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즈치처럼 가라앉는 것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1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3년 11월
평점 :
대략 2주 정도에 걸쳐 ‘도조 겐야 시리즈’ 3편(염매, 산마, 미즈치)을 완독했습니다. 2년 전에 읽은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을 포함하면 시리즈를 마스터한 셈입니다. 방대한 분량은 말할 것도 없고 매 작품마다 등장하는 초현실적인 괴담과 불가해한 연쇄살인 덕분에 연이은 ‘도조 겐야 읽기’가 정신적으로 꽤나 부담되긴 했지만 ‘미즈치~’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었을 때는 큰 숙제 하나를 마친 듯한 뿌듯함과 동시에 후속편을 기다려야 한다는 아쉬움이 저절로 들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도조 겐야가 마주친 것은 물의 신 미즈치입니다. 대체로 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졌던 전작들에 비하면 새로운 설정입니다. (물론 ‘염매~’에서도 히센천이라는 무시무시한 강이 등장하기도 했지만 조연에 가까웠습니다.) ‘미즈치~’에도 후타에山이 등장하긴 하지만 괴이의 주인공은 마을의 운명을 쥐고 있는 미쓰천이라는 강과 그 원류인 진신호(湖), 그리고 그곳에 머무는 물의 신 미즈치입니다.
늘 그렇듯 대립 또는 갈등하는 가문들이 등장하는데 나라 현 하미 지역에 미쓰천을 따라 나란히 자리한 네 개의 마을의 신관 가문이 그들입니다. 대대로 홍수나 가뭄이 들 때마다 번갈아 가며 미즈치 님을 모시는 제의를 올려왔는데, 제1가문인 미즈시 신사가 맡은 올해의 제의가 진행되던 중 첫 살인사건이 벌어집니다. 문제는 (역시 늘 그렇듯) 사건이 벌어진 곳이 밀실이고, 더구나 제의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점입니다.
이런저런 사연으로 미즈시 신사에 의탁하고 있던 도조 겐야는 이 기이한 사건에 휘말림과 동시에 살인사건이 한번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예감합니다. 특히 각각 23년 전, 13년 전의 제의 중에 일어났던 사망 사고 역시 현재 벌어진 사건과 무관하지 않음을 간파합니다.
네 가문의 대립과 갈등에 덧붙여 또 하나의 중요한 이야기 축이 있는데, 제1가문의 신관인 미즈시 류지의 수양딸인 사기리와 그녀의 3남매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이들에 대한 소개는 워낙 양도 많고 스포일러가 될 가능성이 있어 생략하겠지만, ‘염매처럼~’을 읽은 독자들을 위해 조그마한 ‘미끼성 힌트’를 한 가지 드리자면, 류지의 수양딸 사기리가 ‘염매처럼~’에 등장했던 가가구시 촌 출신이라는 점입니다. 물론 ‘미즈치~’에서 사기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도조 겐야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는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도조 겐야 시리즈를 관통하는 일관된 특징들 - 방대한 민속학적 자료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악연과 그로 인한 재앙들, 인간으로서는 어찌할 수 없는 신들의 장난, 그리고 현실 속에서 벌어지는 참혹한 연쇄살인 등은 ‘미즈치~’에서도 여지없이 발휘됩니다.
어리숙해 보이지만 결국 사건의 진상을 밝혀내는 도조 겐야의 활약도 여전합니다. 후반부 적당한 지점에 이르러 사건의 의문점을 모두 나열해놓고 독자들에게 “여기에 힌트가 있으니 진범을 맞춰봐!”라고 도전하는 모습이나 관련자들을 모아놓고 진범을 밝히는 과정에서 몇 번씩이나 반전을 거듭하는 모습은 ‘도조 겐야 시리즈’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남다른 재미로 다가옵니다.
특히 ‘미즈치~’에서는 ‘산마~’에서 잠깐 선보였던 여자 편집자 소후에 시노가 도조 겐야의 여정에 함께 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가끔씩 멜로(?)를 연상시키는 장면을 연출하며 묵지근한 독자들의 머리를 식혀주기도 합니다.
아쉬운 점을 꼽자면 두 가지 정도인데, 우선 구키 쇼이치(사기리의 3남매 중 막내)의 시점으로 서술된 내용이 이야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내용 상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긴 하지만 그만큼 도조 겐야의 시점으로 서술된 내용이 줄어들어서 독자로서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는 부분입니다.
두 번째는 번역과 관련된 부분인데, 오타나 오역은 요즘의 웬만한 작품에 비하면 양호하다고 판단될 정도로 적었지만, 정작 문제는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잘못 번역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입니다. 류지, 류이치, 류조, 류코, 류마 등 비슷한 이름이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겠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엉뚱한 이름이 튀어나온 경우가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았습니다.
첫 번째 아쉬움이야 지극히 개인적인 호불호의 문제지만, 오역의 아쉬움은 작품의 완성도를 손상시킬 만큼 작지 않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도조 겐야와 함께 한 2주 남짓한 시간 동안 ‘딴 나라’에 가서 살다 온 느낌이었지만, 벌써부터 새 작품이 기다려지는 것을 보면 저도 어느 새 도조 겐야와 그를 창조해낸 미쓰다 신조에게 중독돼버린 듯합니다. 리얼리티 면에서 언뜻 납득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서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지만, 역사-호러 미스터리의 새로운 경험을 해보고 싶은 독자라면 ‘염매 - 잘린 머리 – 산마 – 미즈치’로 이어지는 ‘도조 겐야 시리즈’의 연독을 강추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