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 국어교사가 보는 노무현 / 김명희


국어 교사로서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배울 점 10가지,

1. 말을 쉽게 한다.

2. 말을 편안하게 한다.

3. 솔직하게 말한다.  

4. 목소리에 힘이 있다.  

5. 발음이 정확하다.   

6. 시작(주어)과 끝(서술어)이 명확하다.

7. 말에 군더더기나 군소리가 없다.

8. 말의 요점이 분명하다.

9. 되묻게 하지 않는다.

10. 모든 사람에게 말하게 한다.

역대 대통령들 중 노무현 전 대통령만큼 정확하고 분명한 언어 구사를 한 지도자도 없을 것이다. 국어교사 중에도 이 정도 건강한 목소리에, 자음과 모음을 끝까지 소리 내는 완벽한 발음에, ‘누가, 무엇을, 어찌하였다’는 주성분을 갖춘 깔끔한 문장으로 말하는 사람은 드물다. 이분의 말씀을 받아 적으면 그대로 완벽한 문장이 된다.

건국 이래 우리말을 틀리게 써도 그다지 부끄러운 마음이 들지 않게 만든 대통령들이 퍽 많지만, 그중에서도 으뜸가는 이는 단연코 김영삼 대통령일 것이다. 바스스 부서지는 듯한 거북한 음색은 관두고라도, ‘ㅑ, ㅠ, ㅘ, ㅝ…’ 같은 겹모음 발음을 못해 엉뚱한 말로 전해져 쓴웃음을 짓게 한 일화는 너무도 많다. 그뿐이랴. ‘ㅁ, ㅂ, ㅍ’ 같은 소리는 원래가 두 입술이 만나야 나는 소리이거늘, 도무지 입술이 모아지지를 않으니 제대로 소리가 날 턱이 없다. 언어로써 우리를 존중하지 않은 대통령들을 생각하면 몹시 자존심 상하고 기분이 안 좋다.

아, 우리는 그동안 얼마나 명령과 지배가 창궐하는 권위와 독재에 길들여져 있었던가. 노무현 대통령 임기 중 이 땅에 토론문화가 얼마나 꽃피었던지 기억하는가. 티브이만 켜면 여럿이 둘러앉아 끝도 없이 토론하는 프로그램이 얼마나 많았는지 나는 또렷이 기억하고 있다. 절로 귀를 기울이고, 공감하며, 의문을 가지고, 분노하며, 생각을 모아가고… 그렇게 우리는 참 똑똑해져 갔다. 말문을 열어 놓았으니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사람이 없었다. 상투 튼 할아버지도 호주법 폐지를 반대하는 데모를 하러 길거리로 나오셨으니 가히 입 가진 자는 죄다 말하는 세상이 아니었던가.

그리고는 급기야 그 입으로 자기 입을 열게 한 사람, 바로 대통령을 제일 먼저 공격하였다. 글 가르쳐 놓으면 제일 먼저 ‘선생님 바보!’라 낙서를 해 대는 아이들처럼 대통령을 탄핵하는 ‘말’의 자유와 민주를 가져온 이도 다름 아닌 노무현 대통령 자신이었다.

곧 있을 듣기 수행평가에 그의 한글날 기념사를 들려주며, 품격 있는 모국어를 감상하며 그를 그리워할 것이다. 경북 안동 복주여중 교사


출처 : http://www.hani.co.kr/arti/opinion/readercolumn/359890.html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나무집 2009-06-14 1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 사는 세상 봉하 마을>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전호인 2009-06-15 1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3번 때문에 그 님을 더욱 좋아했습니다.
권위와 소통부재의 문화를 자유와 소통되는 문화로 바꾸어 놓으셨으니까.
대통령도 사람인 데 하는 말에 억지의 잣대를 들이밀어 품위를 따지고 등급을 메기는 이 땅의 꼴통 언론들에게 무한한 적개심을 나타낸 것도 그때였습니다.

소나무집 2009-06-16 21:57   좋아요 0 | URL
당신들이 정말 너무 싫다고... 그렇게 살지 말라고 표현을 하고 싶은데 시골 한량으로 사는 아줌마가 특별히 할 수 있는 일이 없네요.
 

일요일 오후 밖에 나갔던 남편이 못 보던 자전거를 빌려 타고 들어왔다. 이름하야 mb가 저탄소 녹색 성장 어쩌구 하면서 국민들 앞에서 타라며 시승식을 했던 바로 그 전기 자전거였다. 행정 업무용으로까지 채택된 자전거라지만 도로 사정 무지 안 좋은 우리 동네에서는 창고에서 주무셔야 할 듯. 

그래도 처음 보는 물건이라고 온 식구가 공원에 나가서 한 번씩 돌아가면서 타봤다.


딸아이의 자전거랑 비교하니 우선 길이가 길다. 페달이 아닌 원동기를 조절해서 달려갈 때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덜컥 겁이 나기도 했는데, 딸아이는 자전거 경주에 나가면 무조건 일등하겠다며 좋아했다. 


 중간에 달려 있는 저 네모난 박스의 정체는 배터리인데 무게가 장난이 아니다. 페달로 가거나 끌고 갈 때는 무거워서 낑낑 소리가 나왔다. 배터리 무게만 20킬로그램이 넘는다고 하니 밥 굶은 사람은 끌고도 못 가겠다.  

전기로 충전해서 쓰는 배터리는 영구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다 닳으면 교체해야 하는데 그 가격이 보통 자전거 한 대 값이라구... mb는 공기 오염이 없고 연료비가 싸다면서 이걸 타라고 권했다는데 배터리 한개 값이 얼마인지는 알고나 한 소린지... 그리고 말이지 전기 충전할 때 쓰는 에너지는 에너지 아니고 뭐라나...  

나 같은 사람은 섣불리 선택할 수 있는 자전거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오는구만. 결국 돈 있는 사람들이나 타는 저탄소 녹색 성장이라는 얘긴데... 글쎄, 돈 있는 그네들이 얼마나 자전거 타고 다니며 저탄소 녹색 성장에 기여할지 알 수가 없군. 진심으로 자전거를 좋아해서 자전거 타고 봉하마을을 누볐던 어른이 생각나네. 

   오른쪽 핸들은 시동 거는 역할. 안쪽으로 살짝 돌려주면 페달을 안 밟아도 소리없이 죽~ 미끄러져 나가서 처음에 깜짝 놀랐다. 운전하는 중에도 적당하게 계속 안쪽으로 돌려주는 기술이 필요할 듯. 

페달을 안 밟아도 되니 언덕을 올라갈 때나 먼 거리를 여행할 때는 힘이 안 들어서 좋겠지만 운동은 하나도 안 될 듯. 동네에서 가족끼리 자전거 타는 재미를 즐기는 우리 가족에겐 또 안 맞는 물건이로고...  

  946,000원짜리 전기 자전거를 타본 후 우리 가족이 내린 결론. 15만원짜리 자전거도 잃어버릴까 봐 12층까지 끌고 와서 현관 앞에 매달아놓는데 저거 잃어버리면 한 재산 날라간다. 우린 에너지 하나도 안 들이고 운동도 할 수 있는 15만원짜리 삼천리 자전거 타자!  아그들아, 그게 바로 저탄소 녹색 성장이란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ookJourney 2009-06-08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자전거에서 내려서 (자전거를 끌고) 걸어가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는데, 저 전기자전거는 끌고 가기에 좀 무거울 것 같아요. 비싸서 살 엄두도 안 내겠지만 말이에요. ^^

소나무집 2009-06-09 12:22   좋아요 0 | URL
좀 무겁고요, 아이들은 타다가 속도 조절이 안 되면 위험할 수도 있겠더라구요.

무스탕 2009-06-08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 정말 저 정도의 가격이면 감히 엄두를 못내겠네요..
그래도 한번쯤은 타보고 싶어요. 힘들이지 않고 언덕을 올라갈수 있다니 좋은점은 분명 있네요. ㅎㅎㅎ

소나무집 2009-06-09 12:23   좋아요 0 | URL
페달을 안 밟아도 간다는 게 신기했고, 언덕 올라갈 때가 제일 좋긴 했어요. 다리에 근육 생길 일 전혀 없어서...

프레이야 2009-06-08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게 전기자전거에요? 너무 무거워보여요. 비싸기도 하구요.
자전거는 역시 두 다리로 낑낑 밀고 나아가는 게 맛이죠.^^

소나무집 2009-06-09 12:24   좋아요 0 | URL
전기 자전라고 해서 신기하다 싶었는데 뭐 사서까지 타고 싶다는 마음은 전혀 안 들었어요. 946,000원도 장난이 아니구요.

마노아 2009-06-08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형적인 탁상행정이군요. 어휴...;;;

소나무집 2009-06-12 12:07   좋아요 0 | URL
저걸 공공 기관마다 두 대씩 다 들여놓으라고 했다네요. 남편 회사에서 산 것만 50대래요. 우리 남편 사무실 이야기 절대 하지 말라고... 추적 들어올까 겁난대요. 명박이 하고도 남을 짓이라는 생각에 처음에 썼던 사무실 이야기 다 수정했다는 거 아닙니까... 누군가 로비를 하고 돈 번 사람 따로 있고 뭐 그런 그림들이 그려지네요.

하늘바람 2009-06-09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하지만 저도 타보고 싶긴 하네요

소나무집 2009-06-09 12:28   좋아요 0 | URL
신기한 마음에 한 번쯤 타보고 싶었는데 별 거 아니었어요. 남편은 스쿠터 타는 기분이래요.

BRINY 2009-07-14 1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게 94만6천원이나 해요? 그 후에 전기값도 많이 들거같고...에구...
 


창비가 교육 출판 사업을 시작합니다


21세기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일까요?   

우리 아이들의 삶을 더욱 자유롭고 풍요롭게 하고, 

 내일의 꿈을 실현해 가는 데 든든한 기초를 놓는 일일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의 큰 길에 이제 창비가 온 역량을 모아 참여하고자 합니다.
 

교육 출판은 ‘출판’의 한 영역이라는 점에서 지난 40여 년간 창비가 일궈 온  

출판 사업의 한 부분이지만, ‘교육’이라는 면에서는 초심으로 열과 성을 다해  

새롭게 개척해야 할 분야입니다. 그동안의 창비 사업이 그랬듯이,  

이 사업도 창비 안팎의 의지와 공력을 모아 정성스레 추진해야만  

아름다운 꽃을 피워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자들로부터 가장 신뢰받는 출판사로 꼽힌 창비의 명성에 걸맞게 희망을 드리겠습니다.  

우리 교육의 미래를 생각하며 애써 온 분들의 뜻을 새겨,  

새로운 길을 마다하지 않고 성심껏 개척하겠습니다.


중고교 현장에서는 2010년부터 순차적으로 새로운 교과서를 사용하게 됩니다.  

창비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먼저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개발하였습니다. 


2009년 여름 창비 교과서를 채택해 2010년 신학기부터 창비가 공들여 개발한  

국어 교과서로 가르치실 수 있습니다.  

창비의 교과서 집필진과 편집팀은 교과서를 개발하면서  

전국의 국어 선생님들을 찾아가 만났습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최대한 듣고,  

40여 년간 쌓아 온 출판 역량을 모두 쏟아 부었습니다. 


수준 높은 교과서로 공부해야 하는 것은 우리 아이들의 권리이고,  

기성 세대의 당연한 의무입니다.  

교육 주체인 학생과 교사, 학부모가 모두 만족하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창비는 더 생각하고 발로 뛰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행 가기 전에 아들 녀석이 발뒤꿈치뼈에 금이 가서 3주 넘게 깁스를 하고 다녔다. 여행 다녀와서 통장을 찍어보니 두 보험사에서 30만원씩 입금시켜놓았다. 그동안 넣은 원금 생각은 안 하고 어째 공돈 같다. 병원비 10만원 정도 들어간 것 빼고 50만원이 남는다. 

아이 때문에 생긴 돈이니 책을 안 사줄 수가 없어 몇 권 골라 보았다. 아들 땜시 생긴 돈인데 책은 5학년 딸아이 기준이다. 다른 책은 다 성공인데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는 글씨가 작아서 아이들이 보려면 좀 기다려야 할 듯.  해리포터 시리즈는 딸아이 중간 고사 올백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봉하 마을에서의 노무현 대통령은 농부인 친정아버지를 닮았다.  

오래 기억하고 싶다. 

 

  

 

   

 

   

 

  

 

IMG_5708.JPG 

8U0Z0704.JPG 

8U0Z7672.JPG

    

 

 

      
    
 

  


  
  


 


 

*** 인터넷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9-05-26 2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구쟁이 소년같이 웃는 얼굴이 더 슬프게 와 닿아요.

소나무집 2009-06-01 09:44   좋아요 0 | URL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일주일이었네요. 정말 친정아버지가 돌아가신 듯한 기분이었어요.

하늘바람 2009-05-27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볼수록 눈물납니다

소나무집 2009-06-01 09:46   좋아요 0 | URL
부모가 돌아가신 듯 가슴이 아파요.

달빛푸른고개 2009-05-31 1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까지나 기억하겠습니다.

소나무집 2009-06-01 09:47   좋아요 0 | URL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보여주신 분 같아요. 저도 아이들에게 바르게 살기를 가르치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