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무도하. 제목만 보고는 딸랑 4줄 뿐인 작품을 제목으로 한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읽는 동안 어디에도 백수광부 따위의 이야기는 없었다. 다만 그 공통점을 찾아보자면, 죽은 백수광부를 향해 애타게 강을 건너지 마라고 말렸던 부인의 모습, 안타까운 상황을 견디고 버텨내야 함을 비슷하게나마 그리지 않았나 싶다. 

해망이라는 바닷가마을이라는 공동의 장소에서 각기 다른 삶을 사는 주인공들이 있다. 신문기자  문정수, 출판계 떠오르는 샛별? 노목희, 노동운동하다가 바닷가로 들어오게 된 장철수. 

그들 눈에 펼쳐지는 사회의 온갖 모습들... 특히나 비참하고, 끔찍하고 지극히 인간 본연 바닥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어서 더 잔상이 오래 남게 되는 것 같다. 그 상황에 대처하고, 또 살아가기 위해 발버둥치는 인간들의 모습에서 더 인상이 찌푸려지는 듯 하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엇이 옳고 그름은 없다.  

다만 이 소설책을 읽고서 생각을 더 하게 되고 마음이 텁텁/무거워지는 이유는 그만큼 소설 그 이상의 와닿음이 있었기에 .... 글이 참 일관성이 있고 유기적으로 구성됨에 또 한번 작가 그의 이름이 대단쿠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라리 벙어리로 살리라 - 태학산문선 117 태학산문선 118
윤기 지음, 임완혁 엮음 / 태학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조선시대 문인 윤기의 글이다. 그의 삶이 참 안타깝다. 그가 살던 시대, 인정 받지 못한 그! 아는 것은 또 좀 많을까? 사회 부조리들이 온갖 눈에 가득 찼을텐데, 자기가 말만 하면 쓴소리들이 나왔을터니, 그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도 없고. 그래서 결심하게 된거지. 벙어리로 살겠다고. 

내 입 놀려봐야 아무 소용 없는데, 말할 이유가 없지 않겠냐고.....이 책을 읽으면 조선시대 좋지 못한 모습들을 볼 수 있어 그의 글로 그치는 느낌이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라리 벙어리로 살리라 - 태학산문선 117 태학산문선 118
윤기 지음, 임완혁 엮음 / 태학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명 옛날 글인데, 요즘 모습과 너무 같아서 뭔가 좀 씁쓸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삼관 매혈기. 

제일 처음엔 제목이 이게 뭐야 이랬는데... 다 읽고 나니 진정 이 제목으로 해야겠네 싶다.ㅋㅋ 

허삼관이 피를 무지하게 판다. 자기를 위해서라기 보다는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서인 듯 하다. 

그런데 글을 읽는 동안은 너무 재미있어서 전혀 안쓰럽거나 애처롭지 않다는 것이 이 글의 매력인듯 하다. 짧지 않은 글임에도 스토리가 있고 주인공들의 대사가 너무 상황에 딱 맞아 떨어져서 술술 읽게 된다. 

허삼관 그는 진정한 아버지가 아닐까 싶다. 어수룩하고 바보같고 자라 대가리 노릇을 하는 등 한심하긴 하지만 그래도 아련한 것이 정이 가는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 230 Days of Diary in America
김동영 지음 / 달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이렇게 훌쩍 떠날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사람은 참 여유가 있는 사람이 아닐까 싶다. 나는 그동안 나의 현재 삶을 한번 떠나 생각해본 적이 있는지... 늘 쳇바퀴 돌듯 그날이 그날인듯한 삶을 살면서 여유를 가지고자 구체적인 발걸음을 떼어봤는지 생각케했다. 

이 작가가 이런 평범한 사람들의 마음을 대신이라도 하듯이 실행에 옮긴거다. 멋지지.게다가 글에 사진에....부러움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