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계사
케이트 메스너 지음, 팰린 코치 그림, 김미선 옮김 / 책과함께어린이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요즘에 코로나로 아직 벗어나지 못했고, 또다른 바이러스가 창궐한다는 얘기가 있다. 조카가 보건의료분야 서적에 관심이 있어서 조카에게 도움도 주고, 나 또한 보건의료분야에 관심이 있고 모르는 정보도 많은 터라 건강하게 사는데 도움얻고자 하는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그림이 나름대로 재미있다. 어떻게 해서 세균과 바이러스가 여러 나라를 초토화시켰는지 알 수 있다. 아마 이런 내용을 보지 못했다면 세계사시간에 대충이나마 알고 말았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뿐만 아니라 실제 사진도 같이 있다. 책에서는 우두백신에 대해서 나오는데, 내가 보건의료관련된 글을 쓴 의사의 글을 보면 우두백신에 대한 내용이 다르기도 하다. 이 책 뿐만 아니라 다른 책에서도 이 책에서처럼 우두백신에 대해서 말하는데, 뭐가 진실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정보가 있다는 걸로 일단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184쪽부터 보면 코로나와 관련된 그림이 나온다. 코로나는 현재도 진행형이지만 언젠가는 종식될 가능성도 있기에 저자의 글이 100% 맞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188쪽을 보면 백신이 95퍼센트 이상 효과가 있다고 나와 있는데 3차 접종한 사람도 코로나에 걸린 경우가 부지기수고, 오히려 접종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걸리지 않은 경우도 있다. 197쪽을 보면 가짜뉴스 걸러내는 방법에 대해서 나오는데, 진짜뉴스인지 가짜뉴스인지를 일단 내려놓고, 접종한 사람들 중에서 일부는 심근염, 심낭염에 걸리기도 하고 이건 공식적으로 제약사에서 접종 부작용으로 인정한 것이고, 한국에서도 심근염을 접종 부작용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심근염이 뭔지 쉽게 말하자면 심장근육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그런데 다른 근육부위와 달리 심장근육이 멈추면 그건 심장마비인 것이고, 죽는다는 얘기다. 심장은 수면 중에도 쉬지 않고 움직여야 생명체가 살 수 있는데, 팔이 아프면 팔을 좀 쉬게 하면 팔이 나아질 기회가 생기는데, 심장은 쉬면 죽게 되는 거라서 심근염은 절대 우습게 봐서는 안 될 큰 부작용인 것이다. 이런 걸 주류미디어이건 간에, 코로나 관련 도서이건 간에 이런 걸 설명해줘야 하는데, 이런 걸 설명해주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아보여서 내가 그런 책들을 보다보면 고개를 갸우뚱거릴 수밖에 없다.


접종 후 사지마비에 걸렸다거나 신체일부를 절단한 사람들, 사망한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인과성이 없다고 하지만, 그런 이상하게도 사람들이 자꾸 나온다는 건, 바보 멍청이가 아닌 이상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어떤 것에 대해 그것이 어떤 위험성이 있다는 말이 돌고 돈다면,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해서 그 사람의 환경 형편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고 본다. 돈이 아주 많은 사람들은 자녀에게 아주 많은 유산을 물려줄 수 있어서 자녀들이 잘 살 수 있겠지만, 돈이 적은 사람들은 자녀에게 많은 유산도 못 물려주고, 아파서 병원갈 경우 병원비 폭탄에 빚만 물려줄 수 있다고 본다. 그래서 나는 위험성이 큰 어떤 걸 결정할 때는 그 사람의 집안 형편에 맞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해서 본인과 자녀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말이다.


마스크도 장단점이 있는데, 마스크가 젖어 있는 상태라면 거기에도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기에 1개의 마스크를 하루 종일 쓰면 몸에 이로울 일이 없다. 그리고 마스크를 계속 쓰게 될 경우, 산소를 들이마시는 기회가 줄어든다.


 한편, 내가 인터넷 건강뉴스로 접한 바로는 암이라는 것은 산소가 없는 환경을 좋아하기에, 몸에서 암이 자랄 확률이 그만큼 높아지는 걸로 알고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장기적으로 착용하는 것은 몸에 이롭다고 할 수만은 없는 것이다. 가짜뉴스인지 진짜뉴스인지 정확히 잘 모르는 상태에서는 분석적, 비판적 사고로 해당뉴스와 관련된 정보를 책 등을 이용하여 살펴보고 진짜 정보인지 가짜 정보인지 본인이 직접 가려내야 한다. 누구가 주는대로 받아먹으려고 하는 건, 노예근성의 빠진 어리석고 바보같은 짓이나 다름없다.



나 같은 경우 대학 다닐 때, 그 때 정말로 천재가 되고 싶어서 메모와 관련된 어느 책을 본 적이 있다. 거기에서 아인슈타인이 메모에 대한 회의적인 말을 했다는데, 나는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그대로 받아들여서, 머리 속에 기억하려 하지 않고, 메모만 해왔다가 1년 내내 대학성적이 꽝이었다. 다음 해 겨우 정신차려서 그 성적보다 나아졌지만, 어디 경쟁률 센 곳에 이력서 제출할 경우 저조한 성적으로 나는 지원해도 떨어질 수밖에 없었고, 면접을 볼 때도 제대로 답변할 수 없었다. 대학교 성적은 평생 지울 수 없는 기억으로 자리잡았다. 이 때를 계기로 나는 어느 책에서 저명한 누군가 어떤 말을 했다고 해서, 그걸 아무 생각 없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건 아주 멍청하고 어리석은 판단이라는 걸 깨닫게 됐다.


어린이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모두 자주성을 기르고 자존감을 높이고 싶다면, 책이라고 해서 거기에 나온 말들만 100% 믿어버리고 자아도취에 빠지는 헛똑똑이가 되기보다는 이상하다 싶으면 의구심을 품고 그것을 분석하고 비판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안 그러면 내가 가진 기회와 내가 소중히 여기는 걸 모두 잃어버릴 수도 있다. 내가 늘 주변에도 나자신한테도 말하지만 책을 보는 사람은 헛똑똑이가 될 수 있는 경우를 경계해야 한다.


지혜롭고 현명하게 판단하고 행동하기 위해서 책을 보는 것이지, 누구한테 자랑하려고 허영심과 남들한테 허세 부리려고 하는 독서는 언젠가는 내 인생을 옭아맨다.


이 책에 나온 내용 일부는 알아두면 유식함을 뽐낼 수도 있겠지만, 일부는 ‘갑론을박’할 수도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접종부작용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유족에게 이 책에 나온 내용이 전부 100% 맞다고 보여주거나 선물해줄 수 있을까?


 어느 책이든지 간에 어떤 정보가 있을 때 그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분별력 있게 따져서 보면 좋을 것 같다.


책에 대한 평은 독자마다 다르다고 본다.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통인류 - 만성두통에 시달리는 분들께 전하는 골치 아프지 않게 사는 법
양하영 지음 / 파라사이언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통을 앓기도 해서 두통치료에 도움얻고자 하는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책을 펼쳐보면 다양한 두통의 원인에 대해서 나온다. 나는 이 책에서 알려주는 것처럼 이렇게 두통이 많은 건지는 처음 알았다. “뭐 이래 많아!” 보다보면 두통명 외우다가 질려버릴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두통명까지 살피는 의사는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독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책을 펼쳐보면 잠깐 한 숨 쉬고 다음 내용 어디를 봐야할 부분인지 잘 모를 때가 있다. 수학 파이값 3.14를 쭈욱 계속해서 써나가는 느낌이랄까 그렇다. 내용이 꼬리에 꼬리를 물다보니까 문단 띄어쓰기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이건 독자마다 느낌이 다른 것이고, 그렇다고 계속 쭉쭉 나오는 것도 전혀 아니다. 문단 띄어쓰기가 좀 더 많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면에 내용은 괜찮은 편이다. 내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상 그렇다는 것이고 사람마다 다를 수가 있다.


 이왕이면 그림도 같이 나왔으면 책읽는 재미가 배가 됐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중요해보이는 부분에다가는 깔끔하게 밑줄쳐두고 나중에 다시 볼 때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록으로 나온 부분을 보면서 두통발생시 셀프테스트 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통명 같은 경우에는 글로 이어지게 하는 것보다는 표로 한 번 정리하면 가독성 면에서 좀 더 뛰어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내 개인적으로는 문장 간 줄간격 띄어쓰기가 좀 더 많아진다면 금상첨화 책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전체적인 내용면에서는 유용한 정보라는 생각이 확 들 정도로 따봉주고 싶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커스 식품기사.산업기사 필기 필수이론 + 과년도 기출문제 - 기사+산업기사 기출문제 수록ㅣ무료 동영상 강의·CBT 모의고사 제공
권유진 지음 / 해커스자격증 / 202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해커스에서 자격증 교재 신간이 나왔다고 해서 무슨 책인지 보다가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응시자격 요건을 보니까 나 같은 경우에는 식품기사 뿐만 아니라 식품산업기사 모두 응시할 지격이 못 된다. 식품산업기사 요건을 보면 자격소지 여부에서 <기능사 이상의 취득후 1년 이상>이라고 나와 있다. 혹시 식품기능사가 있는지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니까 <식품가공 기능사>라고 있다. 기능사 이상이라고 했을 때 식품가공기능사를 말한 건지 모르겠다. 책을 보면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이상자격 취득자>라고 나와 있는데, 그렇다면 <사무자동화산업기사>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라면 식품산업기사 자격증 응시가 가능한 건지 모르겠다.


응시자격 경력을 보면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이렇게 나와 있는데,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 건지 나는 잘 모르겠다. 이 책에서 응시자격요건이 어떻게 되는지 그런 상세한 내용까지 알려준다면, 식품산업기사 시험을 준비할지 말지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고, 이 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지 않을까 싶다. 응시자격 요건이 너무 간략하게 나와서 이런 부분이 내 개인적으로는 많이 아쉽다.


식품가공기능사라는 자격증이 있다는 게 인터넷 검색해보고 처음 알았다. 다음에 시험볼지 말지 생각해봐야겠다. 그런 그렇고 나 같은 경우 당장 식품기사, 식품산업기사를 응시하지는 않더라도, 자격증 도서에서 쏠쏠한 정보를 얻는 경우가 있고, 해커스 자격증 수험서에서도 그런 내용을 살필 수 있었기에,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고 싶었다. 이게 아니라면 저거라도 얻으려는 것이 자격증 책을 들여다보는 내 심리라서, 식품기사 필기이론 내용이 어떠한지 궁금했다.



책에서는 식중독균에 대해서 나오기도 한다. 책에서는 영어원문으로 나와 있는 경우가 있다. 일부는 Vibrio 이렇게 나와 있는데 Vibrio(비브리오) 이런 식으로 한글도 같이 병기해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전부 그런 게 아니라 일부가 그런 것이고, 영어원문+한글 병기 이렇게 나온 경우가 적지 않으니 책을 보면서 그런가보다 하면 될 것 같다.


책에서는 [먹는물 관리법]에 관한 법에 대해서도 나온다. 그냥 생수로만 알고 있는 것보다 먹는물에 대한 용어구분과 정의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저자 강의와 함께 보면 이해하는데 좋을 것 같고, 나 같은 경우 그냥 눈팅으로 보는 용도로 하려고 하는데, 용어가 좀 생소하게 받아들여져서 그렇지 그런가보다 하면서 보면 어느 정도 혼자 봐도 이해는 되는 편이기는 한데, 화학식 나오는 부분에서는 좀 어렵긴 하다.


필기 이론서에서 해당 필기이론을 기출문제를 통해 확인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다.

이론과 기출문제 따로 분권되어 있다. 기출문제는 문제 다음에 해설 답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격증준비를 할까말까 고민중인 경우에는 그냥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 얻는다는 식으로 훑어보다보면 식품기사, 식품산업기사 자격증에 관심을 더 가지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쉽게 배우는 인사노무사례 100개면 되겠니?
김문선.이세정 지음, 장미혜 감수 / 넥스웍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로계약서 등 관련 정보를 알아두어야 하는 일이 생겨서 관련된 책을 보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100문 100답 시리즈다. 100문 100답 형식으로 구성된 책은 여러 출판사에서 나오긴 했다. 이 책에서 100문 100답 구성방식은 좀 어떠한지 궁금하기도 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독자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이 책은 겉표지가 답을 말해준다고 본다. “그게 뭔 말이냐?” 독자마다 느낌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딱딱하지 않고, 크게 어렵지 않고 “아! 이런 경우도 있단 말인가? 세상에 이런 일이!” 이런 생각이 들게 만들 수 있다는 거다.

 <법>이라는 건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인데, 이 책에 나온 인사노무사례를 보면 “그런 경우도 있어? 어? 그래?”이렇게 반응이 나온다. <세상만사>라고 해야 하나? TV 보면 기행프로그램 같은 게 나오기도 하는데, 그런 프로를 별 생각 없이 넋놓고 보다보면 알게 모르게 알게 되는 정보가 있다. 인사노무사례라고 해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이 책도 보면 자연스럽게 빠져들어서 “어? 그래?” 이런 반응이 나올 지도 모른다.


 직장이라는 것이 간이고 쓸개고 다 줄 것 같은 생각이 드는 곳도 있겠지만, 나 같은 경우 직장생활은 비즈니스 관계라고 생각하기에, 언젠가 최악의 경우 뒤통수 맞을 지도 모르는 일이 발생할 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관련된 정보를 얻으면 좋은데, 이 책은 부담없이 세상이야기 보듯이 보면서 쏠쏠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보고 싶은 부분부터 봐도 무방한 편이다. 알바생 중에 사연이 다 있겠지만, 얄밉게 그만두는 경우도 있다는 걸 이 책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날도 더운데 어떤 이야기를 보고 싶은데, 그걸 보고 나면 허하다는 느낌이 든다면, 이 책에 나온 사례를 보면서 현실정보도 얻고 현실 감각도 지키는 그런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다.


 독자마다 평이 다를 수 있겠지만, 이 책을 보기 전에 나는 그렇게 이 책에 대해 큰 기대를 안 하기도 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재밌게 볼 수 있어서 좀 놀라긴 했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대지식 치매 백과사전 - 세상에서 가장 친절한 ‘치매 가족 가이드북!’
홍경환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휜신(?) 접종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가 혈전이다. 해외뉴스 잠깐이라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 수 있고, 국내 뉴스 일부라도 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는 하도 부작용이 발생해서 부작용이 아닌 정작용, 주작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걸 떠나서 혈전이 뇌혈류에서 발생했을 경우 뇌경색이 올 수도 있다. 뇌경색은 치매를 불러오고, 건강을 챙기기 위해서는 치매공부도 해야 한다는 얘기다.


관련된 책을 살펴보고자 하다가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나 같은 경우 책을 선택할 때 저자 이력을 보기도 한다. 나 뿐만 아니라 다른 독자들도 그러할 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저자명만 바라보고 책내용을 맹신하지는 않는다. 저자 이력을 보면서 내가 이 책에서 치매정보를 제대로 얻을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책으로 발행할 만큼 근거 없는 자신감 같은 건 없고, 뭔가 있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막상 책을 펼쳐보니까, 의구심은 어느 정도 줄어들었다. 병의원을 오고다니면 알겠지만 형식적으로 환자를 대하는 경우를 목격하기도 한다. 나는 요양보호사로 잠시 일했던 적이 있어서 어르신을 모시고 병의원에 오고다니곤 했다. 이 책을 보면 알 수도 있겠고 그러하지도 않을 수도 있겠지만, 치매환자를 보호하는 가족이나 보호자를 위해서 쓴 책이라고 볼 수 있겠다. 책을 보면 병의원에서 치매검사하는 사람들의 전문성에 대한 내용도 나오는데, 그 내부사정을 어느 정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병의원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본다. 그런데 검사방식이나 결과가 뭔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드는 환자 가족이나 보호자라면 환자를 상태가 심하다 아니다 이런 판단이 내려질 때, 이 책을 보게 되면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게 될 수도 있으리라고 본다.


 치매약에 대해서는 이래저래 말이 있기도 하기에, 이 책 말고도 다른 책을 살펴보면 더욱 좋을 것 같다. 372쪽을 보면 <치매환자 돌봄 10계명>이라고 있는데 이 내용을 꼭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전체적으로 읽기에 무난한 편이고 읽는데 부담이 없다. 일부는 글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표로 구성해서 한 눈에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했다면 더욱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지만, 앞서 말했지만, 전체적으로 치매환자와 가족, 보호자를 위해서 필요한 책이라고 평하고 싶다. 독자마다 평이 다를 수 있겠지만 말이다. 앞으로도 치매환자는 늘어나지 쉽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 같다. 치매환자 가족이나 보호자라면 20대 후반부터 해당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는데, 최소 중학교 정도 되는 자녀를 두었다면 미래를 대비해서 이런 책을 보게 되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