나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꿈 자체가 없었던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북 길상사(吉祥寺), 종로 대각사(大覺寺), 파주 보광사(普光寺), 경주 불국사(佛國寺), 화성 용주사(龍珠寺), 영월 법흥사(法興寺)...지금껏 해설한 여섯 사찰이다. 종로 청룡사(靑龍寺)를 해보고 싶다. 허경(虛鏡) 스님이 수행하다 82세로 입적한 동망산 자락의 사찰이다. 시누이의 시댁(해주 정씨의 남양주 진전읍)에 묻힌 비운의 인물이다.

 

조카(시누이의 아들) 정미수(鄭眉壽)의 간청을 받아 그를 시양자(侍養子)로 삼은 것이 그나마 아름답고 마음 훈훈하게 다가온다. 허경 스님이 시누이의 시댁의 선산에 묻힌 것 역시 정미수의 덕이었다.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이 분이 궁에서 나올 때 따라나온 여인들 모두 스님이 되었다.

 

아버지 신수근(愼守勤)이 반정 세력편에 서지 않고 연산군편에 섰다는 이유로 왕비 자리에서 쫓겨난 중종 원비 단경왕후 신씨가 연산군의 비였기에 쫓겨난 고모 폐비 신씨를 친정에서 만난 장면을 연상하게 한다. 지난 번 영월 시간에는 청룡사 이야기를 하지 못했다. 정순왕후가 궁에서 나올 때 따라나온 후궁 권씨는 허경(努鏡)이라는 법명을 부여받았다고 한다. ’努’가 허로도 읽히는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