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은 끝나지 않는다. 모든 비극과 희극이 여기에서 시작된다. - P82

히틀러의 유대인 탄압은 어느 날 아침 전격적으로 시행된게 아니었다. 처음에는 재산을 동결하고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했다. 연설 때마다 유대인을 싸잡아 비난하면서 그 강도를 조금씩 높여갔다. 처음부터 가스실행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 P85

대중이 쉽게 빠지기 쉬운 몇 가지 편향
ㅡ다수 동조 편향
ㅡ정상화 편향
- P89

후쿠시마의 방사능이 무서워 일본 여행을 못하겠다는 한국 대학생에게 일본인이 김정은의 핵은 안 무섭냐고 의아해했다는얘기도 들었다. 내가 아는 한 흑인 할머니는 뉴욕 할렘에 사는데 멕시코 여행을 절대로 하지 않는다. 범죄가 너무 많아서 위험하다는 것이다. 반면 멕시코의 부자들은 뉴욕 여행을 가도할렘으로는 올라가지 않는다. - P89

남의 위험은 더 커 보인다. 반면 자기가 처한 위험은 무시한다. 그게 인간이다. - P90

로마인들은 화려한 연회를 열 때마다 노예가 은쟁반에 해골바가지를 받쳐들고 손님들 사이를 지나다니게 했다고 한다. 메멘토 모리‘ 즉, 죽음을 기억하라‘ 같은 깊은 뜻이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었다. 단지 그게 연회의 흥을 더 돋우었기 때문이다. 해골바가지를 보면 술맛이 더 났던 것이다. 로마인들은 변태였나? 아니다. 지금도 그 전통은 헬러윈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날이 되면 해골과 좀비 들이 거리를 행진하고 죽은 자의 가면을 쓴 사람들이 밤새 술을 마셔댄다. 핼러윈의 상징, 속을 파내고 불을 밝힌 호박은 즉각적으로 해골바가지를 연상시킨다. 죽음과 종말을 떠올리면 현재의 삶은 더 진하고 달콤해진다. 로마인들은 이천년 전에 이미 그걸 알고 있었다.
- P90

메멘토 모리ㅡ죽음을 기억하라 - P90

에피쿠로스...그는 이렇게 말했다.
"죽음은 우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생각에 익숙해져라.
왜냐하면 모든 선과 악은 지각에 근거하는데, 죽음은 이러한 지각의 상실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죽음은 우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점을 올바르게 통찰하면, 우리의 유한한 삶은 즐거울 수 있다. 왜냐하면 이 통찰이 우리 삶에 무제한적인 지속성을 부여하기 때문이 아니라 영원히 살고자 하는 욕구를 없애기 때문이다. - P92

노인들에게 가장 두려운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혼자 죽는것‘이라고들 답한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누구에게도 자신의 죽음이 인지되지 못한 채 오랫동안 버려지는 무연사가 가장 두렵다고 한다. 그들은 마치 죽은 뒤에도 살아 있을 것처럼 생각하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죽음 이후의 우리는 아무것도 보지도, 느끼지도 못한다. 에피쿠로스가 이천삼백여 년 전에 통찰했듯이 그런 상태를 바로 죽음이라 한다. 그러므로 혼자 죽든,함께 죽든 혹은 가족들 앞에서 죽든, 죽음은 우리를 똑같은 상태로 인도한다. 그것은 절대적인 무와 침묵의 세계다.
- P93

우울증 환자들은 인간이 혼자라는 것, 죽을 수밖에 없는 가련한 운명이라는 것을 냉철하게 직시한다는 점에서 극단적으로 현실적이다.  - P94

에피쿠로스의 이런 말.....
"삶이 이어지지 않을 죽음 후에는 전혀 무서워할 것이 없다는 사실을 진정으로 이해한 사람에게는 삶 또한 무서워할 것이 하나도 없다. (알랭 드 보통, 『철학의 위안」, 청미래, 2012) - P98

세상에 맞춰 자신을 바꿀 것이냐, 세상을 자기에게 맞게
바꿀 것이냐. - P107

한 경제학과 교수는 택시를 타고 자기가 근무하는 대학으로 가자고 하면 기사가 자꾸 교수냐고 묻고, 그렇다고 하면 무슨과 교수냐고 또 묻고, 그래서 경제학과라고 하면 내릴 때까지 이 나라 경제에 대한 기사의 강의를 들어야만 하기 때문에 늘 전공을 물리학이라고 둘러댔다고 한다. 그의 술책은 북한 핵에 엄청난 관심을 가진 택시 기사를 만나기 전까지는 잘 먹혔다.
- P118

"인간에게 연극적 자아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연극적 자아가 바로 인간의 본성입니다. 어렸을 때 소꿉놀이를 생각해보세요.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데도 아이들은 엄마, 아빠, 의사와 간호사를 연기합니다. 인간은 원래 연극적 본성을 타고납니다. 이 본성을 억누르면서 성인이 되는 거예요. 다른 사람이 되려는 욕망, 다른 사람인 척하려는 욕망을 억누르면서 사회화가 되는 겁니다. 연극은 사람들 내면에 숨어 있는 이 오래된 욕망, 억압된 연극적 본성을 일깨웁니다. 그래서 연기하면 신이 나는 거예요." - P123

우리가 가장 연기하기 어려운 존재,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내면은 언제 틈입해 들어왔는지 모를 타자의 욕망들로 어지럽다. 그래서 늘 흥미롭다. 인간이라는 이 작은 지옥은.
- P75

아이는 자기를 덜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에 들려고 애쓴다고한다. 자기를 사랑하는 게 확실한 부모의 마음에 들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자기를 마뜩지 않아하는 부모의 마음에 드는 게 생존에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정의 폭발은 뭔가 일어나고 있다는 신호를 주지만 그 이유까지 알려 주지는 않는다. 폭발의 배후를 알고자 한다면 감정 표현을 허락하고 적절한 질문을 해야 한다.
- P145

감정심판자 아닌 감정과학자 - P147

감정의 ‘원인‘을이해하지 않고서는 자신은 물론이고 아이와 동료를 제대로 도울 수없다.
- P147

감정을 이해하려면 스토리텔링 능력, *조망 수용 능력(perspective-taking skill), 현재 상횡을 이끈 김정과 사건을 종합해 재구성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타인의 관점이나 입장 등을 이해하는 능력 - P147

문제가 일어난 원인보다 행동에 집중해 버리는 것은 병이 아닌 증상을 치료하는 꼴이다. 그런 판단 아래 고를 수 있는 최선의 선택지는 행동을 교정하는 것이다. 그것도 강제로,
이로써 감정을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과는 멀어지고 만다.
- P146

자신의 감정을 알아야만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 - P150

감정을 이해하려면 "왜?" 라는 강력한 한마디 질문에 대한 솔직하고 정확한 답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감정에 대해 일단 질문을 던졌다면 계속 질문을 이어 가야 한다. 무엇이 이 감정을 일으켰는가? 답을 찾아내면 곧이어 다음 질문을 한다. 여러 가지 반응 중에서 왜 하필이면 바로 그 행동을 했나? 그러다 보면 처음의 "왜?"라는 질문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 지점에서 갑자기 멈추면 절대 감정을 이해할 수 없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가끔은끝까지 파고들기 위해 진정한 용기를 내야 한다. 바로 그때 우리는 명실상부한 감정 과학자가 된다.  - P151

어휘력 격차로 미래의 교육 성과, 돈을 버는 능력(earning power), 심지어 지능까지도 예측할수 있다.
- P154

하지만 감정을 설명하는 어휘와 관련해서는 이런 격차가 희미해진다. 감정에 대해서는 모두가 평등하게 무지하다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수백 개 있는데도 대부분은 "괜찮아." 또는 "바빠." 정도로 단어 한두 개만 사용한다.
- P154

신경 과학과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이름을 붙이면 길들일 수 있다."라는 명제에는 실재하는 진리가 담겨있다. 감정에 이름을 붙이는 일 자체가 조절의 한 방법이다. 
- P154

"괜찮아." 라는 말은 감정 표현이 두렵다는 뜻 - P154

우리는 긍정적인 감정에 피상적인 관심만 주는 경향이 있다. 좋은 감정은 조절할 필요가 없다. 그저 이 상태가 지속되기를 기원할 따름이다. 왜 이리 기분이 좋은지 분석하는 데 정신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반면 부정적인 감정의 여파는 더 깊다. 부정적인 감정이 든다는 것은 문제가 생겼다는 뜻이므로 이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려진다.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는 결국 필요에 의해 발달한 셈이다. - P158

매슈 리버먼(Matthew Lieberman)이 이끄는 UCLA 연구 팀은 감정 표현 어휘(일명 정서 표지 affectiveLabeling)를 쓰면 고통스러운 감정적 경험을 덜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했고, 실제로 고통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진수(眞髓)는 이야기다. - P70

아리스토텔레스는 피시스 (자연, 물질)에 대한 자기의 저작을 과학론이라고 불렀는데, 현대의용법으로는 철학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 뉴턴이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제목을 붙인 저작은, 우리가 보면 다름아닌 과학의 명저 바로 그것이다.
- P71

책은 알몸의 골격 위에다 살을 붙이고 그 위에 의상을 걸치고 독자 앞에 나타난다. 말하자면 완전히 정장 차림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독자는 그 부드러운 표면 밑에 있는 뼈대를 잡아내려고 의상을 벗기거나 손발의 살을 발라낼 필요는 없다. 다만 엑스선과같이 투시(透視) 할 수 있는 눈으로 책을 읽지 않으면 안 된다. 대체로 책을 이해하려면 우선 그 구조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되기때문이다.
- P75

벽돌로 이루어진 한 채의 집과 다만 산더미처럼 쌓인 벽돌과는 다르다. 한 채만이 외로이 서 있는 집과 많은 집이 모여서 있는것도 다르다. 책은 한 채의 집과 같은 것이다. 각 층에 크기나 모양이 다른 방이 몇 개나 있고 각 외관(外觀)이나 용도가 다른 대저택과 같은 것이다.  - P77

가장 좋은 책이란 가장 명확한 구조를 가진 것이다. - P78

"이것이 플롯의 정수다, 나머지는 에피소드다."
아리스토텔레스 - P79

헤로도토스의 《역사》 (페르시아 전쟁사)의 도입부에는 전체의 훌륭한 요약이 있다.

이 책은 할리카나소스 출신인 헤로도토스가, 인간계의 사건이 때가 옮겨감과 함께 잊혀지고 말아, 그리스인이나 이방인 (바르바로이) 이 이룩한 위대한 경탄할 만한 사적의 가지가지ㅡ 특히 양자가 어떠한 원인에서 교전하기에 이르렀는가 하는 사정도 마침내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못하게 될 것을 우려하여, 스스로 연구·조사한 바를 서술한 것이다.
- P81

역사의 통일성은 마치 한 가닥의 실과 같은 것으로, 픽션의 경우와 흡사하다.
- P81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P81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관한 중세의 주석서 중 어떤 것은 원저보다도 길다. - 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리의 책은 어떻게 살아가야하는가를 가르치며, 사람이 해야 할 일, 해서는 안 될 일, 그리고해야 할 일을 하지 않거나 해서는 안 될 일을 했거나 하였을 때에 받는 보답과 벌을 가르쳐준다. 그러므로 그 책의 결론에 동의하든 하지 않든 간에 이러한 책은 실천적이다.
- P67

이마누엘 칸트는 두 권의 유명한 철학 책을 썼다. 《순수이성비판(純粹理性批判)》과 《실천이성비판 (實踐理性批判)》이다. 《순수이성비판》 쪽은, 그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여 그것을 아는가 하는것에 관한 책이다. 어떻게 하면 아는가가 아니라, 실제로 어떤식으로 우리는 그것을 아는가 하는 것이다. 또, 알 수가 있는 것,
알 수가 없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씌어 있다. 이것은 훌륭한 이론적인 책이다.  - P67

도서명은 좀더 여러 가지를 가르쳐준다. 존 로크는 비슷한 제목의 책을 두 권 썼다. <인간의 이성(理性)에 관한 성찰(省察)> 과<시민 정치의 기원 · 범위 · 목적에 관한 고찰(考察)>이다. 어느 쪽이 이론적이고 어느 쪽이 실천적일까?
- P68

어떤 것의 진위를 문제로 삼는 것은 이론적이며,
어떤 것이 향하여야 할 목적을 문제로 삼는 것은 실천적이다.
- P68

픽션과 사회학의 구별을 모르는 소설가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또 스피노자의 에티카 처럼 양쪽의 성질을 반씩 지닌 책을 발견할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저자가 어떤 문제에 어떤 식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찾아내는 것은 독자에게 유익한 일이다.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