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훔쳐간 꼬마 도깨비들 - 별하나 그림책 3
사라 다이어 글 그림, 조은수 옮김 / 달리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아주 짧은 그림책 안에 아름다운 것은 자연 그대로일 때가 가장 아름답다는 진리가 담겨 있군요.  

돌 조각 안에 살고 있던 꼬마 도깨비들이 나와 해와 달과 땅과 하늘과 바다를 가져가 버립니다.

각자 좋은 것을 가지고 왔지만 한데 어울려 있지 않은 자연은 힘을 잃어가는군요.

해는 하늘이 없으니까 떠 있을 곳이 없고,

하늘은 땅이 없으니까 있을 떼가 없고,

땅은 바닷물이 없으니까 죽어 가고,

바다는 달이 끌어당겨 주지 않으니까 흐르지 않고요,

달도 해가 비추어 주지 않으니까 빛나지 않는군요.

그래서 다시 원래대로 되돌려놓았더니 세상이 아름다워졌습니다.

좋은 것은 모두 내 것으로 만들어버리고 싶어하는 아이들과

세상의 이치 같은 것은 생각지도 않고 자연을 훼손하는 어른들이 읽었으면 좋겠네요.

다섯 명의 꼬마 도깨비들이 정말 귀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대로 학교 비룡소의 그림동화 139
폴커 프레드리히 그림, 미하엘 엔데 글,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든지 잘하고 1등을 해야만 주목받는 교육을 시키는 이들에게 한방 먹이는 동화책이네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얼레꼴레 나라. 그 나라엔 아주 얌전하고 조용한 아이들만 삽니다. 하지만 그곳에서 일등이 되기 위해서는 온갖 말썽이란 말썽은 다 피워야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을 끝까지 읽다 보면 모범생이 되는 것보다 더 힘든 것이 바로 멋대로 대왕으로 등극하는 일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시험을 보고 상을 받는 아이들의 그림을 보면 정말 가관입니다. 선생님은 어떤 아이에게 한 대 맞은 걸까요? 반창고 투성이 얼굴에 눈은 멍들어 있고 코뼈는 부러졌는지 붕대까지 감고 있군요. 그리고 다음 장을 넘기면 얼레꼴레 나라에 가야 하는데 너무 멀어 가지 못하고 기가 꺾여 살고 있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사실 이런 아이들이 얼레꼴레 나라에 간다고 해도 그 나라 법에 따라 살기 위해선 엄청난 경쟁을 해야겠지요? 그리고 경쟁에서 밀린 아이들은 아마 더 불행해질지도 모릅니다. 안 가길 잘했지...

멋대로 학교는 가끔씩은 아이들이 꿈꾸는 학교일지도 모릅니다. 우리 아이만 해도 눈을 반짝이며 이 책을 읽었죠. 처음 읽을 때는 이런 학교가 있다면 정말 재미 있겠다며 흥분까지 했다니까요. 하지만 며칠을 두고 반복해서 읽더니 하는 말. "이런 학교 싫어. 난 우리 학교가 더 좋아." 

엄마는 뭔가 말썽을 피울 조짐이 보일 때마다 아이들에게 협박을 합니다. "지우야, 선우야, 너희들 멋대로 학교 보내줄게." 이러면 아이들의 표정과 행동이 바로 모범생이 됩니다. 그러면서도 한마디 잊지 않는 아이들. "에이, 그런 학교 없어!"

세상에 없는 학교와 세상에 있는 학교가 함께 존재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세상에 존재하는 학교에서 꼴등하는 아이도 버림받지 않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5-11-23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대로 학교 아주 재미있겠네요
 
프리즐 선생님의 신기한 역사 여행 2 - 아널드, 중세의 성을 지켜라! 프리즐 선생님의 신기한 역사여행 2
조애너 콜 지음, 브루스 디건 그림, 장석봉 옮김 / 비룡소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신기한 스쿨 버스 시리즈의 매력에 푹 빠져 있던 중 역사 기행 시리즈가 나왔다. 잔뜩 기대를 하고 책을 보았는데 그림의 섬세함과 화려함이 떨어져서인지 매력이 한풀 꺾였다. 하지만 내용 면에서는 역사 입문서로서 손색이 없다. 아이들에게 처음 읽히는 역사책으로는 그만이다. 

익숙한 프리즐 선생님과 아널드가 나와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소개하면서 자연스럽게 중세 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해 준다. 아널드를 장미 덩쿨로 위장해서 편지를 전달하게 하는 등  조애너 콜만의 코믹함이 곳곳에 숨어 있어 책을 읽는 재미가 더 크다. 

선생님 반 아이들이 다 등장하지 않고 한 명만 나와 약간 조용한 느낌이다. 신기한 스쿨 버스의 시끌벅적한 느낌은 들지 않는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 나오는 프리즐 선생님의 멋진 의상을 보며 다음 편에 무슨 책이 나올지 예상해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에타의 첫 겨울 비룡소의 그림동화 32
롭 루이스 글.그림, 정해왕 옮김 / 비룡소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아가인 헨리에타에겐 엄마가 없어요. 숲속에 가을이 찾아오고 동물 친구들은 겨울 양식을 모으느라 바쁘답니다. 헨리에타도 곳간 가득 먹을거리를 모아놓고 잠이 들었는데 집안에서 빗소리가 들리네요. 집에 구멍이 나서 빗물이 들었나 봐요. 문을 열자 양식이 모두 쓸려나가고 말았어요.

헨리에타는 또 열매를 찾아 곳간을 채우고는 잠이 들었네요. 그런데 와작와작 씹는 소리가 나서 곳간 문을 열어 보니 벌레들이 헨리에타의 열매를 몽땅 먹어치웠군요. 이젠 숲속에 열매도 많지 않고 날씨도 많이 쌀쌀해졌는데 어쩌면 좋아요. 

아하, 헨리에타에겐 친구들이 있었군요. 숲속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곳간을 채운 헨리에타는 기분이 좋아 잔치를 열었어요. 친구들이 돌아가고 난 후 보니 그 열매를 모두 먹어치웠네요. 창밖 숲속엔 흰 눈이 가득했구요. 배가 부른 헨리에타는 어쩌나 고민하다가 잠이 들고 말았어요. 한숨 자고 일어나 열매를 찾기로 했지요. 글쎄 자고 일어나 보니 봄이 와 있네요.

엄마가 없는 헨리에타가 어떻게 겨울을 날지 정말 걱정스러웠는데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열매를 모으고 무사히 겨울을 날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로군요. 엄마 없이도 씩씩하게 첫 겨울을 보낸 헨리에타에게 짝짝짝 박수를 보내주자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물구나무 012 파랑새 그림책 12
세르주 오솅 그림, 안느-마리 바콩 외 글, 김예령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인류의 조상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구요? 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그 답이 시원 시원한 그림과 함께 이 책 안에 있습니다.  외모만 지금 인간의 모습과 좀 다를 뿐이지 살아가는 양식은 비슷했을 거예요.

떠오르는 아침 해를 바라보며 엄마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사냥꾼들은 먹이를 찾아 초원으로 떠납니다. 여러 동물들이 한가로이 노니는 호수는 아주 평화로워 보입니다. 그래도 어딘가엔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 것만 같군요. 호수를 바라보며 엄마는 열매를 따고, 아이들은 정신없이 놀고 있습니다. 사냥꾼들은 먹이 사냥에 성공해서 가족들이 기다리는 동굴로 돌아옵니다. 비가 오는 저녁 음식을 나눠 먹은 이들은 새로운 내일을 준비하며 밤을 보냅니다. 

어려운 인류의 진화 이야기를 아주 쉽고 재미있게 풀어놓았습니다. 거부감이 들 법도 하건만, 아이들은 원숭이와 비슷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우리의 조상이었다는 사실을 금방 받아들이네요. 그리고는 정말 재미있어 합니다. 얼룩말이나 코끼리, 표범 등의 동물이 그 옛날 옛적에도 있었다는 사실이 아주 흥미로운가 봐요. 이 동물들은 왜 진화되지 못했는지 궁금하답니다.

여섯 설 아들도 여덟 살 딸아이도 모두 좋아하는 책이랍니다. 이 책을 읽은 후로는 진화에 관한 책에 관심이 더 많아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