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첫봄

    박고경

 

땅바닥을

텅!

내려 디디면

 

물숙하니

들어가는

힘나는 첫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멍멍의사 선생님 - 3~8세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44
배빗 콜 지음 / 보림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로 교육적인 책입니다. 이래라 저래라 하는 엄마의 말 열 마디보다 이 책 한 번 읽어주는 편이 훨씬 낫답니다. 손 안 씻는 아이들, 담배 피우는 아이들, 감기 걸린 아이들, 머리 안 감으려고 하는 아이들, 이유 없이 어지러운 아이들, 맥주 좋아하시는 어른들까지 모두 이 책이 필요하답니다. 편도선이 부었을 때 진짜 수술도 하는지는 좀 궁금하군요?

어쨌거나 아이들은 책도 읽고 건강 상식도 배우게 되지요. 우리 딸은 우리집에도 이런 강아지 한 마리 있었으면 좋겠다네요. 같이 살면 굉장히 재미있을 것 같대요. 무슨 병이든지 낫게 해주는 멍멍 선생님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도 있답니다.

동생이 코피가 자주 나는데 왜 그런지 궁금하대요. 멍멍 의사 선생님이라면 틀림없이 고쳐줄 거라나요. 그리고 자기의 아토피 피부도 고쳐 달라고 하고 싶대요. 자기는 불량 식품도 거의 안 먹는데 피부가 안 예뻐서 속상하다는군요.

엄마는 왜 만날 피곤하다고 하면서도 열심히 장난감을 정리하는지 모르겠대요. 그냥 놔두면 또 놀 건데 말이에요. 그러니까 병이래요. 쉬는 날이면 늘 잠만 주무시는 아빠도 멍멍 의사 선생님의 처방이 필요하답니다. 아빠를 깨워서 함께 자전거를 타러 가고 싶은데  아빠의 말처럼 "조금 있다" 보면 어두워지거든요.

멍멍 선생이 검보일 씨 가족의 병을 모두 고쳐주고 자기도 병이 난 게 재미있네요. 의사들은 생전 병에 안 걸릴 것 같은데 말이에요. 덩치는 커다란데 강아지 의사 선생한테 꼼짝 못하는 검보일 씨 가족이 너무 웃겨요. 또한 유머 가득한 그림이 구석구석 숨어 있어 아이들을 무지 즐겁게 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 엄마 이름

        송 년 식

 

사람들은 엄마를

"삼백일호 아줌마!"

이렇게 부른다.

 

아빠도 엄마를

"어이, 이봐!"

할머니도 엄마를

"에미야! 또는 "아가야!"

이렇게 부른다.

 

이상하다. 마 이름은

박 , 순 자, 기 자인데

내 친구 어마도

"준호 엄마!"

이렇게 부른다.

 

사람들은 우리 엄마 이름을

모르나 보다.

 

설마, 아빠도 모르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 속에서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8
김재홍 그림 / 길벗어린이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젠 봄이다. 겨울 내내 우중충한 무채색에 둘러싸여 있다 보면 초록이 그리워진다. 그래서 겨울을 보내며 이 책을 여러 번 읽었던 것 같다. 시원한 숲속 그림의 초록색 표지부터가 눈길을 잡아 끈다. 첫장을 펼치면 어디선가 본 듯한 장면이 나온다.  바로 내가 자란 시골 마을 풍경 한 자락을 보는 것 같다.

서울서 내려온 샘이는 냇가에서 노는 동네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그냥 집으로 돌아온다. 마당에 앉아 그림을 그리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진다. 비가 그쳐도 오시지 않는 엄마 아빠를 마중 나가던 샘이가 새소리를 듣고 숲속으로 발길을 옮긴다. 넘어지기도 하면서 새를 찾아다니다 만난 동네 아이들과 하하 호호 웃는 친구가 된다.

친정에 가면 일부러 내가 다녔던 초등 학교 근처에 가보기도 한다. 예쁘게 꾸며놓은 모습이 예전과 많이 다르지만 어쩐지 썰렁하다. 아이들이 없어서 그런 느낌이 드는 것 같다. 내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면내에 초등 학교가 여섯 개였는데 지금은 다 폐교되고 하나만 남았다고 한다. 그나마 한 해 입학하는 아이들도 몇 명 안 되고. 그만큼 지금 우리의 시골엔 아이들이 없다.

아이들이 없으니 냇가에서 웃통 벗고 멱을 감거나 물고기 잡는 모습은 눈 씻고 봐도 찾을 수가 없다. 옛 시골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던 이런 풍경은 식물원이나 동물원에서 만나는 것들과는 느낌이 다르다. 잊고 싶지 않지만 잊혀져 가는 것들을 예쁜 그림책으로 만들어주신 김재홍 님의 정성이 느껴지는 책이다.

책을 읽는 재미 외에도 숨은 그림 찾기를 할 수 있다. 숲속 여기저기 숨어 있는 동물과 곤충들을 찾다 보면 어느새 시간이 훌쩍 가곤 한다. 여자 아이가 주인공이라서 여자 아이들도 좋아하고, 숨은 그림 찾기 하는 재미에 남자 아이들도 좋아한다. 책을 읽고 나면 아이들 손 잡고 숲속을 찾아 나서고 싶어진다.

과천 현대 미술관에 가면 김재홍 님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한 번 들러 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에는 괴물이 우글우글 보림 창작 그림책
이혜리 그림, 홍인순 글 / 보림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에게 혼난 아들 녀석이 방으로 들어가더니 조용하네요. 주방에 서 있는데 뒤통수가 끈적끈적해서 살짝 돌아보니 이 녀석 이불 하나를 뒤집어쓰고 살금살금 기어오고 있군요. 필시 엄마의 눈을 피해 장난감 방으로 가려는 게 확실합니다. 모르는 척 놓아두었더니 엄마를 감쪽같이 속였다는 만족감에 킥킥대는 소리가 장난감 방에서 들려옵니다.

솔직히 말하면 아들이 이불을 뒤집어쓰고 괴물로 변신할 때마다 소리를 지르고 싶은 걸 참는답니다. 잘 개어놓은 지 10분도 안 된 이불을 끌고 나올 땐 심호흡을 한 번 합니다. 이불 하나로 너무 즐거워하니까 엄마가 이불 한번 더 개지 뭐 하고 말이에요.  이 책을 읽은 후 아들 녀석의 괴물 변신은 좀더 잦아졌습니다.

강이네 식구들 표정이 정말 재미 있어요. 식구들이 모두 괴물이 된 걸 보면 괴물 눈엔 모두 괴물로 보이는 모양이에요. 이불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엄마로부터 달아날 수 있는 아이들, 정말 행복한 존재들입니다. 이 책은 아이들이 이불을 뒤집어쓰고 괴물이 되는 걸 용납할 수 있는 엄마들에겐 아주 훌륭한 놀이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