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보 이불 -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집 작은도서관 20
최지현 외 지음, 이상현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조각보 이불

조각조각이 모여 예쁜 이불을 만들듯이 지민이와 윤서네는 서로 한 조각의 천으로 만나 예쁘게 이어 이불을 만들었다. 아직 한 부모 가정은 사회의 편견 때문에 힘든건 사실이다. 어쩜 가장 큰 피해자는 아이들인지 모른다. 자신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부모님이 헤어져 둘 중 한사람과 살아야하는 아이들. 함께 살지 못하고 한 사람과 살면서 다른 사람을 늘 그리워해야하는 아이들은 평생 아픈 상처를 가지고 살아야 할지 모른다. 그런 아이들에게 따뜻한 마음으로 안아주지 못할 망정 편견을 가지고 대하는 우리들의 행동은 옳지 못한 것이다.

우리 할머니 시집간대요

사랑이라는 감정은 나이와 무관하다. 우리들은 보통 젊은 남녀의 사랑을 많이 떠올리는데 이 책속의 이수 할머니와 꽃집 할아버지의 사랑은 참으로 따뜻하다. 평생 자식을 위해 살아온 두 분이 마지막 남은 여생을 함께 하고 싶어도 자식들의 반대에 포기하시는 것을 보고 결국 부모는 자신보다는 자식을 위한 삶을 산다고 생각했다. 자신들의 사랑보다는 자식을 위한 마음 때문에 서로의 사랑을 포기하려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진심은 통한다고 했던가? 이 두분이 따뜻한 사랑을 계속 할 수 있게 되어 너무 기쁘다.

슈퍼맨과 스파이더맨이 싸운다면

결국 착한 슈퍼맨과 스파이더맨은 싸우지 않는다.  
부부싸움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눈치를 보게된다. 누구의 편을 들수도 없고 엄마, 아빠가 왜 싸우는지도 알 수 없고 싸워야만 하는 사실이 싫기 때문이다. 현우는 오늘도 눈치를  살핀다. 엄마, 아빠의 소리 없는 전쟁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건 현우와 현성이. 현우는 이 싸움이 빨리 끝났으면 하지만 좀처럼 끝날 기미가 보이질 않는데. 그러자 현우는 자신도 모르게 자꾸 이불에 지도를 그리게 된다. 이런 불안한 현우의 마음을 알게 된 부모님은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노력...

최소리네 집 

이름처럼 예쁜 소리는 아빠는 계시지 않고 청각장애인 엄마와 함께 살고 있다. 주위의 따가운시선에도 참으로 열심히 살아가는 모녀. 그 누가 이 모녀에게 손가락질을 할 수 있을까?

"진짜 귀머거리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이 아닐까요? 그런 사람에게는 건강한 귀가 있어도 소용 없잖아요.세상에는 들을 수 있으면서도 귀를 꼭꼭  닫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요.-본문 中

우리가 보기에는 불안전해 보이는 가족들.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듯이  모양이 조금 다르다고 해서 그들이 틀렸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들도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열심히 살고 있으면 서로를 사랑한다. 단지 우리와 모양이 조금 다른 가족일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각보 이불 -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집 작은도서관 20
최지현 외 지음, 이상현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4월
절판


바다도 어떤 날은 잔잔하지만 태풍이 부는 날은 파도가 높잖아. 우리 마음도 똑같아. 비도 내리고 바람도 불지. 갑자기 기분이 안좋고 마음이 괴로울 때는 이렇게 생각해봐. 지금 내 마음 속에 태풍이 왔나보다. 날씨가 안 좋은 날인가보다 하고. 그렇게 생각하면서 잠시만 기다리면 금방 좋아질거야. 태풍은 오래 머물지 않으니까.-1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토불이 우리음식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24
우리누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우리 나라 음식들의 소개와 관련 이야기들이 나와 있다. 요즘 아이들이 점점 우리 고유의 음식을 맛볼 기회가 적어진다.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의 맛에 익숙한 아이들은 우리의 맛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접할 기회가 적은 아이들에게 우리나라 음식을 재미있는 이야기와 접하게 되니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김 영감집 두 며느리 - 김치 이야기
같은 김치이지만 지역에 따라 맛도 참 다르다. 함경도에는 명태나 굴을 넣고, 평안도는 고기 국물, 전라도는 밴댕이젓이나 조기젓,뱅어젓을 넣고 경상도에는 멸치젓, 강원도에는 오징어젓이나 창란젓을 넣는다.
 
원나라에는 없던 별미 - 불고기 이야기
지금도 세계여러 나라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음식중 가장 좋아하는 것이 불고기가 아닐런지. 예전 원나라 사신이 홀딱 반한 요리가 바로 불고기라고 한다.

남문 밖에서 얻은 음식 - 빈대떡
’가난한 사람들의 떡’이라 하여 빈자떡이라 불린 빈대떡.

탕탕 평평하여라 - 궁중 음식 이야기
음식 속의 정치라 할 수 있는 탕평채. 편을 나누어 싸우는 신하들의 모습을 보고 21대 임금 영조는 음식의 이름을 탕평채라 하였다. 음식도 어우러져 맛을 내는데 우리도 이처럼 어루러진다면 탕평채의 맛과 색보다 아름다울 것이라며 신하들에게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이처럼 음식은 우리가 먹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아름다움을 느끼고 음식속의 마음까지 읽을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손에서 손으로 전해온 우리의 맛을 아이들에게도 꼭 알려주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는 알지 못했던 음식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또한 음식 속에 담겨진 이야기까지 알게 된 아이는 우리 음식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광고 카피처럼 우리의 것이 세계 제일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친구 재덕이 작은도서관 24
이금이 지음, 성병희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덕이를 보면서 내가 매주 월요일에 만나는 친구들의 얼굴이 하나하나 떠오른다. 처음 그 친구들을 만난 건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가게 된 것이였다. 물론 조금 편한(?) 곳에서 봉사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난 무슨 용기로 그 곳을 선택했는지 모르겠다. 지금 생각해 보면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고 운명이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으로 장애를 가진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였다. 조금은 두렵고 허물없이 다가와 악수하고 안아주는 친구들을 난 가까이 하지 못했다. 그 친구들도 책 속의 재덕이처럼 어쩜 그리도 잘 웃는지. 못된 생각이지만 처음에는 ’뭐가 그리 좋아 아무 이유도 없이 웃기만 하는거야.’ 라고  생각했다. 내가 해야하는 봉사 시간을 채우고 마지막날 헤어지기 아쉬워 약간의 간식과 선물을 준비했다. 사실..그리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지 않았기에 나라는 사람을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제는 오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눈물이 핑...헤어지기 싫은지 몇몇 친구들이 손을 잡고 놓지 않았다. 그런 손을 뿌리치고 난 집으로 돌아왔지만 계속 그 모습이 떠나질 않았다. 그 일이 있은 후 나는 봉사 시간 때문이 아니라 내 스스로 그 친구들을 만나러 갔다. 몇 년째 일주일에 한번 그 친구들을 만나고 있다.

재덕이처럼 주위에서 바보라 불리는 친구들. 내게 바보는 모자란 친구가 아니라 순수하고 맑은 영혼을 가진 친구들인 것이다. 그런 친구들에게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바보라 부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마음의 선물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사와다 도시카 그림, 전경빈 옮김 / 창해 / 2000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는 내내 얼마 전 TV에 나왔던 승가원의 태호 모습이 떠올랐다. 화면 속의 태호는 늘 씩씩하고 밝은 모습이여서 보는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우리의 기준으로 보면 너무도 부족한게 많은 아이였다. 부모가 누군인지 모르고  몸도 장애를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태호는 그런 것을 문제시 여기지 않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열심히 살아가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보면서 늘 욕심을 내며 살아가는 우리를 반성하게 하였다.

이 책 속의 유타도 우리를 많이 부끄럽게 하였다.  자신의 몸이 불편하다고 해서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비장애인들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아이인 것이다.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쓴 내용이여서 그런지 우리에게 주는 감동이 더 컸다. 오체불만족이라는 책을 먼저 읽고 이 책을 아이와 함께 읽었다. 조금만 힘들어도 나약한 모습을 보이는 우리들에게 많으 ㄴ생각으 ㄹ하게 한다.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우리보다 못하다는 생각을 가진다는 잘못된 것이다. 우리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도와 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도움을 주는 관계인 것이다. 아직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많은건 사실이다.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해하며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유타를 보면서 우리는 마음의 선물을 하나씩 받았다.  
어떤 이는 유타의 용기를 유타가 보여 준 끈기를 유타의 사랑을...
이제는 우리가 받은 선물을 다른 누군가에게 돌려주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