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처럼 싸우고 꽃처럼 아끼고
디안 지음, 허유영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모든 창작물 가운데 이 작품보다 더 발칙하고 도발적인 제목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번역물의 경우 가능하면 원제 그대로 쓰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주인공의 이름인 ‘둥니’(東霓)라는 평범한 원제를 직역한 것 보다는 훨씬 더 센스 있고 다양한 의미를 담아낸 작명 솜씨인 것 같습니다.
‘개처럼 싸우고 꽃처럼 아끼고’(이하 ‘개꽃’)는 주인공 둥니를 중심으로 한 ‘정씨 일가의 싸우고 아끼는 이야기’입니다. 둥니의 인생은 전쟁 그 자체입니다. 폭력적이며 증오심으로 똘똘 뭉친 부모 밑에서 보낸 진창 같은 유년기와 대학을 포기한 채 무대 여가수로 전전하며 밑바닥 삶을 살았던 청춘기를 지나 지금은 서른이라는, 싸우기에도 타협하기에도 어중간한 나이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전쟁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데, 지적 장애를 안고 태어난 돌바기 아들 청궁을 인질(?) 삼아 별거 중인 남편에게 더 많은 돈을 뜯어내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는 중이며, 사촌지간인 시줴와 난인, 동창이자 가족(또는 가족이 될 뻔하는)인 천옌과 장이와는 하루에도 몇 번씩 애정과 증오가 오락가락하며 쌍욕과 몸싸움을 주고받는 관계입니다. 그녀의 아군이라면 사촌오빠 부부가 내팽개친 탓에 그녀가 거두게 된 12살 소녀 쉐비와 8살 연하의 대학원생 렁산, 그리고 늘 가족의 중심을 잡아주는 작은아버지 내외뿐입니다.

과거의 트라우마와 현재의 지옥 같은 현실은 둥니로 하여금 스스로 온몸에 가시를 두른 채 다가오는 사람 모두를 찌르고 베어버리게 만듭니다. 사랑의 신기루와 장밋빛 미래 따위는 더 이상 믿지 않고, 시기와 질투로 자신을 공격하는 가족과 친구들에겐 날선 말과 경멸의 시선을 아끼지 않으며 오직 자신만을 위해 온 세상과 전력을 다한 싸움을 수행하는 중입니다.
어쩌면 ‘개꽃’은 한국에서 흔하디흔한 막장 드라마 그 자체일 수도 있습니다. 돈이 걸린 이혼 전쟁, 새로운 사랑을 위해 이혼마저 불사하는 유부녀, 한 여자를 사이에 둔 삼촌과 조카, 남아선호사상과 그에 얽힌 출생의 비밀 등 갖가지 막장의 요소가 빼곡히 차있는 작품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꽃’은 결코 천박해보이지도, 가벼워보이지도 않습니다. 무엇보다 주인공 둥니의 삶은 독자에게 공분, 공감, 동정, 연민을 불러일으키면서 “과연 가족이란 맞서 싸울 개인가, 아끼고 보듬어줄 꽃인가?”라는 정답 없는 현실적인 질문과 고민거리를 던져주기 때문입니다.
읽는 내내 둥니를 지켜보는 일은 여러 가지로 마음 편한 일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느 날 갑자기 그녀에게 세상의 모든 행운이 쏟아지면서 주변의 못된 개들이 느닷없이 예쁜 꽃으로 개과천선하는, 그런 어이없는 해피엔딩은 아니었으면, 하고 바랐던 것도 사실입니다. 기대대로 작가는 마지막까지 둥니의 삶을 현실 속에 철저히 못 박아 둡니다. 물론 “그래도 지금보다는 나을 거야”라는 뉘앙스를 풍기는 화해의 제스처들이 묘사되고, 둥니 역시 일정 부분 자신만의 삶에 충실할 수 있게끔 자유로워졌으며, 사랑, 증오, 시기, 질투라는 극단의 감정에서도 조금은 해방된 듯한 엔딩이 그려지지만, 작가는 어중간한 화해 대신 현실적인 긴장을 여운처럼 남겨둔 채 이야기를 마무리합니다.
‘개꽃’은 부모 또는 부부가 돼본 적이 없는 독자에겐 강한 양념이 들어가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족 판타지’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픽션이다 보니 약간은 과장되고 문제 많은 캐릭터가 집약되긴 했지만 공감보다는 엿보기의 재미라는 측면에서 ‘개꽃’을 탐독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까요? 하지만 ‘개꽃’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누구나 맞닥뜨리게 될 현실 그 자체입니다. 둥니가 겪은 전쟁의 일부만 겪을 수도 있지만, 운이 따르지 않는다면 그녀보다 훨씬 더 많은 전쟁과 고통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곤 자의든 타의든 부모 또는 부부, 즉 가족이란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족은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숙명적으로 받아들여야 했던 제도이면서 동시에 인류가 만들어낸 최악의 제도일지도 모릅니다. 그런 점에서 숙명으로서의 가족과 최악의 제도로서의 가족을 민낯 그대로 묘사한 ‘개꽃’은 누군가에겐 공감과 카타르시스를, 누군가에겐 예방주사의 역할을 해줄 작품이란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