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의 기원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5월
평점 :
유진은 피 냄새에 잠에서 깬다. 발작이 시작되기 전 그에겐 늘 피비린내가 먼저 찾아온다.
유진은 매일 먹어야 하는 '약'을 며칠간 끊은 상태였고,
늘 그랬듯이 약을 끊자 기운이 넘쳤고, 그래서 전날 밤 '개병'이 도져 외출을 했었다.
(아침이 되어) 일어난 유진은 피투성이인 방안과, 피범벅이 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한다.
핏자국을 따라, 아파트 복층에 있는 자기 방에서 나와 계단을 지나 거실로 내려온 유진은
끔찍하게 살해된 어머니의 시신을 보게 된다.
(출판사 책 소개글 인용)
● ● ●
정유정의 작품을 읽은 적이 있는 독자라면
이 작품의 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원고 형태로 읽었더라도
금세 ‘흠.. 정유정이겠군’이라고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언제나처럼 세고, 독하고, 불편합니다.
특히 ‘종의 기원’이라는, 어딘가 음모론적인 냄새를 풍기는 제목은 ‘평범한 진화’ 이상의 것,
즉 피로 얼룩진 진화에 관한 이야기라고 강하게 암시하고 있습니다.
26살의 청년 한유진은 어머니와 이모라는 두 여자의 ‘궁둥이에 깔린 방석’처럼 살아왔습니다.
의사인 이모는 7살의 유진으로부터 평범하지 않은 면모를 발견했고,
어머니는 이모의 강요(?)에 의해 유진의 성장기를 전방위적으로 통제해왔습니다.
간질 발작을 억제하는 약 때문에 유진의 삶은 엉망인 채 영위됐고,
어릴 적 가족 여행 때 아버지와 형을 잃은 상처는 내내 그의 무의식 속에 잠재해있습니다.
그는 자신만의 탈출구, 즉 수시로 옥상의 비상계단으로 빠져나가
미친 듯 거리를 달리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해방구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깊숙한 곳에 내재돼있던 ‘악’의 기운을 발견합니다.
이야기는 크게 두 갈래로 전개됩니다.
피웅덩이 속에서 발견한 어머니의 시신을 처리하며
유진 스스로 ‘누가?’, ‘왜?’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는 현재의 이야기가 한 축이고,
어머니의 일기를 통해 의식과 무의식 속에 숨어있던 과거사를 회상하는 것이 또 한 축입니다.
그 과정에서 현재와 과거에 걸쳐 수많은 피의 향연이 벌어지고,
유진은 때론 긍정하고, 때론 부정하거나 분노하며 자신의 ‘진화’에 혼란을 느낍니다.
작가 스스로 고백했듯, 예전의 작품들에서 ‘악’이 조연에 머물렀다면
‘악의 기원’에서의 ‘악’은 주연의 자리에 등극하여 좀더 강한 이입감을 전해줍니다.
작가는 “내 안의 악이 어떤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가, 어떤 계기로 점화되고,
어떤 방식으로 진화해 가는지 그려 보이기 위해”라고 1인칭 ‘악’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작가의 의도대로 주체로 설정된 ‘악’은 예전의 객체였던 ‘악’들과는 무게감이 전혀 다릅니다.
다만, 두 가지 점에서 아쉬움이 느껴졌는데,
우선은 전작들에 비해 정유정 식 스토리텔링이 파괴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심플하게 이야기하자면 ‘의도’에 너무 힘을 준 ‘스토리’가 힘을 얻지 못했다고 할까요?
“악인은 특별한 누군가가 아니라 나를 포함한 누구나일 수 있다.”라든가
“피식자에서 포식자로 변화해가는 과정, 즉 평범했던 한 청년이
살인자로 태어나는 과정을 그린 악인의 탄생기”라는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 의도에 함몰되어 독자들이 기대한 정유정 식 스토리의 재미가 반감됐다는 느낌입니다.
결과적으로, 주인공 유진의 복잡다단한 심리를 묘사하기 위해 너무 많은 분량이 할애됐고,
그 때문에 지금껏 정유정의 작품을 읽으면서 한 번도 느끼지 못했던 지루함이
몇 번씩이나 거듭되곤 했습니다.
두 번째는, 의도 자체에 대한 애매모호함인데,
‘평범했던 한 청년이 살인자로 태어나는 과정을 그린 악인의 탄생기’라는 의도와
‘악은 우리 유전자에 내재된 어두운 본성’이라는 의도가 상충하는 게 아닌가, 하는 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후자, 즉 한유진의 악은 ‘타고난’ 것이라는 느낌이 강했는데,
천천히 복기해보면 작가는 ‘평범했던 한 청년이 살인자로 태어나는 과정’,
즉, 어떤 계기로 내재된 ‘악’이 발현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작품 곳곳에서 강조하고 있었고,
그래서 어딘가 위화감 또는 애매모호함이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작가는 종종 유진에게 자신의 행동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망각’을 부여하곤 하는데,
어쩌면 이런 모호함 – 유진의 ‘악’이 타고난 것인지 발현된 것인지 – 을 뭉뚱그리기 위한
일종의 의도적 장치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랜만에 만난 정유정의 작품이라 반갑기도 했지만,
이런저런 아쉬움도 많이 남는 작품이었습니다.
독자들이 기대했던 정유정 작품의 미덕 – 세고, 독하고, 불편한 정서 – 은 살아있지만
손에 진땀나게 하는 극강의 스토리는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일반 독자의 지나친 기우일지도 모르겠지만,
작품 곳곳에서 ‘전작보다 심오하게 ’악‘을 다뤄야 한다’는 부담감이 느껴진 것도 사실입니다.
정유정의 신작이라면 언제든 무조건 찾아 읽겠지만
그녀만의 스토리텔링의 힘이 느껴지는, 그런 작품으로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